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망
2. 실외놀이 계획안
비눗방울 물 만들기와 여러 모양의 채를 만들어 다양하게 불어보기.
3. 신체영역 계획안
요술 막대기야 움직여라. 뽀로롱!
4. 수·과학영역 계획안
공기란 무엇일까요?
5. 주제 환상극영역 계획안
‘공기의 모험’ 주제극 하기
6. 발표 시나리오(아주 자세한 발문)
2. 실외놀이 계획안
비눗방울 물 만들기와 여러 모양의 채를 만들어 다양하게 불어보기.
3. 신체영역 계획안
요술 막대기야 움직여라. 뽀로롱!
4. 수·과학영역 계획안
공기란 무엇일까요?
5. 주제 환상극영역 계획안
‘공기의 모험’ 주제극 하기
6. 발표 시나리오(아주 자세한 발문)
본문내용
있을까요?
C: (시범을 보이면서) 이렇게 4번을 멈추면 되요. 하나 둘 셋 넷! 이렇게하면 네모가 생 겨요.
T: 맞아요. 네모를 그리려면 요술막대기로 4번 멈춰야 되요.
다같이 해봐요.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면서) 하나 둘 셋 넷!
우와, 정말 멋진 네모가 만들어지네요.
팔랑이처럼 신나게 흔들어볼까요?
크게도 흔들어보고 작게도 흔들어 봐요.
팔랑이를 흔들 때랑 어떤 점이 달라요? 선생님은 나무막대기가 있어서 흔들기가 쉽
네요.
C: 맞아요. 흔들기가 쉬어요.
제가 움직이고 싶은 대로 움직일 수 있어요.
T: 우와, 정말 잘하네요.
요술막대기를 흔들면서 어떤 느낌이 들어요?
C: 요술막대기는 팔랑이보다 길어서 용이 날아오르는 것 같아요.
요술막대기도 춤을 춰요.
휘오리 바람 같아요.
③ 막대기 천을 이용해서 자유롭게 표현해본다.
T: 요술막대기로 어떤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요?
C: 엄마 얼굴이요. 내 얼굴이요.
비행기요. 꽃이요. 나비요.
T: 그러면 먼저 우리 엄마얼굴을 그려볼까요?
(막대기 천으로 그리는 시범을 보인다.) 선생님 엄마는 이렇게 머리카락이 짧고 눈이 커요.
우리 친구들 엄마는 어떤 얼굴이에요?
C: (막대기 천으로 그리면서) 저희 엄마는 머리가 길고 안경을 썼어요.
우리 엄마는 머리가 보글보글 거려요.
T: 우와, 그림을 보니 경옥이가 엄마를 닮았나보네요. 정말 예쁘시다.
이젠 자기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걸 그려볼까요?
C: 전 나무를 그릴거에요.
파란 하늘을 그리고 그 안에 날아다니는 새들을 그릴거에요.
4) 음악에 맞춰 막대기 천을 이용해 다양한 동작을 한 후, 느낌 점을 이야기 한다.
① ‘나를 따라 해봐요’ 음악을 1번 들려준다.
T: 우리 음악에 맞춰서 요술막대기와 함께 춤을 출거에요.
음악을 들으면서 선생님이 하는 걸 따라 해봐요.
T, C: (음악에 맞춰서 막대기천을 교사가 흔들면 유아들도 따라한다.)
② 막대기천으로 음악에 맞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움직여보게 한다.
T: (음악이 커지고 작아지는 것을 이용해서) 선생님처럼 아주 크게 빠르게 흔들면서 움
직여 봐요. 작게 아주 작게 살살 흔들어 봐요.
C: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T: (음악에 맞춰서 해본다.) 이제는 요술 막대기를 위로 던져 봐요.
처음엔 아주 크게 그 다음은 머리까지만 그 다음은 아주 작게 던져 봐요.
C: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T: 위로 던져봤으니깐, 이젠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C: 땅을 쳐봐요. 아주 크게 아주 작게요.
T: 우와, 그러면 우리 수혜를 따라서 우리 모두 해볼까요?
처음엔 아주 크게 그다음은 아주 작게 땅을 쳐요.
C: (음악에 맞춰서 수혜을 따라한다.)
T: 요술막대기를 머리위에서 동그랗게 돌려볼까요?
C: (음악에 맞춰서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우와, 머리위에 동그라미가 생긴 것 같아요.
T: 그러면 우리 한명씩 하는 것을 보면서 모두 따라해 봐요.
