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심리학상 적응기제의 종류 중 도피기제
1. 들어가며
2. 퇴행 ( 退行 regression )
3. 억압 ( 抑壓 repression )
4. 대치 ( 代置 subtitution )
5. 전이 ( 轉移 transference )
6. 부정 ( denial )
1. 들어가며
2. 퇴행 ( 退行 regression )
3. 억압 ( 抑壓 repression )
4. 대치 ( 代置 subtitution )
5. 전이 ( 轉移 transference )
6. 부정 ( denial )
본문내용
나타난다. 그러나 특히 공격의 대상을 바꾸어 다른 대상을 공격한다는 것은 대부분 자타에게 해로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공격성을 번번히 나타내는 사람은 정신 불건강자이다.
5. 전이 ( 轉移 transference )
전치라고도 한다. 좌절에서 오는 긴장을 덜기 위해 본능적인 충동을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옮기는 것과 같은 적응기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경직된 분위기의 상황 속에서 농담을 하는 행위나 때리는 시어머니 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나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 가서 눈 흘긴다와 같은 속담에서 보여진다.
6. 부정 ( denial )
부정은 외부현실의 불유쾌하고 원치 않는 부분들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예로는 눈 가리고 아웅한다는 말과 귀막고 방울 도적질한다는 속담에서 보여진다.
5. 전이 ( 轉移 transference )
전치라고도 한다. 좌절에서 오는 긴장을 덜기 위해 본능적인 충동을 덜 위협적인 대상으로 옮기는 것과 같은 적응기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어떤 경직된 분위기의 상황 속에서 농담을 하는 행위나 때리는 시어머니 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나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 가서 눈 흘긴다와 같은 속담에서 보여진다.
6. 부정 ( denial )
부정은 외부현실의 불유쾌하고 원치 않는 부분들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그예로는 눈 가리고 아웅한다는 말과 귀막고 방울 도적질한다는 속담에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