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즉시 실시하며 의사나 응급요원에게 급히 도움을 청함.
□ 심정지의 징후
호흡중단, 맥박이 소실(심첨부, 요골동맥, 대퇴동맥, 경동맥 등), 동공이완, 혈압을 잴 수 없음,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함. * 특징적 징후: 경동맥 맥박 소실은 확실한 심장 정지
□ 심정지 대상자의 간호관리
- 1단계: 심폐소생술과 전기쇽 등 포함하는 응급 간호의 시행
- 2단계: 특수한 약물치료 중심으로 한 의학적 치료
- 3단계: 대상자의 소생 후에 합병증의 예방과 정신적 간호 중심이 되는 소생후 간호
□ 심폐소생술
□ A: Airway 기도확보 B: Breathing 인공호흡 C: circulation or cardiac compression
- 가능한 한 빨리 심정지 후 3-4초내에 대상자의 기도 및 호흡을 사정한다.
- 대상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서 구강과 기도에 있는 점액이 나 이물을 제거
- 대상자의 턱을 들어올리며 이마를 눌러주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기도가 열림 (head tilt, chin lift maneuver)-혀와 턱의 근육을 이완시키게 되므로 혀가 뒤로 넘어가 는 것을 막아줌.
- 흉부관찰, 코와 입, 가슴에 대어 호흡을 하는지 확인.
- 구강대 구강법 (mouth to mouth ventilation)이 가장 효과적
- 시술자가 충분히 숨을 들어마신 후에 대상자의 코를 잡고 입안으로 어른은 15회/분, 어 린이는 20회/분 속도로 불어넣는다. 첫 번째 호흡은 3-5초내에 크게 4번을 강하게 불어 넣는다.
- 호기는 대상자의 상복부를 눌러주면 충분, 흉부와 복부를 동시에 누르지 않도록 조심할 것.
- 구강대 구강법 실시 할 수 없을 경우 구강대 비강법 실시.
- 만일 기도폐쇄 인정되면 대상자의 견갑골 사이에 타격을 가하면 제거됨.
- 기도가 유지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면 3-5초내에경동맥과 맥박을 사정하고 경동맥 맥박 촉지 되지 않을 때 곧 심장마사지 실시. 뇌로 가는 혈류 차단 가능성: 양쪽 경동맥을 동 시에 만지지 않을 것.
- 심장압박 : 대상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혀 놓고 손바닥으로 흉골과 척추 사이에 율동적 으로 압박을 가함으로써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밀어보내게 됨. : 수축기혈압 100mmHg 이상 올릴 수 있음.
- 흉골의 중간하부에 두손을 십자모양으로 포개어 올려 놓고 두 팔꿈치는 똑바로 펴서 시줄자의 몸이 90도 각도로 대상자의 가슴위에서 밑을 향하여 압박 가함.
- 두사람의 시술자= 5:1 / 한사람의 시술자= 15:2
- 보통 성인 60-70회/분 정도로 흉골이 3.8-5cm 정도 눌리도록 압박
- 10세 이하 : 80회/분 흉골이 1.8-3.8 cm 정도 눌리도록 함. 검상돌기 누르지 않도록 할 것.
- 5초 이상 중단하지 않을 것 : CPR이 효과를 가져온다 해도 정상 심박출량의 40%만이 가능하므로
- 15초 이상의 휴식 위험- 대상자 이송, 기관내 삽관 대상자
□ CPR에 대한 효과적 반응이 나타날 때, 의사가 사망 선고 할때, 구조자가 지쳐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을때 => CPR 중단
□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징후가 나타나야 함.
- 동공의 수축: 동공확대는 보통 심장마비 후 45초~ 1-2분 후에는 완전히 확대됨.
동공의 반응은 뇌의 산화상태에 대한 가장 좋은 지침.
뇌에혈류가 전달되어 산화되면 동공은 빛에 반응함.
- 심장압박시마다 명백한 경동맥 맥박이 있는 경우
- 눈꺼풀의 자극으로 눈이 깜박 거리는 경우
- 호흡이 자동적으로 시작되는 경우
- 대상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경우
- 청색증이 감소되며 안색이 붉은 빛으로 돌아오는 경우
□ 소생 안되는 경우: 대표적 이유
- CPR 방법이 부정확했을 때
- 심장압전(cardiac tamponade)이나 출혈로 혈액이 새어 나갈 때
- 폐색적 (pulmonary embolism)으로 심장수축이 5초이상 지연되어서는 안된다는 점. 그 이상 지연되면 뇌로 가는 산소의 양이 보다 적어질 수 있기 때문
□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원인, 발생형태, 치료방법 고려
- 기도내관 endotracheal tube 삽입하여 산소 투여하고 심장의 수축력을 증진시키며 순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 자극제나 혈압상승제 투여
□ 심폐소생술 후 간호
- 심전도, 중심정맥압, 활력징후 계속 check
- 체온을 매시간 잰다. 높은 열은 대게 대뇌 손상이나 뇌부종을 의미한다.
