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의 유래, 역사, 기본교리,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유교, 성리학, 동학과 사회문화운동, 시사점, 총체적 조사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 민중 종교가 - 수운과 그의 제자 해월

2. 동학의 기본교리 - 유교, 특히 성리학의 새로운 모습을 제시하는 교리

3. 그 후의 역사 -동학과 사회문화운동

4. 설명을 마치면서 - 못다한 이야기

본문내용

런 독창적인 해설에서 나온 것이 해월의 향아설위법이다.
동학은 현재에 와서는 비교적 생소하다. 다른 고등 종교들에 비해 종교적인 성향이 약한 탓인가, 제대로 전파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과거의 동학은 분명 다른 종교들에 뒤처지지 않게 선구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실천했다. 천교도로 전해지는 현재의 동학은 수적으로만 따지면 전국에 교회가 150여개, 수도원이 7개, 신도 수는 교단 집계로는 100만 명이라 하지만 갤럽 조사를 해보면 5만여 명인 외양을 하고 있다. 성직자 제도도 없기 때문에 시일식 때에도 적당한 사람을 뽑아 설교를 하고는 한다고 한다. 성적 제도의 폐해를 다른 종교에서 보아왔듯이 이런 무성직제는 잘 운영되면 최상의 제도가 될 수 있다지만, 아주 엉성한 제도로 전락해 버릴 수도 있다. 현 천교도의 재정 상황은 열악하기 그지없는데, 그 이유는 천교도가 종교적인 방향으로 가지 않았던 결과로 너무 느슨해진 탓이다. 종교란 일반인민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채워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법인데 천교도는 도무지 이를 해내지 못한다. 40~50년 전부터 거의 성장을 멈추어 버린 천교도는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뜻이 높은 젊은이들이 종교 결사를 만듬으로 개혁을 시작해야한다고 저자는 보고 있다. 개혁은 항상 바깥에서. 나이가 많은 층이나 중심부에서는 새로운 바람이 불기 힘든 법이다. 과거에 얽매였다 볼 수 있는 천교도가 좀 더 종교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자 한다면 개혁은 불가피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책에서 언급된 연꽃의 예에서처럼 어디선가 흘러들어올 깨끗한 샘물이 필요한 때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08
  • 저작시기201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45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