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제작 과정의 전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극 제작 과정의 전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극제작 과정의 전반
● 작품선택
● 공연계획수립
● 팀 구성
● 공연준비
● 홍보, 마케팅
● 공연진행
● 평가와 결산

2. 연출가의 작업과정
● 자신에 대한 작업
● 배우에 대한 작업
● 스태프에 대한 작업

3.주요 스태프
● 무대감독
● 조연출

4. 무대장치

5. 조명

본문내용

용히 않아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사건을 감정이입과 동일시를 통해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연출가가 프로시니엄 무대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 깊이를 강조한 움직임과 무대 배치를 하지 않으면 관객은 공연이 지루하고 밋밋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무대 세트의 배열과 배우의 움직임, 자세 등에서 사선, 수직선, 곡선 등 깊이를 강조한 연출에 힘써야 한다.
돌출무대(thrust stage) : 무대가 객석으로 돌출해 있는 무대형태. 무대그림 등에 손쉽게 입체감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정된 방향이 없기 때문에 배우의 움직임을 배치할 때 연출가에게 어려움을 준다. 한 쪽으로 열린 위치는 다른 쪽에서는 닫혀 있끼 때문에 자주 방향과 자세를 바꿔 주어야 하고, 세트도 뒤쪽에만 배열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적이지 못하고 평면적인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출무대는 관객과의 강한 유대감을 강조하거나 공연의 '놀이성'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셰익스피어 연극에서 주로 이러한 무대가 사용되었다.
원형무대(arena stage) : 무대를 둘러싼 모든 공간에 관객이 있는 형태로 프로시니엄 무대에 비해 약 두 배 가량의 관객이 공연을 볼 수 있다. 실내와 야외 모두에 무대를 설치할 수 있고 또 가장 저렴하게 무대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대와 객석이 실제적으로도 심리적으로도 거의 구분되지 않기 때문에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무대 세트는 최소한으로 배치해야 하며 또 모든 방향을 염두에 두고 배우의 움직임을 배치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무대위에서 환영을 창조하는데 주목표를 두는 작품에는 적합하지 않다. 역동적이고 관객의 참여가 적극적이어야 할 공연에 적합한 무대이다. 동서양 연극 모두 이 원형무대에서부터 출발하여 여러형태의 무대로 발전하였고 우리나라의 경우 마당극의 무대가 이러하다.
조명
조광기 (디머 dimmer) 디머는 빛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 장치이다.전원에 연결된 디머는 콘솔로부터 전달받은 내용을 실행하여 회로에 연결된 조명기의 빛의 밝기를 조절한다. 콘솔은 크게 수동으로 직접적으로 디머를 조절하는 프리세트보드와 조명 큐를 데이터에 저장하고 실행하는 컴퓨터 콘솔로 나뉘어진다.
빨강+파랑 = 자홍 '마젠타'
파랑+녹색 = 청록 '사이안'
녹색+빨강 = 노랑 '앰버'
색 무대 조명의 색은 무대장치와 무대의상의 색을 고려해서 선택한다. 두 개 이상의 광원(조명기)을 통해 색을 혼합해서 흰색 표면에 비추어 봄으로써 아래 그림과 같은 빛의 색환을 얻을 수 있다. 삼원색이란 다른 색의 혼합에 의해 다시 만들어질 수 없는 색을 말하는데, 물감의 삼원색은 빨강, 노랑, 파랑인 반면, 빛의 삼원색은 빨강, 파랑, 녹색이며, 삼원색 중 두 개를 선택해서 혼합하여 얻게되는 색을 이차색 이라고 하는데, 빨강과 파랑을 섞으면 마젠타(magenta)라고 하는 자홍색이, 파랑과 녹색을 섞으면 사이안(cyan)이라고 하는 청록색이, 녹색과 빨강을 섞게 되면 앰버(amber)라는 노랑이 나온다. 빛의 삼원색을 섞으면 흰색이 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04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