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_ 작가소개
2_ 작품 소개 - \"A White Heron\"
2_1. 작품 줄거리
2_1. 작품 분석
3_ Charlotte Perkins Gilman의 “Herland\"와의 비교
4_ 참 고
2_ 작품 소개 - \"A White Heron\"
2_1. 작품 줄거리
2_1. 작품 분석
3_ Charlotte Perkins Gilman의 “Herland\"와의 비교
4_ 참 고
본문내용
, 자연에 대한 사랑이나 이성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면, 그녀와 비밀을 공유하는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존재는 무엇이 있을까 또 생각게 보게 합니다. 그녀에게 다른 정체성을 줄 수 있도록 이끄는 존재 말입니다.
이야기의 어조는 어떠한가? - 다시 말하자면, sylvia와 그녀의 성장에 대한 Jewett의 태도는 어떠한가? young man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그것은 전부 부정적인가?
- 작가는 Sylvia의 성장에 자신이 바라던 여성의 정체성 확립을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성에 이끌려 성장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바로 찾지 못하던 여성들을 보면서 작가는 많은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그런 부분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많은 여성들이 그러는 것처럼 처음에 Sylvia도 남성을 만나고 알게 되면서 좋아하는 감정을 느끼고 순간순간 그 느낌과 감정에 혼란스러워 하며 방황하게 됩니다. 하지만 작가는 그러한 순간들이 있더라도 여성들은 능동적인 모습으로 그런 기회를 거절 할 수 있으며 스스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녀가 갈등하는 장면이나 후회하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 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확고한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Sylvia로 하여금 끊임없이 갈등하게 함으로써 그런 방식이 옳은 것인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여성의 정체성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극단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작가는 Sylvia를 ‘외로운’이라고 칭하면서 그녀의 성장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 입장을 나타냅니다.
Young man에 대한 Jewett의 태도는 대놓고 그를 조롱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가 그의 원하는 바대로 솔직히 행동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행동들이 어떤 느낌을 주는지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느끼게 합니다. 이를 통해 그가 대표하는 당대의 가부장적 남성들에 대해 독자들 스스로가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제시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3_ Charlotte Perkins Gilman의
“Herland"와의 비교
◀ 공통점 ▶
herland와 a white heron 모두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Herland의 주인공들은 우리가 그 동안 생각해 왔던 여성적 이미지들과는 전혀 상반되는 특성들을 가집니다. 그녀들은 약하지도 질투하지도 않으며 서로 협동하고 자신들의 발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A white heron에서도 소녀는 남성에게 이끌려 가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결정합니다. 두 작품 모두 기존의 우리가 가진 사고에 반하는 소설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Herland에서 여성들의 특성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비틀고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 반면 A white heron에서는 여성들의 성장을 남자에 의해서가 아닌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데에 주목하여 바라보고 있습니다.