먼저 선생님 오른쪽에 있는 정인이부터 해봐요.
(교사가 차례가 된 아동의 이름을 정확히 호명해준다.)
자기가 움직이고 싶은 대로 자유롭게 움직여 봐요.
T, C: (시계방향으로 모든 유아가 하는 것을 따라 한다.)
③ 요술막대기를 제자리에 정리 정돈한다.
T: 지금까지 요술막대기와 재밌게 그림도 그리고 춤도 춰봤죠?
요술막대기도 헤어지기 싫은데, 이젠 헤어질 시간이 됐어요.
아까 팔랑이와 헤어졌을 때와 똑같이 요술막대기 집에 넣어주세요.
이때! 꼭 해야 되는 건 뭐죠?
C: 작별인사를 해야 되요.
T: 맞아요. 요술막대기와 인사하면서 요술막대기 집에 넣어주세요.
선생님이 요술막대기 집을 우리 친구 앞으로 가지고 가면 그 안에 넣어주세요.
C: 요술막대기야, 재밌었어. 안녕.
T: 요술막대기를 다 넣은 친구들은 자리에 동그랗게 앉아보세요.
④ 막대기에 붙어있는 천을 이용해 다 그려본 후, 이야기를 나눈다.
T: 요술막대기로 그려보니깐 어떤 느낌이 들었어요?
C: 뭐든지 다 그릴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천이 흔들거려서 그림이 춤을 추고 있는 것 같았어요.
천이 가벼워서 저까지 날아 갈 것 같았어요.
T: 요술막대기로 그림을 그리면서 아쉬웠던 점은 무엇이었어요?
C: 제가 그린 그림을 집에 가서 엄마한테 보여주고 싶은데 그러질 못해서 아쉬웠어요.
T: 그랬구나. 어떻게 하면 엄마가 보실 수 있을까요?
C: 요술막대기로 집에서 엄마 앞에서 그리면 엄마가 보실 수 있어요.
T: 우와, 그러면 되겠네요. 다음에 엄마 앞에서 요술막대기로 그려봐요.
그리고 다음에 요술막대기에 물감을 묻혀서 엄마가 보실 수 있도록 그림도 그려봐요.
음악에 맞춰서 춤을 출 때는 언제 재밌었어요?
C: 친구들을 따라하니깐 너무 재밌었어요.
크고 작게 하니깐 재밌었어요.
제가 하는 것을 친구들이 따라하니깐 신기했어요.
T: 하고 나서 아쉬운 점은 있었어요?
C: 좀 더 재밌는 춤을 출 수 있었는데 못해서 아쉬웠어요.
T: 어떤 재밌는 춤을 춰보고 싶었어요?
C: 요술막대기랑 개다리 춤을 추고 싶었어요.
T: 우와, 그렇게 췄으면 정말 재밌었겠어요.
다음에 또 할 때 우리 개다리 춤이랑 재밌는 춤을 춰봐요.
다음에는 요술막대기로 어떤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C: 요술막대기와 함께 춤을 출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술사가 된 것처럼 요술도 부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른 친구랑도 같이 추고 싶어요.
T: 그럼 다음번에 좀 더 큰 천으로 해보자! 다 함께 잡고 낙하산처럼 놀이하는 방법도 있어요.
오늘은 혼자서만 요술막대기로 움직였잖아요.
다음시간에는 혼자서하지 말고 여러 명이서 할 수 있을까요?
C: (작은 목소리로) 네, 할 수 있어요.
T: 목소리가 너무 작아서 할 수 없을 건가 봐요.
그러면 오늘만 요술막대기 보고, 그 다음엔 볼 수 없겠어요.
다음에 친구와 짝을 지어서 할 수 있으면, 요술막대기가 들을 수 있게 큰 목소리로 대답해 봐요.
C: (아주 큰 목소리로) 할 수 있어요.
T: 우와, 요술막대기도 기분이 좋아져서 우리 친구들하고 또 놀고 싶을 거에요. 다음 시 간에는 두 명씩 짝을 지어서 요술막대기와 함께 게임을 해봐요. 그리고 요술막대기에 물감을 칠해서 그림도 그려보기로 해요.
C: (시범을 보이면서) 이렇게 4번을 멈추면 되요. 하나 둘 셋 넷! 이렇게하면 네모가 생 겨요.
T: 맞아요. 네모를 그리려면 요술막대기로 4번 멈춰야 되요.
다같이 해봐요.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면서) 하나 둘 셋 넷!