- 체온이 38.5도 이상이면 냉찜질, 저온담요 등을 사용하여 체온을 하강시킴으로써 대뇌 부종을 경감시킴
- 동맥혈 검사하여 혈액내 가스분압과 PH의 측정으로 심정지로 인한 대사성 산중독증을 발견, ->중조 NaHCO₃정맥주사 하여 세포의 무산소상태동안에 젖산이 축적되어 생긴 산중독증을 제거.
- 뇌손상이나 산중독증으로 경련이 생긴 경우에는 amobarbital sodium 을 정맥으로 투여 하며 경련이 계속되면 dilantin 투약
- 흉부X-선 촬영하여 심폐소생술로 인한 늑골골절과 같은 합병증 치료
- 의식이 없는 대상자에게는 기도유지를 위해 기도내관을 계속 유지시키며, 필요시 인공 호흡기 사용
-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양을 정확히 측정, 심정지 후 소변 배설량은 심맥관계의 상 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소변량이 30cc 이하면 의사에게 알린다.
□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 심장압박 -> 늑골 골절-> 기흉 올 수 있다.
-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간과 비장 등에 손상을 주어 출혈 일으키기도 함.
- 대뇌저산소증으로 뇌 손상이 오고 대사성 산독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심장도 파열될 수 있다.
6. 간호진단
- 부정맥으로 인한 심실 충만시간의 감소와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 불확실한 결과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불안
- 리듬장애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와 관련된 활동내구성결여
-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조직의 관류 이상
- 심계항진과 관련된 안위변화
- 가정에서의 심부정맥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 심정지의 징후
호흡중단, 맥박이 소실(심첨부, 요골동맥, 대퇴동맥, 경동맥 등), 동공이완, 혈압을 잴 수 없음, 사지의 경련과 피부나 안색이 회색으로 변함. * 특징적 징후: 경동맥 맥박 소실은 확실한 심장 정지
□ 심정지 대상자의 간호관리
- 1단계: 심폐소생술과 전기쇽 등 포함하는 응급 간호의 시행
- 2단계: 특수한 약물치료 중심으로 한 의학적 치료
- 3단계: 대상자의 소생 후에 합병증의 예방과 정신적 간호 중심이 되는 소생후 간호
□ 심폐소생술
□ A: Airway 기도확보 B: Breathing 인공호흡 C: circulation or cardiac compression
- 가능한 한 빨리 심정지 후 3-4초내에 대상자의 기도 및 호흡을 사정한다.
- 대상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서 구강과 기도에 있는 점액이 나 이물을 제거
- 대상자의 턱을 들어올리며 이마를 눌러주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기도가 열림 (head tilt, chin lift maneuver)-혀와 턱의 근육을 이완시키게 되므로 혀가 뒤로 넘어가 는 것을 막아줌.
- 흉부관찰, 코와 입, 가슴에 대어 호흡을 하는지 확인.
- 구강대 구강법 (mouth to mouth ventilation)이 가장 효과적
- 시술자가 충분히 숨을 들어마신 후에 대상자의 코를 잡고 입안으로 어른은 15회/분, 어 린이는 20회/분 속도로 불어넣는다. 첫 번째 호흡은 3-5초내에 크게 4번을 강하게 불어 넣는다.
- 호기는 대상자의 상복부를 눌러주면 충분, 흉부와 복부를 동시에 누르지 않도록 조심할 것.
- 구강대 구강법 실시 할 수 없을 경우 구강대 비강법 실시.
- 만일 기도폐쇄 인정되면 대상자의 견갑골 사이에 타격을 가하면 제거됨.
- 기도가 유지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면 3-5초내에경동맥과 맥박을 사정하고 경동맥 맥박 촉지 되지 않을 때 곧 심장마사지 실시. 뇌로 가는 혈류 차단 가능성: 양쪽 경동맥을 동 시에 만지지 않을 것.
- 심장압박 : 대상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혀 놓고 손바닥으로 흉골과 척추 사이에 율동적 으로 압박을 가함으로써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밀어보내게 됨. : 수축기혈압 100mmHg 이상 올릴 수 있음.
- 흉골의 중간하부에 두손을 십자모양으로 포개어 올려 놓고 두 팔꿈치는 똑바로 펴서 시줄자의 몸이 90도 각도로 대상자의 가슴위에서 밑을 향하여 압박 가함.
