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읽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작 홍사용의 생애
2. 홍사용의 시세계
3. 「나는 왕이로소이다」

본문내용

리 없이 혼자 우는 버릇’이 생기게 된다. 여기서 ‘모가지 없는 그림자’란 식민지 백성으로 태어난 비극적 숙명을 뜻하며, ‘파랑새’는 자신의 이상 또는 희망을 상징한다. 또한 ‘흰 옷’은 성년(成年)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때부터 ‘죽음’에 대한 깊은 인식을 갖게 되었음을 뜻한다. 이렇게 아픔을 속으로 키우며 ‘쫓긴 이의 노래’ 같은 좌절감을 안고 생활하는 그에게 산천초목조차 무심하며, 세월은 허망하게 흐를 뿐이다. 결국 그는 ‘돌부처’ ― ‘미륵불’에게도 구원받지 못하는 신세로, 철저한 고독과 비애 속에서 처절한 ‘눈물의 왕’이 되고 마는 것이다.
당시의 현실 상황과 연관지어 ‘왕’을 조국으로, ‘어머니’를 식민지 이전의 조국인 대한제국의 상징으로 볼 수 있다면, 일제의 탄압으로 고통 받고 있는 ‘왕’이 어머니로부터 배운 것은 식민지라는 민족적 슬픔뿐이고, 식민지 백성으로서 ‘모가지 없는 그림자’를 가진 그는 ‘망국의 한(恨)’을 안고 살아가는 ‘눈물의 왕’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성년이 된 후로는 마음대로 울 자유마저도 박탈당하는 수모를 겪는 탓으로 ‘왕’이 다스리는 나라는 어디든지 설움만 존재하는 땅이 되는 것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는 산문체의 자유시로서 근대시 형식의 한 기틀을 마련해준 의미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시간적인 순서에 따른 것 같으면서도, 자세히 살펴보면 액자식 구성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첫 연과 마지막 연에서는 이미 성숙해 잇는 시인의 현실적 진술이 나타나고 그 안에 내포된 나머지 연에서는 이미 성숙해 있는 시인의 현실적 진술이 나타나고, 그 안에 내포된 나머지 모든 연들은 그의 유년시절의 추억이 과거시제 속에서 묘사되는 형식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이다’.‘-는지요’.‘-더이다’등의 독특한 어미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나는 왕이다’와 ‘나는 울었다\'는 문장의 반복적인 사용 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점이 특징적이다. 반복법이라면 이전의 다른 작품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특징인데 그 작품들은 반복이 반복에 그쳤을 뿐 그것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면서 작품의 정조를 살릴 만한 기법의 확보에는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나는 왕이로소이다」에서는 그러한 문체를 어미의 적절한 원용으로 타개하였다. 문체가 매우 여리고 가냘프며 백조파의 감상주의가 잘 드러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중학생이 알아야 할 시』, 구인환, 신원문화사, 2007, p.88
.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9.09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6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