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2. 내과중환자 간호사정도구
*일반적 사항(자료수집일: 5/8 )
* 간호력
*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
1. Mental/Neurological Assessment
2. Airway / Respiratory Assessment
3. K / Cardiovascular Assessment
말초순환
4. IN / Inspection of skin
5. Pain
6. Gastrointestinal & genitourinary assessment
7. I / Invasive-line assessment
9-3. 내과중환자 진단 검사 결과
9-4. 내과중환자 약물치료 기록지
9-5. 간호과정(우선순위 1순위만 가지고 만들 것: 무조건 카피하지 말 것)
9-6. 참고문헌 (APA 양식)
*일반적 사항(자료수집일: 5/8 )
* 간호력
*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
1. Mental/Neurological Assessment
2. Airway / Respiratory Assessment
3. K / Cardiovascular Assessment
말초순환
4. IN / Inspection of skin
5. Pain
6. Gastrointestinal & genitourinary assessment
7. I / Invasive-line assessment
9-3. 내과중환자 진단 검사 결과
9-4. 내과중환자 약물치료 기록지
9-5. 간호과정(우선순위 1순위만 가지고 만들 것: 무조건 카피하지 말 것)
9-6. 참고문헌 (APA 양식)
본문내용
기능부전을 일으킨다.
1-1혈압의 변동(감소된 심박출량에 대한 보상반응이며 보상기전과 펌프작용의 실패로 저하될 수 있다.)
1-2 호흡곤란, 빈 호흡 (폐수종의 증상)
1-3 수포음 (폐수종의 증상)
1-4 정신상태의 변화 (drwosy →semicoma)
1-5 말초 맥박 감소 또는 소실
1-6 차가운 사지
1-7 창백 또는 피부 청색증
1-8 모세혈관 재 충혈 시간 3초 이상
1-9 핍뇨 (I&O check)
1-10 부종 (요흔성)
1-11 경정맥 확장
2.진단검사를 감시하고 보고한다.
2-1 GFR 수치변화 (15이하시 보고 )
2-2 creatinin수치 상승시 보고 (GFR 수치에 영향을 준다.)
3. 신장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3-1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Laxis : output이 잘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혈뇨관찰
4-1 Ca수치저하 관찰 (이뇨제인한) (신부전 → 이뇨제사용→ 다량의 이뇨와 체액량 감소, 고칼슘으로 신장혈관이 수축하여 혈류량이 감소되고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짐→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칼슘량 증가 (칼슘은 원인을 알수 없는 혈뇨의 주요인자)
결과
평가
5/8 4pm까지 대상자는 혈뇨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뇨제사용으로 인해 1시간당 100~120cc의 소변으로 연한노랑색이었으나 약 4시쯤 약효가 떨어졌는지 소변이 아예 나오지 않았다.(핍뇨) GFR수치는 16으로 15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으며, 크레아티닌수치도 변화가 없었다. Ca수치또한 변화없었고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호흡곤란증상은 없었으며 청진시 wheezing만 들릴뿐 수포음은 들리지 않았다. mental은 drwosy상태로 눈도 잘 못뜨고 처음에는 계셨으나 서서히 눈을 뜨시고 통증자극에 깨어나시는등 반응을 보였다. 말초맥박은 변화하지 않았으며 사지는 따뜻했다. 청색증은 없었으나 사지가 점점 검붉은색으로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장질환 환자들의 혈액색은 검붉은색이다.) 요흔성 부종은 없었으나 처음엔 오른손에만 있던 부종이 날이갈수록 점차 전신의 부종으로 변했다.
9-6. 참고문헌 (APA 양식)
1. 성인간호학 2 (2009) 박정숙 외.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735p~747p. 688p~695,
2. Adult health nursing (2012) 이웅현. 서울 퍼시픽북스 612p~640p
3. 기본간호학(2008) 변영순 외. 서울 정담미디어 869~879p
1-1혈압의 변동(감소된 심박출량에 대한 보상반응이며 보상기전과 펌프작용의 실패로 저하될 수 있다.)
1-2 호흡곤란, 빈 호흡 (폐수종의 증상)
1-3 수포음 (폐수종의 증상)
1-4 정신상태의 변화 (drwosy →semicoma)
1-5 말초 맥박 감소 또는 소실
1-6 차가운 사지
1-7 창백 또는 피부 청색증
1-8 모세혈관 재 충혈 시간 3초 이상
1-9 핍뇨 (I&O check)
1-10 부종 (요흔성)
1-11 경정맥 확장
2.진단검사를 감시하고 보고한다.
2-1 GFR 수치변화 (15이하시 보고 )
2-2 creatinin수치 상승시 보고 (GFR 수치에 영향을 준다.)
3. 신장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3-1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Laxis : output이 잘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혈뇨관찰
4-1 Ca수치저하 관찰 (이뇨제인한) (신부전 → 이뇨제사용→ 다량의 이뇨와 체액량 감소, 고칼슘으로 신장혈관이 수축하여 혈류량이 감소되고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짐→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칼슘량 증가 (칼슘은 원인을 알수 없는 혈뇨의 주요인자)
결과
평가
5/8 4pm까지 대상자는 혈뇨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뇨제사용으로 인해 1시간당 100~120cc의 소변으로 연한노랑색이었으나 약 4시쯤 약효가 떨어졌는지 소변이 아예 나오지 않았다.(핍뇨) GFR수치는 16으로 15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으며, 크레아티닌수치도 변화가 없었다. Ca수치또한 변화없었고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호흡곤란증상은 없었으며 청진시 wheezing만 들릴뿐 수포음은 들리지 않았다. mental은 drwosy상태로 눈도 잘 못뜨고 처음에는 계셨으나 서서히 눈을 뜨시고 통증자극에 깨어나시는등 반응을 보였다. 말초맥박은 변화하지 않았으며 사지는 따뜻했다. 청색증은 없었으나 사지가 점점 검붉은색으로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신장질환 환자들의 혈액색은 검붉은색이다.) 요흔성 부종은 없었으나 처음엔 오른손에만 있던 부종이 날이갈수록 점차 전신의 부종으로 변했다.
9-6. 참고문헌 (APA 양식)
1. 성인간호학 2 (2009) 박정숙 외.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735p~747p. 688p~695,
2. Adult health nursing (2012) 이웅현. 서울 퍼시픽북스 612p~640p
3. 기본간호학(2008) 변영순 외. 서울 정담미디어 869~879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