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제임스의 여인의 초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헨리제임스의 여인의 초상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줄거리

* 작품해설

본문내용

때부터 가까이 지내는 사이였다. 그러다가 1865년 제임스가 스물 둘이고 미니가 스무 살일 때 둘은 사랑에 빠지게 되었다. 미니는 지적이고 아름다운 여인이었지만 당시 불치병이었던 폐결핵을 앓아 삶에 대한 애착이 강렬하여 안타까울 지경이었지만 객혈을 거듭한 끝에 24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애절한 심정을 승화시키고, 오래도록 기억하기 위해서 '아름답고 우아한 예술의 그림자 속에 그녀의 그림자를 묻는' 방법으로 제임스는 자신의 작품의 주인공으로 미니를 재현시키고 있다. ‘비둘기의 나래’의 밀리 씰(Milly Theale)이 미니가 죽음에 직면했을 때의 고통과 인생에 대한 무한한 갈구를 재현하고 있다면, 이 작품의 이사벨은 미니가 살아있었을 때 그녀가 펼치게될 인생의 페이지들 즉 자유로운 인생의 경험들, 그리고 그것에 수반하게 될 여러 선택, 그로 인한 고난과 좌절 등을 그리고 있다.
제임스의 '상상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미니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이사벨은 젊고, 아름답고,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놀랄 만큼 활발한 상상력을 가진 인물로 제시된다. 이는 제임스 작품에서 자주 등장하는 데이지 밀러(Daisy Miller), 밀리 씰, 매기 버버(Maggie Verver)와 계보를 같이 하는 소위 '미국인 이브'(American Eve)이다. 이들은 대체로 유럽 문명의 미와 우아함이 도덕적인 타락과 악과 함께 존재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현실 삶을 순진한 상태에서 이상화시키고 자신들은 그 이상 속에서 영웅적으로 행동하기를 꿈꾸는 현실적 기반이 없는 인물들이다.
'낭만적 상상력'을 가진 이사벨은 이 세상을 아름답고, 자유스럽게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고, 행동의 제약이 없는 장소라는 확고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 하루의 반을 아름다움과 용기와 관대함에 대해 생각할 정도이며, 세상을 두려워한다던가 부끄러워하는 것을 증오할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은 매우 높은 반면 지식은 부족하고, 그녀가 가진 확신은 순진함과 더불어 독단적이었다. 무슨 일이나 호기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고, 내 눈으로 보고 내 손으로 해보고서 확실한 지식을 얻으려고 했고, 아무리 고독하더라도 독자적인 삶을 영위하려고 했다.
이런 상상력과 삶의 태도를 가진 이사벨 앞에 유럽에서의 새로운 경험이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고, 그녀는 마치 팬터마임을 보는 어린 아이 마냥 이것을 즐기게 되었다. 유럽의 첫 기착지인 이모부 댁 가든코트(Gardencourt)는 완벽한 아름다움의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었으며 그녀의 상상력을 충족시켜주기에 충분했다. 가든 코트는 이사벨이 항해하게 될 유럽이라는 바다의 축소판이며, 유럽의 문화와 아름다움, 세련된 새로운 세계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이사벨의 유럽 도착과 함께 시작되는 작품의 시작과 유럽에서의 인생 항해를 마치고 새로운 인식단계에 도달하는 작품의 마지막 장면 모두 가든 코트로 설정되어 있는 순환 구조를 택하고 있는 작품의 구조는 이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리고 가든 코트라는 명칭은 명백히 에덴 동산(Garden of Eden)에서 따온 것으로 첫 장면에서의 이사벨의 모습은 에덴 동산의 이브처럼 순진 무구하고 아름답다. 그러나 마지막 장면의 이사벨은 선악과를 따먹은 후의 이브와 같이 세상의 모든 악을 인식하게 된 성숙한 여인의 모습이다.
그래서 이사벨은 자기를 제한하고 이상의 추구를 저지할지도 모르는 언약을 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사벨의 이상은 자유스러운 인생탐구에 있지만, 인생이 제시하는 어떤 확고한 제의에 응하는 데는 주저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낭만적 상상력을 가진 사람들처럼 무언가 막연한 것을 추구하는 야망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이다.
워버튼 경과의 결혼이 자칫 자기 자신을 인생에서 분리시켜버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고, 자신의 운명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결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녀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자신의 자유이며, 독립심인데 워버튼의 청혼을 거절함으로써 자신의 독립심이 더욱 강화되어졌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이사벨이 원하는 것은 보통의 처녀들이 구혼자에게서 원하는 용모나 자신에 대한 사랑,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안정도 아니다. 유달리 강한 독립심을 마음껏 발휘하여 인생의 바다에 돛을 올리고 뜻대로 항해할 수 있는 자유, 이것이 그녀가 원하는 전부였던 것이다. 자신의 자유를 구속할 수 있는 일체의 것을 거부하는 방법으로 워버튼 경과 굿우드의 청혼을 거절하는 선택을 한 것이다.
랠프의 관대한 사랑으로 인해 삶의 실체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 이사벨은 이제 오즈먼드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에서 삶에 대한 희망과 용기를 가지고 진정한 자유가 요구하는 책임을 지려하는 이사벨의 적극적인 의지의 행위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대사들에서 '풍성한 상상력' (imagination galore)을 갖고서 현실 관조의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 스트레더(Lambert Strether)가 "올바르기 위해서"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어떤 일도 선택할 수 없다고 말한 것처럼 '낭만적 상상력'을 갖고서 유럽에서의 삶을 시작했던 이사벨이 이제 의식의 성장을 통해서 '풍성한 상상력'을 갖게 되어 의식의 자유를 제외하고는 모든 것을 포기하고 어떤 이익도 구하지 않게 된 삶의 태도를 갖게 된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대사들에서 마리아(Maria Gostrey)가 모든 것을 포기한 스트레더에 대해 "삶에 대한 놀라운 인상을 얻게 되었기 때문에 굉장한 것을 장차 얻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이사벨 또한 스트레더처럼 유럽에서의 경험을 통해 굿우드라는 현실의 외면상 이득을 포기하는 "무서울 정도로 올바른" 의식을 통해 현실 인생의 외양 이면의 실체까지 통찰할 수 있는 예술가의 눈을 갖게 되었다. 제임스에게 있어서 예술가의 모습은 항상 자기에게 주어진 삶의 이익을 포기하고 삶에서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그 모든 가능성과 해석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세상의 실체를 정확히 인식하게 되었고, 인생이란 것은 다만 의식의 여행일 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 이사벨이 그 의식의 여행을 자유로운 정신에서 계속하기 위해서 내린 적극적인 선택의 행위라고 말하고 싶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9.30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