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기존 거대 세력(언론, 자본, 정부)에 대한 불신이 밑바탕으로 깔려있다. 인터넷이 자유로운 참여와 공유, 개방을 기반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임에도 이와는 정반대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덧붙여, 최근에 사망한 원맨밴드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이진원씨가 모 사이트에서 음원 사용료로 현금이 아닌 사이버 머니로 받았다는 소식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지기 시작하였다. 이데 대하여 누리꾼들은 분노하고 또 슬퍼하였다. 항상 거대 세력에 억압받고 피해를 당한 일반 서민들의 삶에 대한 울분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내용에 대하여 음원 사용사이트에서는 공지사항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공시적으로 부정하였다.
하지만 많은 아직은 의문스럽다는 견해를 가지도 있는 누리꾼들도 많다. 이는 사이버 머니를 제공했다는 내용의 글만이 빠르게 확산되고, 이에 대한 사이트의 공식적 입장에 대한 글은 그 만큼 퍼지지 않은 것도 이유가 되고 있다.
4. 우리사회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딜레마
이러한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불신문화는 인터넷에서 누리꾼들에게 자의적으로 하나의 지위를 내려 주게 된다. 공신력 있는 기관들을 믿지 않고 누리꾼 스스로에게 ‘영웅’ 혹은 ‘경찰’에 준하는 지위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진실과 사실을 위해 사용되는 권력의 임의적 사용으로 불법과 합법사이를 넘나들며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한다던지 그 외 각종 개인적 정보나 비밀들을 서슴없이 공유하면서 인터넷에서 항상 쟁점이 되는 정보공유와 정보침해의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의 이용은 다대다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참여자 수의 확장과 축소가 임의적으로 발생하고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의 위치가 불연속적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인터넷 이용자의 비일관성, 불연속성 가변성, 유동성의 특징을 가지게 한다.
불특정한 인터넷 공간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접하여 그 정보를 수용한 인터넷 이용자는 그 정보를 수정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인터넷이용을 하지 않는 이상 선접수된 정보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관념이 또한 쉽게 포기되는 것이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특징은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소위 말하는 ‘아니면 말고’의 무책임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부정확하고 비일관적이고 쉽게 변하는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여론의 동향을 말해준다.
5. 마무리
우리사회는 우리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서 불신의 사회로 가고 있다. 어느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고 있고 어느 누군가는 남 몰래 이득을 취득하고 있다는 생각을 당연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상황에서 인터넷 공간은 이러한 현실세계의 새로운 정립의 기회이며, 현실사회가 침해할 수 없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인터넷이 현실과 그 권력에 가깝게 맞대고 있다는 것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고 또 창출하고 재전송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에게는 커다란 상실감을 안겨주었다. 자유롭던 인터넷 공간에 대한 조종과 조작은 자신 이외에는 아무것도 믿을 수 없다는 한국 사회의 불신문화와 맞물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에서 표출되고 있다.
현재 소통을 이야기하고 소통을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지만 제대로 소통을 할 수 없는 것이 불신 문화가 자리 잡은 우리 사회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현주소가 아닐까싶다. 이러한 불신 풍조와 그에 따른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해소 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 우리는 진지하게 생각하거 되짚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불어 기존 거대 세력(언론, 자본, 정부)에 대한 불신이 밑바탕으로 깔려있다. 인터넷이 자유로운 참여와 공유, 개방을 기반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임에도 이와는 정반대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덧붙여, 최근에 사망한 원맨밴드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의 이진원씨가 모 사이트에서 음원 사용료로 현금이 아닌 사이버 머니로 받았다는 소식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지기 시작하였다. 이데 대하여 누리꾼들은 분노하고 또 슬퍼하였다. 항상 거대 세력에 억압받고 피해를 당한 일반 서민들의 삶에 대한 울분을 보여주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내용에 대하여 음원 사용사이트에서는 공지사항을 통하여 이러한 사실을 공시적으로 부정하였다.
