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쿠릴열도는?
3.분쟁의 역사
1)19세기 이전
2)19세기~20세기 초
3)20세기 중반~현재
4)분쟁에 관련된 최근의 이야깃거리
4.분쟁의 쟁점 및 문제점
1)선점론
2)조약의 문제
5.잊혀진 분쟁의 희생양, 아이누족
6.마치며
2.쿠릴열도는?
3.분쟁의 역사
1)19세기 이전
2)19세기~20세기 초
3)20세기 중반~현재
4)분쟁에 관련된 최근의 이야깃거리
4.분쟁의 쟁점 및 문제점
1)선점론
2)조약의 문제
5.잊혀진 분쟁의 희생양, 아이누족
6.마치며
본문내용
지방이지 결코 쿠릴 열도 지방이 아니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외에도 대전 이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조약에도 문제가 있다. 샌프란시스코 조약 이전에 벌였던 알타 회담 등으로 인해 이미 연합국은 일본의 쿠릴 열도에 대한 주권 포기는 승인된 상황이었으며 당연히 쿠릴 열도에 속한 남쿠릴 열도의 북방 4도는 러시아의 차지다 라는 것이 러시아의 주장이다.
이에 일본은 이 북방 4도는 쿠릴 열도에 속한 지역이 아닌 자신의 영토인 홋카이도 지방에 소속된 지역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실제로, 이 북방 4도라는 용어가 나온 이유도 바로 이 쿠릴 열도라는 말을 대신하기 위해서이다.
5. 잊혀진 분쟁의 희생양. 아이누족
이러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치열한 분쟁의 역사 속에서 잊혀진 하나의 세력이 있는데, 그들은 바로 쿠릴 열도 및 홋카이도 지방의 원주민인 아이누족이다.
아이누족은 캄차카 반도를 통하여 쿠릴 열도 및 홋카이도 지방에 정착했다고 추정되고 있는 북극 문화권의 최남단 민족으로, 유전적으로 황인이라기보다는 백인의 특성을 띄고 있다는 것이 제일 큰 특징이다. 또한 일본어와 러시아어가 아닌 자신들만의 고유한 언어가 존재하며, 샤머니즘에 입각한 종교 및 사람의 이름을 중요시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수백년간 이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던 아이누족들에게 있어서는 쿠릴 열도 분쟁은 재앙의 시작이었다. 경제적 교역을 빌미로 접근했던 일본인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누족들이 사는 지역들을 반식민지로 만들어 이들에 대한 수탈에 가까운 교역을 강요하였고, 이후 러시아의 진출 이후 홋카이도 지방을 점령하고 아이누족들에 대한 차별 및 탄압을 시작하였다.
러시아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영토를 넓히기 위해 방해되는 요소들을 전부 제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요소들 중에서는 러시아를 반대한 아이누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제거한 아이누족들 대신 자신의 국민들을 대거 이주시키는 정책을 실시해 쿠릴 열도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한 맥락도 있었다.
이 두나라의 개입으로 인해 아이누족은 경제적, 신체적 탄압은 물론이요 자신의 영토마저 빼앗기게 되는 수모를 겪게 되었으며, 이렇기에 쿠릴 열도를 아이누족의 자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것이 러시아와 일본간의 분쟁에서의 제일 좋은 해결방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실제로 원칙에 따르면 당연히 이 지역의 영유권은 이들이 차지해야 하는 것이 옳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은 현재에 들어서면서 거의 불가능해졌다. 러시아와 일본이 진출한 이후 양국은 아이누족에 대한 차별책 및 탄압만 벌인 것이 아닌 그들을 자신의 국가에 편입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일본은 단일 민족이다.'라는 정신을 끝까지 주장하여 아이누족을 소수민족으로 취급하지 않고 이러한 현상은 바로 최근인 2008년도까지 지속된 방침이다.
같은 일본인으로 취급하는 정책을 수행하였으며, 결과 현재 일본에 살고 있는 아이누족들은 자신의 언어와 문화, 전통을 잃고 하나의 일본인으로서의 생활을 하고 있다. 러시아 쪽에서는 그나마 언어 및 전통을 유지하고 사는 아이누족들이 있긴 하지만, 이러한 소수민족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은 전무하며, 현재도 러시아어 및 문화를 받아들여 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결국 이들은 주변의 각 강대국들에게 거의 완전히 흡수되어 살고 있는 형편이기에 갑자기 자치를 할 수도, 또한 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물론 일부 아이누족은 일본과 러시아의 자신들에 대한 태도에 반발하여 독립을 주장하는 파벌도 있지만, 대다수의 아이누족들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하다.
