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근면성
(2)교육열
(3)도전과 개척정신
(4)빨리빨리문화
(5)매니아적 기질
(2)교육열
(3)도전과 개척정신
(4)빨리빨리문화
(5)매니아적 기질
본문내용
전개는 한류에 빠진 중국인들을 매료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빨리빨리 습성에서 기인하는 부지런함과 과감한 투자도 거론하지 않으면 섭섭하다.
빨리빨리가 IT뿐 아니라 다른 비즈니스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파한 것이다.
초고속통신망이 한창 깔리던 2000년에 미국의 경제주간지 비즈니스 위크는 고속통신망을 이용하려고 이사했다는 한국 회사원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 잡지는 이를 미쳤다(crazy)고 평가했다. 두루넷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처음 실시한 게 1998년이다. 7년만인 2005년 3월말 현재 가입자는 1천2백8만6천8백36가구다. 전체 가구의 80%가 넘는다. 조심성 많은 일본인들은 전화선 모뎀에서 초고속인터넷으로 넘어가는 과정인 ISDN을 고집했다가 이제 초고속통신망으로 넘어가고 있다.
95년 등장한 PC방도 마찬가지다. PC방은 93년 영국과 인도에서 인터넷카페로 시작했다. 하지만 답답한 모뎀 속도를 견디다 못한 한국 사람들이 집의 컴퓨터를 놓아둔 채 속도가 빠른 PC방으로 달려갔다. 우리의 고유 문화가 된 데 이어 중국, 일본으로 퍼졌다. 자동차 홍수 속을 달리는 오토바이 퀵 서비스도 전성시대다. 누구나 빨리만 도착할 수 있다면 기꺼이 돈을 낸다.
이렇게 한 때 아니 지금도 빨리 일을 처리하려는 기질로 사회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지만 이러한 기질 또한 정보화 시대에 우리 경제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5)매니아적 기질
디시인사이드 김유식 사장은 일본의 디지털 카메라 업체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소비자가 바로 한국 소비자들이라면서 신제품이 출시되면 마니아들이 샅샅이 제품을 분석해 그 결과를 인터넷 올려 공유한다고 말했다. 디지탈웨이 우중구 사장도 한국의 MP3플레이어 마니아들의 입맛을 통과하면 세계 시장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높다면서 마니아의 산업적 역할을 묘사했다.
꽃 취미가 확산되자 화훼업이 성장하고 바둑이 유행하면서 바둑기사라는 전문직업인이 생기기도 했다. 또 소설이 유행하면서 소설을 전문적으로 읽어주는 문화 서비스업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스타크래프트가 인기를 끌면서 프로게이머라는 전대미문의 직업이 생긴것도 한국이다.
이러한 매니아적 기질은 18세기 실학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강이천의 소품문중에는 이런 글이 있다. 옛날 여항에는 김 노인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국화를 잘 심어서 꽃을 일찍 피게도, 늦게 피게도 했다. 또 몇 치 크기로 키워 꽃이 손톱처럼 작고 빛깔은 곱고 자태는 간드러지게 하기도 했다. 안대회교수(명지대 국어국문학과)는 18세기 마니아는 주자학적 인간관, 세계관과 결별하여 틀 속에 안주하지 않고 틀을 벗어난 생각과 행동을 함으로써 시대의 고독한 창조자가 됐다면서 그런 면모는 현대 디지털 문명 세계에서 새로운 기술을 창조하는 창조적 소수와 중첩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18세기 조선의 마니아들은 집 안에 틀어박혀 있지 않고 바깥 세상으로 나아가 자신의 벽(癖)을 알리면서 존재를 드러냈다. 또 후원자와 동지들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정보를 공유했다.
온라인상에서 자신들의 관심분야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 분야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직업군이나 문화를 발달시키는 매니아적 기질도 경제발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우리의 국민성이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언급한 국민성이라는 것이 정말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경제성장에 영향을 끼쳤는지 측정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이것은 다만 나의 생각으로 한국의 성공요인을 밝히라는 과제에 당면해서 길을 찾지 못하다가 순간 떠오른 생각으로 국민성과 경제성장을 연관시켜보았다.
빨리빨리가 IT뿐 아니라 다른 비즈니스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간파한 것이다.
초고속통신망이 한창 깔리던 2000년에 미국의 경제주간지 비즈니스 위크는 고속통신망을 이용하려고 이사했다는 한국 회사원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이 잡지는 이를 미쳤다(crazy)고 평가했다. 두루넷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처음 실시한 게 1998년이다. 7년만인 2005년 3월말 현재 가입자는 1천2백8만6천8백36가구다. 전체 가구의 80%가 넘는다. 조심성 많은 일본인들은 전화선 모뎀에서 초고속인터넷으로 넘어가는 과정인 ISDN을 고집했다가 이제 초고속통신망으로 넘어가고 있다.
