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탄생 멘토제도를 통해 바라본 법고창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위대한 탄생의 법고창신(옛것을 본받는 것)

3. 위대한 탄생의 법고창신(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것)

4. 결론

본문내용

각을 한다. 더 나아가 이것이 바로 법고창신의 시도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4. 결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멘토제가 진행되면서 많은 이점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오히려 위대한 탄생의 독이 되었을 지도 모른다. 멘토의 역할과 심사위원의 역할이 있음에도 시간이 갈수록 그 역할이 흐려지는 멘토 5명의 행동들은 생방송 무대에서 그 문제가 여실히 들어났다. 매번 9점 이상의 높은 점수, 독설 없는 심사. 매회가 거듭될수록 심사가 아니라 감상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멘토 5명에게 시청자가 가지는 신뢰도는 점점 무너지게 되었다. 또한 심사위원이 이러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인기투표로 선정되었는데 매번 심사위원 점수가 낮음에도 Top4까지 올라갔던 손진영을 보면 그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위대한 탄생의 가장 큰 문제이다. 공중파에서 진행된 오디션프로그램, 그리고 전 세계에서 진행된 남다른 규모의 오디션프로그램, 그리고 국내 최고의 가수가 멘토가 되어 멘티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프로그램 등 부각할 수 있는 요소가 많음에도 이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 점이 아쉽기만 하다. 앞으로 시즌2가 진행된다고 하는데 ‘멘토제’가 그대로 남아있을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멘토제가 위대한 탄생의 가장 큰 특징이었던 만큼 이 제도를 버리기 보다는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서 다음 시즌을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오디션 프로그램과 드라마의 경계를 찾을 수 있다면 멘토와 심사위원의 경계를 구분해 낼 수 있다면 다음 시즌에서는 혹평 보다는 호평이 많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된다면 정말로 오디션 프로그램의 새 신화가 써지는 것이 아닌가.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6.0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3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