, 러시아나 일본의 갑작스런 양보가 없는 한은, 이들이 쿠릴 열도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가 없을 것이며, 기회가 오더라도 그 기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6. 마치며
지금까지 러시아와 일본과의 쿠릴 열도의 영토 분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일본은 러시아와는 쿠릴 열도, 중국과는 센고쿠, 우리나라와는 독도를 가지고 현재까지 갈등을 빚고 있다. 하지만 이렇다는 이유로 무조건 일본만을 비판하는 자세로 쿠릴 열도를 보는 것은 옳지 않고,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의 일방적인 잘못으로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오히려 이들보다는 원주민인 아이누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이 이 분쟁 해결의 요인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 큰 무리가 뒤따른다.
한국인들이 이 분쟁으로 배워야 하는 점은 바로 이 두 나라 간의 분쟁 협상 태도이다. 이들의 분쟁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원칙적인 기준에서는) 객관적인 자료들을 가지고 토론을 하고 있다는 점과, 무조건의 대립만이 아닌 (비록 실패하였지만)어느 정도 무르고 빠지는 과정들도 여러번 겪는 점을 말하는 것이다. 안타깝지만 한국인들은 일본인들과의 독도 영유권 분쟁을 실행할 때는 이러한 점이 아닌 감정적인 면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물론 러시아나 일본 같은 경우에도 국민 개인개인들은 이러한 감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대한민국의 정부에서 실행하는 독도에 대한 대응을 보면,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능력은 일본에 비해서 어느정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러시아나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들은 영토 분쟁에 대처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를 습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국가차원에서 노력을 해야만 우리들이 원하는 결과아 한발자국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일본의 영토분쟁. 최창근, 백산자료원, 2005년, 246~249쪽.
-동북아 지역의 영유권 분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이창위 등, 다운샘, 2006년, 37~67쪽.
-쿠릴 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맥락, 박원용,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제14차 국제학술대회 2007년, 93~100쪽.
-쿠릴열도 분쟁의 국제관계사, 최덕규,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42호 2011년, 159~179쪽.
-http://www.kuriles.ru/ (러시아어. 번역기 번역 필요.)
-http://ko.wikipedia.org/
이외에도 대전 이후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조약에도 문제가 있다. 샌프란시스코 조약 이전에 벌였던 알타 회담 등으로 인해 이미 연합국은 일본의 쿠릴 열도에 대한 주권 포기는 승인된 상황이었으며 당연히 쿠릴 열도에 속한 남쿠릴 열도의 북방 4도는 러시아의 차지다 라는 것이 러시아의 주장이다.
이에 일본은 이 북방 4도는 쿠릴 열도에 속한 지역이 아닌 자신의 영토인 홋카이도 지방에 소속된 지역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실제로, 이 북방 4도라는 용어가 나온 이유도 바로 이 쿠릴 열도라는 말을 대신하기 위해서이다.
5. 잊혀진 분쟁의 희생양. 아이누족
이러한 러시아와 일본 간의 치열한 분쟁의 역사 속에서 잊혀진 하나의 세력이 있는데, 그들은 바로 쿠릴 열도 및 홋카이도 지방의 원주민인 아이누족이다.
아이누족은 캄차카 반도를 통하여 쿠릴 열도 및 홋카이도 지방에 정착했다고 추정되고 있는 북극 문화권의 최남단 민족으로, 유전적으로 황인이라기보다는 백인의 특성을 띄고 있다는 것이 제일 큰 특징이다. 또한 일본어와 러시아어가 아닌 자신들만의 고유한 언어가 존재하며, 샤머니즘에 입각한 종교 및 사람의 이름을 중요시하는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수백년간 이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었던 아이누족들에게 있어서는 쿠릴 열도 분쟁은 재앙의 시작이었다. 경제적 교역을 빌미로 접근했던 일본인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누족들이 사는 지역들을 반식민지로 만들어 이들에 대한 수탈에 가까운 교역을 강요하였고, 이후 러시아의 진출 이후 홋카이도 지방을 점령하고 아이누족들에 대한 차별 및 탄압을 시작하였다.
러시아라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영토를 넓히기 위해 방해되는 요소들을 전부 제거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요소들 중에서는 러시아를 반대한 아이누족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이렇게 제거한 아이누족들 대신 자신의 국민들을 대거 이주시키는 정책을 실시해 쿠릴 열도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한 맥락도 있었다.
이 두나라의 개입으로 인해 아이누족은 경제적, 신체적 탄압은 물론이요 자신의 영토마저 빼앗기게 되는 수모를 겪게 되었으며, 이렇기에 쿠릴 열도를 아이누족의 자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것이 러시아와 일본간의 분쟁에서의 제일 좋은 해결방법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실제로 원칙에 따르면 당연히 이 지역의 영유권은 이들이 차지해야 하는 것이 옳다.