Herland의 여성들이나 White Heron의 Sylvia는 그 연유는 다르긴 하지만, 아버지, 그리고 남성이 부재된 공간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녀들에게 어떤 불편함이나 부족한 부분이란 없습니다. 그녀들에게 남성이란 성은 사회의 발전이나 개인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또한, Herland의 여성들이 정체된 사회에서 우왕좌왕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방법대로 끊임없이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하는 것과, Sylvia 역시 그녀 자신은 잘 의식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상징적으로 나무를 오르고, 백로와의 비밀을 지킴으로써 한 여성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보았을 때, 가부장제도의 인습과 반대되는 능동적인 여성상을 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차이점 ▶
Herland와 A White Heron에서 차이점을 생각해 봤을 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남성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입니다. Herland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여성들끼리 지내왔기 때문에 남성들을 대할 때 이성으로써 호감을 갖는다거나 끌리는 감정을 갖지 못합니다. 그리고 남성을 자신들과 같은 인간의 개념으로써 대하게 됩니다. 그러나 A White Heron에서 Sylvia는 Young man을 이성의 개념으로 바라보고 그로 인해 사랑의 감정을 느껴보게 됩니다. 이렇게 남성을 이성으로 보는지 안 보는지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자연을 보는 관점입니다. Herland에서는 자연을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조정하고 변화시키지만 A White Heron에서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물론 Herland의 여성들이 자연을 파괴한다고는 볼 수 없지만 그녀들의 지나친 합리적인 변화는 자연스런 Sylvia의 변화 보단 부정적으로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세 번째는 여성주의 소설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의 차이점입니다. Herland
는 당시 사회에 있던 여성과의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여권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지만 A White Heron에서는 여권신장보다는 단순히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바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때까지 당연스레 여겨지던 남성들에 의한 여성의 정체성 찾기가 아닌 여성 스스로 능동적인 자세로 정체성을 찾길 바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4_ 참 고
< 논문 >
새러 오언 쥬엇의 『시골 의사』와 『백로』에 나타난 새로운 여성 정체성 모색과 자연
이경란, 1999.08
근대 영미소설 제 6집 1호, 225~251쪽
Sarah Orne Jewett와 Kate Chopin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연구
이경란. 199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웹사이트 >
http://www.wsu.edu/~campbelld/amlit/jewett.htm
http://eilean-nan--roan.lemonology.com/sarah-orne-jewett.html
http://www.ferrum.edu/thanlon/StudyQ/JewettQ.htm
이야기의 어조는 어떠한가? - 다시 말하자면, sylvia와 그녀의 성장에 대한 Jewett의 태도는 어떠한가? young man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그것은 전부 부정적인가?
- 작가는 Sylvia의 성장에 자신이 바라던 여성의 정체성 확립을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남성에 이끌려 성장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바로 찾지 못하던 여성들을 보면서 작가는 많은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그런 부분에서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많은 여성들이 그러는 것처럼 처음에 Sylvia도 남성을 만나고 알게 되면서 좋아하는 감정을 느끼고 순간순간 그 느낌과 감정에 혼란스러워 하며 방황하게 됩니다. 하지만 작가는 그러한 순간들이 있더라도 여성들은 능동적인 모습으로 그런 기회를 거절 할 수 있으며 스스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녀가 갈등하는 장면이나 후회하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 문단에서 볼 수 있듯이 확고한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Sylvia로 하여금 끊임없이 갈등하게 함으로써 그런 방식이 옳은 것인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여성의 정체성의 확립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극단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서 작가는 Sylvia를 ‘외로운’이라고 칭하면서 그녀의 성장에 대한 이러한 이중적 입장을 나타냅니다.
Young man에 대한 Jewett의 태도는 대놓고 그를 조롱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가 그의 원하는 바대로 솔직히 행동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 행동들이 어떤 느낌을 주는지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느끼게 합니다. 이를 통해 그가 대표하는 당대의 가부장적 남성들에 대해 독자들 스스로가 한 번 생각해 보게 하는 제시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3_ Charlotte Perkins Gilman의
“Herland"와의 비교
◀ 공통점 ▶
herland와 a white heron 모두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가 등장합니다. Herland의 주인공들은 우리가 그 동안 생각해 왔던 여성적 이미지들과는 전혀 상반되는 특성들을 가집니다. 그녀들은 약하지도 질투하지도 않으며 서로 협동하고 자신들의 발전을 위해 노력합니다. A white heron에서도 소녀는 남성에게 이끌려 가는 것이 아닌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결정합니다. 두 작품 모두 기존의 우리가 가진 사고에 반하는 소설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Herland에서 여성들의 특성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비틀고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 반면 A white heron에서는 여성들의 성장을 남자에 의해서가 아닌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데에 주목하여 바라보고 있습니다.
