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유형과 특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의 유형과 특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애의 개념

2.장애인의 유형과 그에 따른 특성
1)지체장애
2)시각장애
3)청각장애
4)언어장애
5)정신지체
6)신장장애
7)심장장애
8)정신장애
9)발달장애
10)뇌병변장애
11)호흡기장애
12)간장애
13)안면장애
14)장루,요루장애
15)간질장애

본문내용

7월 1일부터 적용되는 장애인 복지법에서 새롭게 포함되는 장애의 유형이다. 2003년 장애인 복지법에는 호흡기 장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장애등급 기준을 밝히고 있다.
◎호흡기장애인
제1급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에 장애가 지속되며, 호흡곤란으로 인하여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극도로 제한되어 항상 개호가 필요한 사람
제2급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에 장애가 지속되며, 호흡곤란으로 인하여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현저히 제한되어 수면, 휴식 등 제한된 시간을 제외하고 항상 개호가 필요한 사람
제3급
- 폐나 기관지 등 호흡기관의 기능에 장애가 지속되며, 호흡곤란으로 인하여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사회생활 활동이 제한되어 수시로 개호가 필요한 사람
12)간장애
간장애란 간의 기능에 장애가 있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활동이 현저히 제한되는 만성·중증의 간 기능 이상을 말하며 이런 장애를 가진 사람을 간 장애인이라고 한다. 간장은 무게 1.4~1.6kg으로 인체의 장기중 제일 크며 영양소의 대사과정에서 분해와 합성을 담당하는 화학공장이며 저장창고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특히 놀라운 것은 2000여종의 효소가 있어 호르몬과 신경의 조절을 받아가며 기능을 나타낸다. 즉, 혈류조절작용, 여과작용, 저장작용, 소화촉진작용, 살균작용, 면역체형성 등을 한다. 그런데 간에 지나친 부담을 주었을 때 기능저하가 오는데 부담조건이 없어지면 원상회복되나 그렇지 못할 경우 간장이 피로해져서 기능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13)안면장애
안면부의 추상, 함몰, 비후 등 변형으로 인한 장애이다. 안면장애에는 면상반흔, 색소침착, 모발결손, 조직의 비후나 함몰, 결손이 포함된다. ‘함몰이나 비후’라 함은 연부조직, 골조직 등의 함몰이나 비후, 위축을 말한다. ‘단순한 함몰이나 비후에는 병변부위를 산정함에 있어서 75%로 계산한다. 안면변형장애는 이학적 검사로 확인하며 단순 X선 촬영, CT, MRI등으로 함몰이나 비후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안면부’라 함은 두부, 안면부, 경부, 이부와 같이 상지와 하지, 몸통 이외에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노출된 안면부’는 전두부와 측두부, 이개후부의 모발선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경부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는 수직선을 연결선을 경계로 얼굴, 귀, 목의 앞면을 포함한다.
14)장루,요루장애
-장루(腸瘻)는 체내 대변 배설에 문제가 생겨 수술을 통해 대변을 체외로 배설하기 위해 복벽에 구멍을 내어 만든 인공항문으로 장루장애인은 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을 뜻한다.
<장루·요루장애등급기준규정>
2급 -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요루"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2. 고도의 배뇨장애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 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현저한 변형이 있거 나 장루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 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腸) 내용물이 지속적으로 흘러나와 수술 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으며, 구멍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급 - 1. 요루와 함께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같이 가지고 있는 사람
2. 요루와 함께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함께 가지고 있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에 현저한 변형이 있거나 장루 주변의 피부가 현저히 헐은 사람
3. 회장루, 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고도의 배뇨 기능장애가 있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공장·회장·상행 또는 횡행결 장이 방사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으로부터 장 내용물이 대부분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해서도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4급 - 1. 요루를 가진 사람
2. 회장루·상행 또는 횡행결장루를 가진 사람
3.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고, 배뇨기능장애가 있는 경우 또는 그 중 하나 이상의 장루가 변형되었거나 장루 주 변의 피부가 헐었기 때문에 장루보조용품을 1일 1회 이상 교체하거나 장세척을 필요로 하는 사람
4. 장루 또는 요루를 가지고 있고, 하행 또는 에스결장이 방사 선 등에 의한 손상으로 장루 이외의 구멍에서 장내용이 지 속적으로 흘러나오며 수술 등에 의해 치유될 가능성이 없는 사람
5급 - 하행 또는 에스결장루를 가지고 있는 사람.
15)간질장애
간질은 질환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뇌의 화학적 또는 구조적 장애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이다. 인간은 누구에게나 발작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나 대부분 사람들의 뇌는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저항력이 낮은 사람은 발작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런 사람을 간질환자라고 한다.
간질장애의 원인으로 원인불명간질, 특발성간질, 소아 징후성 간질, 급성 징후성 발작 등이 있다.
지금까지 장애인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장애인의 유형이 다양하고 여러 가지 형태와 등급이 나누어져 있다.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보장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장애인들의 의료비 부담을 저렴한 요금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장애 유형별 장애 정도에 적절한 직업훈련의 실시와 취업 직종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고 직업 재활법에 의한 장애인의무고용제를 더욱 확대하여 시행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입장에서는 장애인들의 인권을 옹오하는데 중대한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서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호응 속에서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설득해야 한다.
4.출처
-김용일外 사회복지학개론(동인)
-정영숙外 장애인복지론(현학사)
-전용호 저 장애인복지론(학문사)
http://log.naver.com/ghghgh06?Redirect=Log&logNo=80017559714네이버블로그
http://www.kgmil.or.kr/technote/read.cgi?board=j_bong1&y_number=7&nnew=2zz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9.21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4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