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20세기 한국경제의 발전 및 성장전략, 성공요인, 마케팅 전략 조사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고 발전시켜준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은 한국에서 일본이 필요로 하는 쌀을 공급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병합 초기에는 쌀 생산량을 늘리는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기에는 자본이 부족했다. 조선 총독부는 통치 비용을 한국 내에서 조달하는 것에 만족했다. 그리하여 1912~1918년에 토지조사 사업을 행하여 지세를 안정적으로 징수할 수 있게 했다.1920년부터 조선 총독부는 본격적으로 한국에서 잉여를 생산해 낼 계획을 세웠다. 제1차 세계대전 중에 막대한 외화를 벌어들여 한국에 투자할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었다. 조선 총독부는 쌀 증산 계획을 세웠고, 값싼 금리의 자금을 제공하여 기업가적 소질이 있는 지주를 그 사업에 끌어넣었다. 1920~1930년에 농업 총생산량은 연평균 1.9% 증가했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1.2% 증가했다. 1920년대 말에 농산물의 가격이 폭락하자 조선 총독부는 쌀 증산 계획을 중단했다. 농산물 가격이 폭락하여 궁핍 농가가 급증하게 되자 농업 생산의 기반이 침해되게 되었고, 치안도 불안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총독부는 1930년대에 농가 경제 갱생 계획과 북조선 개발 계획을 세웠다. 이 두 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농민이 정책에 동원되어야 했다. 조선 총독부는 관료의 힘이 마을에 직접 닿을 수 있도록 관리와 공리를 늘렸고, 촌락에 다양한 단체를 만들었으며, 경제적 유인을 제공했다. 식민지기에 한국인의 가장 큰 과제는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그것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저항할 수도 있었으며 정책에 동원될 수도 있었는데 조선 총독부가 경제적 유인을 제공하자 그것에 동원되었다. 1931~1938년에 농업 총생산량은 연평균 3.4% 증가했으며,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2.8% 증가했다. 그리고 다른 식민지와 비교해 보면, 1911~1938년에 한국의 연평균 경제 성장률은 3.1%였는데 1901~1946년에 인도의 경제 성장률은 0.9%였다. 식민지기에 한국은 이처럼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결론
사실 이 3가지 원인을 따로 볼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훌륭한 경제정책과 그에 따른 국민들의 동원, 그 상황에 맞는 외부적인 환경이 맞물려 경제발전을 이뤄낸 것이다. 또 이 세 가지만이 전부가 아니며 더 많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은 당연하다. 이처럼 한국은 20세기에 훌륭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냈지만 20세기말에 IMF라는 경제 위기가 생긴 것은 왜일까? 그것 또한 복합적인 이유다. 해방이후 민주주의가 들어오면서 개인의 자유가 중요해졌다. 따라서 동원보다는 자발성에 입각해서 경제 정책을 운영해야 하지만 정부는 동원에 대한 유혹을 떨쳐내지 못했고 당연히 국민의 자발성도 이끌어내지 못했다. 이로 인해 당연히 세계화에 대응하지 못했고 이것이 경제 위기를 불러온 것이다. 이 IMF가 20세기말의 흠이지만 한국은 20세기 엄청난 경제발전을 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21세기에도 경제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2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