우와, 정말 멋진 네모가 만들어지네요.
팔랑이처럼 신나게 흔들어볼까요?
크게도 흔들어보고 작게도 흔들어 봐요.
팔랑이를 흔들 때랑 어떤 점이 달라요? 선생님은 나무막대기가 있어서 흔들기가 쉽
네요.
C: 맞아요. 흔들기가 쉬어요.
제가 움직이고 싶은 대로 움직일 수 있어요.
T: 우와, 정말 잘하네요.
요술막대기를 흔들면서 어떤 느낌이 들어요?
C: 요술막대기는 팔랑이보다 길어서 용이 날아오르는 것 같아요.
요술막대기도 춤을 춰요.
휘오리 바람 같아요.
③ 막대기 천을 이용해서 자유롭게 표현해본다.
T: 요술막대기로 어떤 그림을 그릴 수 있을까요?
C: 엄마 얼굴이요. 내 얼굴이요.
비행기요. 꽃이요. 나비요.
T: 그러면 먼저 우리 엄마얼굴을 그려볼까요?
(막대기 천으로 그리는 시범을 보인다.) 선생님 엄마는 이렇게 머리카락이 짧고 눈이 커요.
우리 친구들 엄마는 어떤 얼굴이에요?
C: (막대기 천으로 그리면서) 저희 엄마는 머리가 길고 안경을 썼어요.
우리 엄마는 머리가 보글보글 거려요.
T: 우와, 그림을 보니 경옥이가 엄마를 닮았나보네요. 정말 예쁘시다.
이젠 자기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걸 그려볼까요?
C: 전 나무를 그릴거에요.
파란 하늘을 그리고 그 안에 날아다니는 새들을 그릴거에요.
4) 음악에 맞춰 막대기 천을 이용해 다양한 동작을 한 후, 느낌 점을 이야기 한다.
① ‘나를 따라 해봐요’ 음악을 1번 들려준다.
T: 우리 음악에 맞춰서 요술막대기와 함께 춤을 출거에요.
음악을 들으면서 선생님이 하는 걸 따라 해봐요.
T, C: (음악에 맞춰서 막대기천을 교사가 흔들면 유아들도 따라한다.)
② 막대기천으로 음악에 맞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움직여보게 한다.
T: (음악이 커지고 작아지는 것을 이용해서) 선생님처럼 아주 크게 빠르게 흔들면서 움
직여 봐요. 작게 아주 작게 살살 흔들어 봐요.
C: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T: (음악에 맞춰서 해본다.) 이제는 요술 막대기를 위로 던져 봐요.
처음엔 아주 크게 그 다음은 머리까지만 그 다음은 아주 작게 던져 봐요.
C: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T: 위로 던져봤으니깐, 이젠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C: 땅을 쳐봐요. 아주 크게 아주 작게요.
T: 우와, 그러면 우리 수혜를 따라서 우리 모두 해볼까요?
처음엔 아주 크게 그다음은 아주 작게 땅을 쳐요.
C: (음악에 맞춰서 수혜을 따라한다.)
T: 요술막대기를 머리위에서 동그랗게 돌려볼까요?
C: (음악에 맞춰서 교사가 하는 것을 따라한다.)
우와, 머리위에 동그라미가 생긴 것 같아요.
T: 그러면 우리 한명씩 하는 것을 보면서 모두 따라해 봐요.
먼저 선생님 오른쪽에 있는 정인이부터 해봐요.
(교사가 차례가 된 아동의 이름을 정확히 호명해준다.)
자기가 움직이고 싶은 대로 자유롭게 움직여 봐요.
T, C: (시계방향으로 모든 유아가 하는 것을 따라 한다.)
③ 요술막대기를 제자리에 정리 정돈한다.
T: 지금까지 요술막대기와 재밌게 그림도 그리고 춤도 춰봤죠?
요술막대기도 헤어지기 싫은데, 이젠 헤어질 시간이 됐어요.
아까 팔랑이와 헤어졌을 때와 똑같이 요술막대기 집에 넣어주세요.
이때! 꼭 해야 되는 건 뭐죠?
C: 작별인사를 해야 되요.
T: 맞아요. 요술막대기와 인사하면서 요술막대기 집에 넣어주세요.
선생님이 요술막대기 집을 우리 친구 앞으로 가지고 가면 그 안에 넣어주세요.
C: 요술막대기야, 재밌었어. 안녕.
T: 요술막대기를 다 넣은 친구들은 자리에 동그랗게 앉아보세요.