95년 등장한 PC방도 마찬가지다. PC방은 93년 영국과 인도에서 인터넷카페로 시작했다. 하지만 답답한 모뎀 속도를 견디다 못한 한국 사람들이 집의 컴퓨터를 놓아둔 채 속도가 빠른 PC방으로 달려갔다. 우리의 고유 문화가 된 데 이어 중국, 일본으로 퍼졌다. 자동차 홍수 속을 달리는 오토바이 퀵 서비스도 전성시대다. 누구나 빨리만 도착할 수 있다면 기꺼이 돈을 낸다.
이렇게 한 때 아니 지금도 빨리 일을 처리하려는 기질로 사회에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지만 이러한 기질 또한 정보화 시대에 우리 경제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5)매니아적 기질
디시인사이드 김유식 사장은 일본의 디지털 카메라 업체들이 가장 무서워하는 소비자가 바로 한국 소비자들이라면서 신제품이 출시되면 마니아들이 샅샅이 제품을 분석해 그 결과를 인터넷 올려 공유한다고 말했다. 디지탈웨이 우중구 사장도 한국의 MP3플레이어 마니아들의 입맛을 통과하면 세계 시장에서 성공하는 확률이 높다면서 마니아의 산업적 역할을 묘사했다.
꽃 취미가 확산되자 화훼업이 성장하고 바둑이 유행하면서 바둑기사라는 전문직업인이 생기기도 했다. 또 소설이 유행하면서 소설을 전문적으로 읽어주는 문화 서비스업까지 등장하기도 했다. 또한 스타크래프트가 인기를 끌면서 프로게이머라는 전대미문의 직업이 생긴것도 한국이다.
이러한 매니아적 기질은 18세기 실학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강이천의 소품문중에는 이런 글이 있다. 옛날 여항에는 김 노인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국화를 잘 심어서 꽃을 일찍 피게도, 늦게 피게도 했다. 또 몇 치 크기로 키워 꽃이 손톱처럼 작고 빛깔은 곱고 자태는 간드러지게 하기도 했다. 안대회교수(명지대 국어국문학과)는 18세기 마니아는 주자학적 인간관, 세계관과 결별하여 틀 속에 안주하지 않고 틀을 벗어난 생각과 행동을 함으로써 시대의 고독한 창조자가 됐다면서 그런 면모는 현대 디지털 문명 세계에서 새로운 기술을 창조하는 창조적 소수와 중첩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18세기 조선의 마니아들은 집 안에 틀어박혀 있지 않고 바깥 세상으로 나아가 자신의 벽(癖)을 알리면서 존재를 드러냈다. 또 후원자와 동지들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정보를 공유했다.
온라인상에서 자신들의 관심분야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 분야를 발전시키고 새로운 직업군이나 문화를 발달시키는 매니아적 기질도 경제발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우리의 국민성이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언급한 국민성이라는 것이 정말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경제성장에 영향을 끼쳤는지 측정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이것은 다만 나의 생각으로 한국의 성공요인을 밝히라는 과제에 당면해서 길을 찾지 못하다가 순간 떠오른 생각으로 국민성과 경제성장을 연관시켜보았다.
추천자료
사우스웨스트항공(Southwest Airline)의 경영전략분석
(경영전략론 ) 기업의 국제화과정과 국제전략에 대하여 --- A+ 완성형 ++
리조트 호텔의 경영전략
포스코의 위기관리와 해외진출 글로벌경영전략
[대기업][재벌][재벌정책][대기업의 문제점][대기업의 신경영전략][대기업 시사점]대기업의 ...
[경영학/경영전략A+] IBM 다국적기업 기업소개와 조직문화분석 및 IBM 국제경영전략 및 향후 ...
월마트 - WAL MART 경영전략 - 월마트마케팅전략,월마트글로벌전략,월마트한국시장실패,이마...
[대기업 전략][대기업][기업][대기업 마케팅 전략][대기업 입사 전략][대기업 정보화 전략]대...
삼성전자 해외마케팅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사업전략분석및 삼성전자 새로운 경영전략 제안
SPAO 스파오 브랜드분석과 스파오 해외시장진출 글로벌 마케팅 경영전략 분석과 나의의견
[국제관광경영전략] 리츠칼튼의 경영전략분석 - 리츠칼튼의 차별화전략
<손자병법>의 경영전략 활용 가능성 고찰
[새마을금고 경영전략] 새마을금고의 발전전략 ; 새마을금고의 특징과 경영전략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