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살생이 그릇된 까닭은’
[1절 인간의 생명]
1) 호모 사피엔스의 생명적 가치
2) 인격체의 생명적 가치
[2절 인격체의 생명의 가치]
3. 인격체는 생명에의 권리를 가지는가
4) 자율성에 대한 존중
2. 의식이 있는 생명
1) 의식이 있는 생명은 가치가 있는가
2)서로 다른 생명들의 가치비교
* 인간의 생명을 인격체로 한정한다면…
[1절 인간의 생명]
1) 호모 사피엔스의 생명적 가치
2) 인격체의 생명적 가치
[2절 인격체의 생명의 가치]
3. 인격체는 생명에의 권리를 가지는가
4) 자율성에 대한 존중
2. 의식이 있는 생명
1) 의식이 있는 생명은 가치가 있는가
2)서로 다른 생명들의 가치비교
* 인간의 생명을 인격체로 한정한다면…
본문내용
나 낙태를 부분적으로 허용하는 견해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과연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가지 요소만을 가지고 생명체의 권리를 논하기에는 일반적인 상식이나 직관과는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애완견과 바퀴벌레라는 두 동물을 다루면서, 전자는 인간과 친근하며 사람의 말을 잘 따르기 때문에 아끼고 보살핀다. 하지만 후자는 지저분한 병원균을 옮기며 대개 혐오감을 느끼기 때문에 살충제를 써서 죽인다. 피터 싱어의 논의를 적용시켜본다면 애완견과 바퀴벌레 모두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이 둘의 생명권은 공정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동물과 해로움을 끼치는 동물을 차별하는 것이 과연 그릇된 일인가? 그것 역시 종족 중심주의적 편견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는가?
하지만 과연 ‘쾌락과 고통’이라는 두 가지 요소만을 가지고 생명체의 권리를 논하기에는 일반적인 상식이나 직관과는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애완견과 바퀴벌레라는 두 동물을 다루면서, 전자는 인간과 친근하며 사람의 말을 잘 따르기 때문에 아끼고 보살핀다. 하지만 후자는 지저분한 병원균을 옮기며 대개 혐오감을 느끼기 때문에 살충제를 써서 죽인다. 피터 싱어의 논의를 적용시켜본다면 애완견과 바퀴벌레 모두 고통을 느끼기 때문에 이 둘의 생명권은 공정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동물과 해로움을 끼치는 동물을 차별하는 것이 과연 그릇된 일인가? 그것 역시 종족 중심주의적 편견에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는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