④ 막대기에 붙어있는 천을 이용해 다 그려본 후, 이야기를 나눈다.
T: 요술막대기로 그려보니깐 어떤 느낌이 들었어요?
C: 뭐든지 다 그릴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천이 흔들거려서 그림이 춤을 추고 있는 것 같았어요.
천이 가벼워서 저까지 날아 갈 것 같았어요.
T: 요술막대기로 그림을 그리면서 아쉬웠던 점은 무엇이었어요?
C: 제가 그린 그림을 집에 가서 엄마한테 보여주고 싶은데 그러질 못해서 아쉬웠어요.
T: 그랬구나. 어떻게 하면 엄마가 보실 수 있을까요?
C: 요술막대기로 집에서 엄마 앞에서 그리면 엄마가 보실 수 있어요.
T: 우와, 그러면 되겠네요. 다음에 엄마 앞에서 요술막대기로 그려봐요.
그리고 다음에 요술막대기에 물감을 묻혀서 엄마가 보실 수 있도록 그림도 그려봐요.
음악에 맞춰서 춤을 출 때는 언제 재밌었어요?
C: 친구들을 따라하니깐 너무 재밌었어요.
크고 작게 하니깐 재밌었어요.
제가 하는 것을 친구들이 따라하니깐 신기했어요.
T: 하고 나서 아쉬운 점은 있었어요?
C: 좀 더 재밌는 춤을 출 수 있었는데 못해서 아쉬웠어요.
T: 어떤 재밌는 춤을 춰보고 싶었어요?
C: 요술막대기랑 개다리 춤을 추고 싶었어요.
T: 우와, 그렇게 췄으면 정말 재밌었겠어요.
다음에 또 할 때 우리 개다리 춤이랑 재밌는 춤을 춰봐요.
다음에는 요술막대기로 어떤 것을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C: 요술막대기와 함께 춤을 출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술사가 된 것처럼 요술도 부릴 수 있을 것 같아요.
다른 친구랑도 같이 추고 싶어요.
T: 그럼 다음번에 좀 더 큰 천으로 해보자! 다 함께 잡고 낙하산처럼 놀이하는 방법도 있어요.
오늘은 혼자서만 요술막대기로 움직였잖아요.
다음시간에는 혼자서하지 말고 여러 명이서 할 수 있을까요?
C: (작은 목소리로) 네, 할 수 있어요.
T: 목소리가 너무 작아서 할 수 없을 건가 봐요.
그러면 오늘만 요술막대기 보고, 그 다음엔 볼 수 없겠어요.
다음에 친구와 짝을 지어서 할 수 있으면, 요술막대기가 들을 수 있게 큰 목소리로 대답해 봐요.
C: (아주 큰 목소리로) 할 수 있어요.
T: 우와, 요술막대기도 기분이 좋아져서 우리 친구들하고 또 놀고 싶을 거에요. 다음 시 간에는 두 명씩 짝을 지어서 요술막대기와 함께 게임을 해봐요. 그리고 요술막대기에 물감을 칠해서 그림도 그려보기로 해요.
추천자료
[과학적 관리법]테일러 과학적 관리법(테일러리즘)의 개념,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테일러리즘...
[북한 과학기술정책][북한 과학기술 개발현황][북한 대외 과학기술협력][북한 과학기술 발전 ...
[탐구수업]과학과 탐구학습 인지갈등수업모형, 과학과 탐구학습 발생학습모형, 과학과 탐구학...
독일 인문학(인문과학) 칸트철학(칸트사상), 독일 인문학(인문과학) 쉴러철학(쉴러사상), 독...
[과학교육과정][과학과수업][과학과학습]과학과(과학과교육) 현장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
[과학기술시대][실천철학][정치사회][윤리학][과학기술시대의 과제]과학기술시대의 실천철학,...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형성,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사상, 중국 과학(중국의 과학)의 ...
[기초과학][기초과학 육성][외국 기초과학 사례][기초과학 연구비 관리 모형]기초과학의 중요...
[과학기술정책][디지털경제]과학기술정책의 기본 방향, 과학기술정책의 지배구조, 과학기술정...
[과학기술][외국 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의 공공성, 과학기술의 위상, 과학기술의 협력프로그...
[과학기술][보건의료][정치사회][과학기술의 과제]과학기술의 특징, 과학기술의 낙관론과 비...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정의,특징,실태,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 단계,프...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개혁,기본방향,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
아동이 어떻게 과학을 학습해 나가는지 유아과학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