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韓非子의 우언 비교 감상문 3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내저설 상』
여기서 주장한 것은 엄벌주의로서, 형벌로써 형벌을 없애려는 법가 사상이다. 그런데 이를 공자의 입을 빌어 말했다. 그러므로 이는 실제 사실이 아니며, 공자에게 법가의 의관을 입히고 씌운 것이다. 자신의 법치사상을 설득시키기 위해 ‘공자’라는 인물을 이용했다. 물론 한비자는 많은 경우에 법치사상을 지닌 인물들의 언행을 직접 택했다.
장자는 주로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자신의 사상이나 이치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우언을 사용하였으며, 한비자는 자신의 법가사상을 더욱 설득력 있게 선전하고자 우언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 목적 때문에 각자 우언에 사용하는 제재와 표현방식이 달라졌다고 본다. 그리고 이것이 이 둘의 우언에서 예술적 측면이 크게 차이나는 이유가 되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키워드

莊子,   韓非子,   우언,   비교,   감상문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1.06.01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5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