각국의 사회복지급여와 전달체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국의 사회복지급여와 전달체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국
2) 영국
3) 일본
5. 우리나라의 최저생계비 결정
6. 전달체계
1) 전달체계의 중요성
2) 전달체계의 운영 주체
3) 정부의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본문내용

비효율적 요소 개선 노력
※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증원(`97. 3천 명→`02. 8.1천 명→`05. 9.9천 명)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 실시(`04.7~`06.6)
※ 보건복지 콜센터 운영(`05.11) 및 「긴급복지지원법」제정(`05.12)
※ 지역복지협의체 구성 및 지역복지계획(`06.7)
지역서비스 혁신체계(RSIS)로 지역주민 통합서비스 제공체계 구축
- 복지고용보건교육생활체육안전주건 등 주민생활서비스의 통합연계조정체계 구축
- 주민생활지원국 설치(2006.7) : 주민지원행정과(기획, 서비스 연계협력대상자 발굴선정), 주민서비스과(기존 사회복지과의 인구대상별 팀), 주민생활지원과(소득, 고용, 주거, 문화생활, 보건서비스 담당)
- 읍면동의 주민자치센터를 주민복지문화센터로 전환: 사회복지직과 행정직이 함께 하는 주민생활지원팀 설치
- 기대효과 : 통합성, 접근성, 신뢰성, 효율성
3) 정부의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
-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는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전달체계로 조직을 전면 개편(`07. 7)
주민생활지원서비스
취약계층에게 제공되는 복지보건서비스 이외에 주민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고용주거평생교육생활체육문화관광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
참고문헌
1. 현외성 외, “사회복지정책강론”, 양서원, 2006.
2. 강욱모 외,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 2002
3. 고영복 편저, “사회복지론”, 사회문제연구소, 1991
송근원 김태성 사회복지정책론 나남
길버트 테렐 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사회복지 정책론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8.30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