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 영양문제와 식생활 관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습관 영양문제와 식생활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양소 및 요구량

2. 수 유

3. 이 유

4. 급·간식을 통한 영양관리

5. 식사 예절

6. 부모교육

7.영양문제

본문내용

(pemoline)은 가끔 사용한다. 과행동증의 어린이에게 약품을 투여하면 행동이 가라 앉지만 부작용으로 식욕이 감퇴하며 약물을 투여하기 전 이나 이후에 영양소가 농축된 음식을 주면 효과적이다.
식사요법:과행동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식사로는 인공 첨가물을 제한하는 feingold식이 와 설탕제한식,비타민과량 복용법 등이 있다.
feingold 식이:아스피린에 함유된 살리실산염이 인공색소와 향신료에 민감하다는 것을 feingold가 발견하게 되어 식이에서 인공색소,향신료,BHA나BHT등의 방부제를 함유한 모든 식품을 제거한다.
설탕제한식:어린이들이 설탕을 많이 섭취하고 나면 행동이 과격해진다는 보고와 함께 261명의 과행동증 어린이 중 75%가 비정상적이었다.
비타민 과량 섭취 법 : 과량의 비타민을 섭취하여 과행동증이 수정될 수 있다고 pauling이 주장 하였다. 과량의 니코틴산을 처음에 정신분열증 환자치료에 사용하였고 그 후 과행동증, 자폐증, 정신박약 등에도 사용하고 있다. 주로 나이아신,아스코로빈산, 피리독신, 티아민, 펜토텐산 등의 비타민 과량 복용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4) 충치
충치의 예방
충치는 영아가 우유병을 입에 문 채 잠드는 버릇에서 나타난다.
충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유병을 입에 문 채 잠이 들지 않도록 하며 우유, 쥬스 등을 먹은 뒤 물로 입을 씻도록 한다.
page347 (표8-27)한국아동의 남녀 충치 발생률 참조
충치의 예방
불화물이 충치를 억제하는 데는 3가지의 작용이 있다.
법랑질 외측 표면에 불화물 농도가 높으므로 산에 의한 법랑질을 용해 저항력 상승
과도하게 경화된 법랑질을 재경화시킬 수 있는 능력
고농도에서 불화물의 항세균 작용
불화물은 법랑질보다 완벽한 결정체를 형성하여 산에서 잘 녹지 않고 충치가 덜 발생 한다.
불화물이 들어있는 식품으로는 해산물인데 정어리, 연어와 같이 뼈가 작은 물고기이다.
불소 용액 양치법과 불소겔 도포법으로는 0.05%의 불화소다 용액으로 매일 1회씩 양 치하거나 0.2% 불화소다 용액으로 2주에 한 번씩 양치하는 방법이 있으며 불소겔 도포 법(silant)은 약 75%의 우식 예방 효과가 있으며 치과에서 하게 되며 효과가 뛰어나다.
음식물
가. 충치 유발성이 높은 식품
당질 중 설탕이 가장 충치 유발성이 높고 특히 정제가 잘된 식품으로는 치면에 잘 부착되 는 음식이 충치 유발성이 높은 식품이다. 설탕 다음으로는 포도당이 충치 유발이 높았고 맥아당, 유당, 과당 등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나. 충치 유발성이 낮은 식품
충치 유발성이 낮은 식품으로는 단백질이며 단백질은 법랑질의 용해도를 감소시켜 충치를 억제한다고 하였다. 또한 치아 세균 내막 내에서 생성된 산을 중화시킨다고 한다.
섬유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은 치아 표면에 달라붙은 음식물 찌꺼기를 닦아 내는 역할을 하며 채소나 과일류가 좋다.
세균
충치의 원인이 되는 연쇄상구균 돌연변이종은 평상시 누구나 존재하는 것으로 이것을 없 애는 것은 불가능하며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밖에 없으며 당분을 제거하는 일과 칫솔질을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없애주고 잇몸의 혈액순환을 도와 맛사지 효과를 가져 와 치은을 튼튼하게 해준다.
우유병성 치아 우식증은 상악 전치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우유병을 오랫동안 사용하면 서 플라스틱 젖꼭지를 물고 있으므로 발생한다.
(5) 감기
감기에 잘 걸리는 어린이들에게서 병에 대한 면역성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영양상태의 저하는 병에 대한 저항력을 떨어뜨린다.
식욕부진 등이 동반되는 증상들은 정상적인 음식을 먹기 어렵게 하며 이러한 상태가 계속 되면 체내 아미노산, 전해질, 무기질 등의 손실이 많아진다.
(6) 설사
설사는 유아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병으로 원인으로는 장의 자극, 환경의 변화, 스트레스, 감염, 식중독 등이 있으며 유아의 수분 손실은 매우 위험하다.
설사가 심할 때는 1일~2일 동안 아무것도 먹이지 않고 정맥을 통하여 전해질과 수분을 공 급하여 주며 증상이 약한 설사의 경우는 음식을 제한하고 탈수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실 된 수분과 전해질(Na, K등)보충을 위해 액체를 공급한다.
page 349 (표 8-28) 영양소 결핍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증세 참조
수분공급을 하다가 음식을 먹게 되면, 처음에는 약간의 설탕이 포함된 수분을 공급하다가 점차 섭취량을 늘려간다. 특히 처음에는 당질, 또는 지질이 함유된 음식을 먹다가 소화 및 흡수가 어려운 섬유소 들을 제한하는 저섬유소 식사가 바람직하며 사과 중에 펙틴은 수분 을 흡수하여 점도 잇는 변을 만드는 작용을 하므로 좋고 잘 익은 바나나는 부족한 포타슘 을 공급하여 주는 좋은 식품이며 약간 짭짭한 크래커는 나트륨을 공급하여 준다.
(7) 빈혈
철분 함량이 높은 식품으로는 철분 강화식품, 말린 과일, 육류, 종자류, 견과류, 콩류 등 인 데. 유아의 경우 이러한 식품들로부터 철분권장량이 충족되는 식사를 하기가 쉽지 않다.
우리나라 유아들 경우 빈혈 이환율은 1.9%~20.3%까지 차이를 보이며, 저소득층 유아에서 이환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며 다른 음식을 먹지 않고 우유만 먹는 어린이의 경우 철분결핍 빈혈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은 2~4세 어린이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영양성 빈혈(nutrritional anemia)
영아기에 이유가 늦으면 체내 철분이 다 소모되어 빈혈증이 나타나게 되며 혈액검사에서 철분결핍성 빈혈이 많으며 연령면 에서 1~2개월 어린이가 많다.
철(Fe)결핍성 빈혈은 조산아나 또는 모체의 철분 섭취량이 부족한 유아에게 나타난다.
우유는 우수한 영양식품이기는 하나 몇 가지 중요한 영양소가 심히 결핍되어 있는데 철분 과 아스코르브산의 결핍이 가장 현저하다.
철제와 종합 비타민을 겸한 치료가 좋은데 비타민은 역시 제한된 식이를 먹는 경우, 부족 하기 쉬운 것이고 특히 이중의 아스코르브산과 엽산은 혈액형성에 필요한 성분이다. 따라 서 어린이들이 먹는 식이는 되도록 빨리 그 나이에 맞는 음식으로 맞추어 나가는 것이 좋 다.
page 350 (표8-29)영양의 빈혈 진단을 위한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의 표준치 참조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9.27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9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