그렇지만 이러한 방법은 현재에 들어서면서 거의 불가능해졌다. 러시아와 일본이 진출한 이후 양국은 아이누족에 대한 차별책 및 탄압만 벌인 것이 아닌 그들을 자신의 국가에 편입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일본은 단일 민족이다.'라는 정신을 끝까지 주장하여 아이누족을 소수민족으로 취급하지 않고 이러한 현상은 바로 최근인 2008년도까지 지속된 방침이다.
같은 일본인으로 취급하는 정책을 수행하였으며, 결과 현재 일본에 살고 있는 아이누족들은 자신의 언어와 문화, 전통을 잃고 하나의 일본인으로서의 생활을 하고 있다. 러시아 쪽에서는 그나마 언어 및 전통을 유지하고 사는 아이누족들이 있긴 하지만, 이러한 소수민족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은 전무하며, 현재도 러시아어 및 문화를 받아들여 사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결국 이들은 주변의 각 강대국들에게 거의 완전히 흡수되어 살고 있는 형편이기에 갑자기 자치를 할 수도, 또한 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물론 일부 아이누족은 일본과 러시아의 자신들에 대한 태도에 반발하여 독립을 주장하는 파벌도 있지만, 대다수의 아이누족들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하다.
, 러시아나 일본의 갑작스런 양보가 없는 한은, 이들이 쿠릴 열도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기회가 없을 것이며, 기회가 오더라도 그 기회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6. 마치며
지금까지 러시아와 일본과의 쿠릴 열도의 영토 분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일본은 러시아와는 쿠릴 열도, 중국과는 센고쿠, 우리나라와는 독도를 가지고 현재까지 갈등을 빚고 있다. 하지만 이렇다는 이유로 무조건 일본만을 비판하는 자세로 쿠릴 열도를 보는 것은 옳지 않고,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의 일방적인 잘못으로 보는 것도 좋지 않다. 오히려 이들보다는 원주민인 아이누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이 이 분쟁 해결의 요인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 큰 무리가 뒤따른다.
한국인들이 이 분쟁으로 배워야 하는 점은 바로 이 두 나라 간의 분쟁 협상 태도이다. 이들의 분쟁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 (원칙적인 기준에서는) 객관적인 자료들을 가지고 토론을 하고 있다는 점과, 무조건의 대립만이 아닌 (비록 실패하였지만)어느 정도 무르고 빠지는 과정들도 여러번 겪는 점을 말하는 것이다. 안타깝지만 한국인들은 일본인들과의 독도 영유권 분쟁을 실행할 때는 이러한 점이 아닌 감정적인 면에 의존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물론 러시아나 일본 같은 경우에도 국민 개인개인들은 이러한 감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대한민국의 정부에서 실행하는 독도에 대한 대응을 보면,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능력은 일본에 비해서 어느정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러한 러시아나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우리들은 영토 분쟁에 대처하기 위한 올바른 자세를 습득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국가차원에서 노력을 해야만 우리들이 원하는 결과아 한발자국 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일본의 영토분쟁. 최창근, 백산자료원, 2005년, 246~249쪽.
-동북아 지역의 영유권 분쟁과 한국의 대응전략, 이창위 등, 다운샘, 2006년, 37~67쪽.
-쿠릴 열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맥락, 박원용, 동북아시아문화학회 제14차 국제학술대회 2007년, 93~100쪽.
-쿠릴열도 분쟁의 국제관계사, 최덕규,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42호 2011년, 159~179쪽.
-http://www.kuriles.ru/ (러시아어. 번역기 번역 필요.)
-http://ko.wikipedia.org/
추천자료
[영토분쟁] Diaoyudao는 첨각열도인가, 조어도인가
영토분쟁 속의 독도
한국의 영토문제-녹둔도
동북아 영토분쟁과 역사청산
일본과 러시아의 영토분쟁 국제관계
우리나라의 영토분쟁
동아시아 해양영토분쟁
독도와 이어도 분쟁 대비책
[일본정부, 행정개혁, 정보기반비전, 국가책임, 영토분쟁]일본정부의 정책결정요인, 일본정부...
[일본정부, 네트워크, 국가적 정보기반비전, 행정개혁]일본정부의 네트워크, 일본정부의 국가...
독도 (독도의 역사적 의미와 중요성, 한일 양국의 주장, 일본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 영토...
중국 일본관계-중일역사문제(역사인식, 야스쿠니신사 참배),영토분쟁(센카쿠열도),대만문제
세계 영토분쟁,한국의 영토분쟁,영토분쟁의 유형,ICJ 사례(양자간의 법정 협정),영유권의 승...
조어도는 일본영토인가 중국영토인가,영유권 분쟁 역사,중국의 주장,일본의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