Herland의 여성들이나 White Heron의 Sylvia는 그 연유는 다르긴 하지만, 아버지, 그리고 남성이 부재된 공간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녀들에게 어떤 불편함이나 부족한 부분이란 없습니다. 그녀들에게 남성이란 성은 사회의 발전이나 개인의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또한, Herland의 여성들이 정체된 사회에서 우왕좌왕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방법대로 끊임없이 사회를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하는 것과, Sylvia 역시 그녀 자신은 잘 의식하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상징적으로 나무를 오르고, 백로와의 비밀을 지킴으로써 한 여성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보았을 때, 가부장제도의 인습과 반대되는 능동적인 여성상을 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차이점 ▶
Herland와 A White Heron에서 차이점을 생각해 봤을 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남성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입니다. Herland에서는 오랜 시간동안 여성들끼리 지내왔기 때문에 남성들을 대할 때 이성으로써 호감을 갖는다거나 끌리는 감정을 갖지 못합니다. 그리고 남성을 자신들과 같은 인간의 개념으로써 대하게 됩니다. 그러나 A White Heron에서 Sylvia는 Young man을 이성의 개념으로 바라보고 그로 인해 사랑의 감정을 느껴보게 됩니다. 이렇게 남성을 이성으로 보는지 안 보는지에 대한 여성들의 태도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는 자연을 보는 관점입니다. Herland에서는 자연을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조정하고 변화시키지만 A White Heron에서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물론 Herland의 여성들이 자연을 파괴한다고는 볼 수 없지만 그녀들의 지나친 합리적인 변화는 자연스런 Sylvia의 변화 보단 부정적으로 보여지는 것 같습니다.
세 번째는 여성주의 소설을 통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의도의 차이점입니다. Herland
는 당시 사회에 있던 여성과의 대립적인 관계에 있는 요소들을 제거하고 여권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지만 A White Heron에서는 여권신장보다는 단순히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바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때까지 당연스레 여겨지던 남성들에 의한 여성의 정체성 찾기가 아닌 여성 스스로 능동적인 자세로 정체성을 찾길 바라고 있는 것 같습니다.
4_ 참 고
< 논문 >
새러 오언 쥬엇의 『시골 의사』와 『백로』에 나타난 새로운 여성 정체성 모색과 자연
이경란, 1999.08
근대 영미소설 제 6집 1호, 225~251쪽
Sarah Orne Jewett와 Kate Chopin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연구
이경란. 1998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웹사이트 >
http://www.wsu.edu/~campbelld/amlit/jewett.htm
http://eilean-nan--roan.lemonology.com/sarah-orne-jewett.html
http://www.ferrum.edu/thanlon/StudyQ/JewettQ.htm
키워드
추천자료
미국문학사 간결 요약 - 미국문학사의 흐름과 대표적 작가의 작품 분석
[문학과 여성상 ]문화 작품 속에서 여성상에 대한 분석과 비평 및 우리의 견해
[미당 서정주][미당][서정주][시][문학][문둥이][벽][친일작품][미당 서정주 약력]미당 서정...
이광수 문학 작품 분석
[김동인][인형작조종술 창작관][김동인 배따라기][김동인 광염소나타]김동인 생애, 김동인 작...
헤밍웨이의 삶과 문학세계 및 작품 분석
[한국현대문학A+] 김기림과 이상의 경성(서울)을 바라보는 시각분석 (두 작가의 작품중심으로)
[북한문학A+] 피바다 작품소개와 등장인물 소개 및 소설의 특징분석
[유아][공간조망능력][요리활동][동화][TV][문학작품][역사연표학습]유아와 공간조망능력, 유...
엘리엇의 대표 작품 ‘황무지’ 를 기존의 문학(19세기)관점과 모더니즘 문학(20세기) 관점에서...
고대문학부터 조선전기 문학까지 가운데 산문과 운문 중 한 작품을 선택하여 그 작품에 대한 ...
[국문학]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생애, 사상, 문학론, 작품해설 및 등장인물 분석
헤르만 헤세<데미안>에 나타나는 여러 문학적 모티프의 분석, 그리고 관련된 미술 작품 소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