- 두사람의 시술자= 5:1 / 한사람의 시술자= 15:2
- 보통 성인 60-70회/분 정도로 흉골이 3.8-5cm 정도 눌리도록 압박
- 10세 이하 : 80회/분 흉골이 1.8-3.8 cm 정도 눌리도록 함. 검상돌기 누르지 않도록 할 것.
- 5초 이상 중단하지 않을 것 : CPR이 효과를 가져온다 해도 정상 심박출량의 40%만이 가능하므로
- 15초 이상의 휴식 위험- 대상자 이송, 기관내 삽관 대상자
□ CPR에 대한 효과적 반응이 나타날 때, 의사가 사망 선고 할때, 구조자가 지쳐 더 이상 계속할 수 없을때 => CPR 중단
□ 성공적인 CPR 수행의 확인기준
-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징후가 나타나야 함.
- 동공의 수축: 동공확대는 보통 심장마비 후 45초~ 1-2분 후에는 완전히 확대됨.
동공의 반응은 뇌의 산화상태에 대한 가장 좋은 지침.
뇌에혈류가 전달되어 산화되면 동공은 빛에 반응함.
- 심장압박시마다 명백한 경동맥 맥박이 있는 경우
- 눈꺼풀의 자극으로 눈이 깜박 거리는 경우
- 호흡이 자동적으로 시작되는 경우
- 대상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경우
- 청색증이 감소되며 안색이 붉은 빛으로 돌아오는 경우
□ 소생 안되는 경우: 대표적 이유
- CPR 방법이 부정확했을 때
- 심장압전(cardiac tamponade)이나 출혈로 혈액이 새어 나갈 때
- 폐색적 (pulmonary embolism)으로 심장수축이 5초이상 지연되어서는 안된다는 점. 그 이상 지연되면 뇌로 가는 산소의 양이 보다 적어질 수 있기 때문
□ 심정지 후 의학적 치료
- 원인, 발생형태, 치료방법 고려
- 기도내관 endotracheal tube 삽입하여 산소 투여하고 심장의 수축력을 증진시키며 순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 자극제나 혈압상승제 투여
□ 심폐소생술 후 간호
- 심전도, 중심정맥압, 활력징후 계속 check
- 체온을 매시간 잰다. 높은 열은 대게 대뇌 손상이나 뇌부종을 의미한다.
- 체온이 38.5도 이상이면 냉찜질, 저온담요 등을 사용하여 체온을 하강시킴으로써 대뇌 부종을 경감시킴
- 동맥혈 검사하여 혈액내 가스분압과 PH의 측정으로 심정지로 인한 대사성 산중독증을 발견, ->중조 NaHCO₃정맥주사 하여 세포의 무산소상태동안에 젖산이 축적되어 생긴 산중독증을 제거.
- 뇌손상이나 산중독증으로 경련이 생긴 경우에는 amobarbital sodium 을 정맥으로 투여 하며 경련이 계속되면 dilantin 투약
- 흉부X-선 촬영하여 심폐소생술로 인한 늑골골절과 같은 합병증 치료
- 의식이 없는 대상자에게는 기도유지를 위해 기도내관을 계속 유지시키며, 필요시 인공 호흡기 사용
-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양을 정확히 측정, 심정지 후 소변 배설량은 심맥관계의 상 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소변량이 30cc 이하면 의사에게 알린다.
□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 심장압박 -> 늑골 골절-> 기흉 올 수 있다.
-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간과 비장 등에 손상을 주어 출혈 일으키기도 함.
- 대뇌저산소증으로 뇌 손상이 오고 대사성 산독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심장도 파열될 수 있다.
6. 간호진단
- 부정맥으로 인한 심실 충만시간의 감소와 관련된 심박출량의 감소
- 불확실한 결과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불안
- 리듬장애로 인한 심박출량의 감소와 관련된 활동내구성결여
- 심박출량 감소와 관련된 조직의 관류 이상
- 심계항진과 관련된 안위변화
- 가정에서의 심부정맥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cleft palate&lip 케이스
아동간호학 AGE case study (급성위장염)
모성간호학실습
성인간호 실습 체크리스트- 워크북
기본간호중재와수기 운동과동작 실습보고서
모성간호학 - C/S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 'Thyroid Cancer에대한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 'laryngeal Ca 에대한 Case study'
아동간호학
응급간호
간호이론 - 존슨의 7가지 행동체계 적용에 관하여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제왕절개 (C-Sec)
성인간호학 - 신경과 병동 실습 레포트, CASE STUDY
성인成人간호학 급성폐수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