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의 역사와 제조공정 및 문제점 분석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라면의 역사개념

2. 우리나라 라면의 역사

3. 라면의 제조공정

4. 라면의 성분

5. 라면의 대한 편견과 문제점

6. 웰빙 라면의 열풍

본문내용

는 것은 정제소금과 간장 분말이다. 그리고 MSG, IMP, GMP와 같은 화학 조미료도 다량 들어가는데 MSG(monosodium glutamate)는 우리가 보통 “미원”이라고 알고 있는것이다. 7%에서 많게는 16%들어간다. IMP와 GMP는 국물에 육류나 어류의 구수한 맛을 내어준다. 그리고 캐러멜, 후추분말, 양파분말, 마늘분말, 생강분말, 닭기름 분말, 식물성 단백질, 조미료인 HVP분말, 포도당이 들어가며 파후레이크나 설탕, 호박산 나트륨, 고춧가루 등이 들어가는 스프도 있다.
5. 라면에 대한 편견과 문제점
라면이 몸에 안 좋다는 말을 많이 한다. 헌데 정확히 왜 뭐가 어디에 안 좋은지는 잘 모른다. TV에는 30년간 라면만 먹고 살아오신 할아버지도 나오시던데... 라면의 면 100g에는 420 칼로리 내외의 열량이 들어있다. 이 중 탄수화물이 65g, 단백질 9g, 지망이 14g이다. 밀가루 반죽을 기름에 튀겼기 때문에 단백질은 부족하고 야채스프에 들어있는 비타민과 무기질은 가공 과정을 거치면서 상당 부분 파괴되어, 영양이 고르지 못한 식품이다.
1). 과다한 나트륨
소금을 과다 섭취할 경우 소금의 주요 구성요소인 나트륨으로 인해 고혈압, 심잡병, 뇌졸중, 성인병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콩팥의 미성숙으로 배설기능이 떨어져 신부전에 빠져 사망할 수도 있다. 라면은 평균 2.82그램 ~ 6.3그램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고 이러한 양은 성인 1일 나트륨 제한량의 2/3에 해당한다. 염분을 과잉 섭취하면 나트륨성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오면서 칼슘을 같이 빠지게 하여 칼슘 부족 현상이 오기 마련이다.
2). 튀김 기름의 문제
어느 TV프로그램에서 라면면발에 불을 붙여보니 활활 불이 붙는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불에 냄비를 얻고 라면을 끓이니 모두 끓일때까지 불이 유지되었다. 라면면발에는 어떤 기름이 함유되어있는걸까. 89년 '공업용 유지 파동'이후 라면용 튀김기름은 우지 대신 식물성 팜유로 대체되었고, 일부 업체에서는 콩기름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팜유는 식물성이기는 하지만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산'이 50%나 차지하고 있어서 45%인 소고기 지방보다 오히려 높다. 또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유통과정에서 변질되지 않도록 수소를 첨가하기 때문에 우리 역시 알고 있는 식용유보다 포화지방산이 훨씬 많아진다. 식용유 자체도 원료인 수입콩에 문제가 있는데 라면에 쓰이는 콩기름은 보통 식용유보다 훨씬 더 위험성이 많은 것이다.
3). 용기의 환경호르몬 문제
사발면, 컵라면 용기에 물을 넣고 전자렌지에 넣어 돌리거나, 뜨거운 물을 넣고 20분정도 좋아 두면 컵라면 용기인 발포스티로폴의 원료 '스틸렌( Stylene )'으로부터 생식기능 등을 저하시키는 환경호르몬 물질 '스티렌다이머' 와 '스티렌트리머'가 나온다는 것이 밝혀졌다. 일부 기업에서는 종이컵 용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 역시 용기 내부를 비닐 코팅하기 때문에 환경호르몬의 위험은 마찬가지이다.
4). 수입 밀가루, 의심스러운 스프재료, 화학조미료
라면의 주원료가 수입밀가루 인데다가 면을 쫄깃쫄깃하게 만들기 위해 면류 알칼리제를 첨가한다. 게다가 맛있는 색을 내기 위해 다양한 착색제가 사용되며, 산화방지를 위한 명목으로 튀기는 기름에 산화방지제를 넣는다. 또 여러 가지 맛을 내기 위해 조미료 또한 많이 첨가 된다. 그리고 라면의 스프에는 2g 정도의 화학조미료가 들어가는데 세계보건기구가 어른의 하루 조미료 섭취를 3-5그램으로 제한하는 점에 비추어 보면 아이들이 한끼 식사로 먹이에는 지나칠 정도로 많은 양이다. 또한 라면 스프의 재료에 들어가는 각종 건조 야채류는 대부분 값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중국에서 수입된 농약오염 재료가 들어간다.
6. 웰빙 라면의 열풍
요즘에는 웰빙열풍을 타고 건강라면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2005년 한국야쿠르트가 된장라면인 “장라면”을 내놓아 스프에 된장이 함유되어 있어서 구수하고 몸에 좋다는 이미지로 인기를 끌었으며 최근에는 농심에서 내놓은 “건면세대”는 튀기지 않은 말린 면을 사용하며 몸에 좋은 콩펩타이드가 들어있어 체지방의 연소에 도움을 주며 MSG를 사용하지 않고 버섯과 야채등 천연물에 존재하는 맛성분을 추출 농축한 소재를 활용해 안심하고 먹을수 있다고 선전하고, 풀무원과 삼양은 기름에 튀기지 않은“생라면”과 “기름에 튀기지않은라면”을 각각 내놓았다. 하지만 요즘 소비자들의 입맛이 나트륨과 MSG에 길들여져 있어서 전망은 두고 볼일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01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2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