하지만 많은 아직은 의문스럽다는 견해를 가지도 있는 누리꾼들도 많다. 이는 사이버 머니를 제공했다는 내용의 글만이 빠르게 확산되고, 이에 대한 사이트의 공식적 입장에 대한 글은 그 만큼 퍼지지 않은 것도 이유가 되고 있다.
4. 우리사회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딜레마
이러한 한국 사회의 뿌리 깊은 불신문화는 인터넷에서 누리꾼들에게 자의적으로 하나의 지위를 내려 주게 된다. 공신력 있는 기관들을 믿지 않고 누리꾼 스스로에게 ‘영웅’ 혹은 ‘경찰’에 준하는 지위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진실과 사실을 위해 사용되는 권력의 임의적 사용으로 불법과 합법사이를 넘나들며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한다던지 그 외 각종 개인적 정보나 비밀들을 서슴없이 공유하면서 인터넷에서 항상 쟁점이 되는 정보공유와 정보침해의 딜레마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인터넷의 이용은 다대다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참여자 수의 확장과 축소가 임의적으로 발생하고 메시지 생산자와 수용자의 위치가 불연속적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인터넷 이용자의 비일관성, 불연속성 가변성, 유동성의 특징을 가지게 한다.
불특정한 인터넷 공간에서 어느 하나의 정보를 접하여 그 정보를 수용한 인터넷 이용자는 그 정보를 수정하기 위하여 직접적인 인터넷이용을 하지 않는 이상 선접수된 정보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관념이 또한 쉽게 포기되는 것이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특징은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에 대해서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소위 말하는 ‘아니면 말고’의 무책임한 태도에서 비롯되고 부정확하고 비일관적이고 쉽게 변하는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여론의 동향을 말해준다.
5. 마무리
우리사회는 우리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서 불신의 사회로 가고 있다. 어느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고 있고 어느 누군가는 남 몰래 이득을 취득하고 있다는 생각을 당연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 상황에서 인터넷 공간은 이러한 현실세계의 새로운 정립의 기회이며, 현실사회가 침해할 수 없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인터넷이 현실과 그 권력에 가깝게 맞대고 있다는 것은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고 또 창출하고 재전송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에게는 커다란 상실감을 안겨주었다. 자유롭던 인터넷 공간에 대한 조종과 조작은 자신 이외에는 아무것도 믿을 수 없다는 한국 사회의 불신문화와 맞물려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에서 표출되고 있다.
현재 소통을 이야기하고 소통을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지만 제대로 소통을 할 수 없는 것이 불신 문화가 자리 잡은 우리 사회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현주소가 아닐까싶다. 이러한 불신 풍조와 그에 따른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해소 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서 우리는 진지하게 생각하거 되짚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마뉴엘 가스텔의 <네트워크사회의 도래 - 미디어 변화와 그에 따른 사회문화적 함의>에 관한 ...
로이스로제와그의아들,딸-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와 다원화된 동일성의 강제양상에 대하여.
현대 소비사회 문화와 신상녀
매스 미디어를 통한 문화전달의 고려사항
현대 사회와 매스컴 신문
현대그룹의 태동, 현대그룹의 성장과정, 현대그룹의 조직문화, 현대그룹의 현황, 현대그룹의 ...
「문화는 비극인가?」 짐멜의 문화이론과 문화비극, 객관적 문화와 주관적 문화, 돈(화폐), ...
미디어와 사회구조 관계 유형의 이상성 - 로젠그린의 문화와 사회관계 유형을 바탕으로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조형물은 그것이 세워지는 지역이나 장소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와...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사회와 간문화성의 역사적 전개과정 - 문화변용과 문화말살, 근대...
(현대의서양문화 C형) 글로벌리즘과 신자유주의의 사회, 경제적 환경 속에서 팝아트에서부터...
보육과정_현대의 주요 사회_문화적 변화와 이슈인 아동권리, 저출산과 가족의 변화, 여성의 ...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 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