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NB와 PB 비교
■ PB 현황
■ 대표 PB 종류 및 사례
(1) 할인마트
1. 이마트
→자연주의
→Daiz
2. 홈플러스
→알뜰상품
→좋은상품
→프리미엄
→웰빙플러스
(2) 백화점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3) 편의점
→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4) 기타
→ 뷰티&헬스 부문, Watson's
■ 참고문헌
■ 추가 언론 자료
■ PB 현황
■ 대표 PB 종류 및 사례
(1) 할인마트
1. 이마트
→자연주의
→Daiz
2. 홈플러스
→알뜰상품
→좋은상품
→프리미엄
→웰빙플러스
(2) 백화점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3) 편의점
→훼미리마트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4) 기타
→ 뷰티&헬스 부문, Watson's
■ 참고문헌
■ 추가 언론 자료
본문내용
11% 감소하였는데, 전문가들은 판매 감소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앞으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P&G 뿐만이 아니다.
소비재시장 세계 3위 유니레버, 크리넥스 티슈 제조회사인 킴벌리 클락, 냉동식품 제조기업 사라 리, 치약 및 비누 제조기업 콜게이트-팔몰리브 등이 모두 지난 분기 수익이 감소했다.‘소비재시장에는 불경기가 없다’라는 명제가 한때 정설처럼 여겨졌지만, 이번 경기불황에서만큼은 예외로 남지 못하고 있다.
유통업체들의 PB상품과의 경쟁이 심화된 것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PB상품은 브랜드 제품에 비해 25% 정도 가격이 낮아 1센트라도 아끼고픈 소비자의 심리를 정확히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유통업체들도 높은 수익을 기록할 수 있는 자사의 PB상품에 더 많은 자리를 내어주면서 대기업 브랜드 제품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마케팅 전문가 장-베네딕트 스틴캠프는 PB상품 점유율이 월마트 20%, 크로거는 35%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2008년 PB상품 판매는 미국이 9%, 유럽이 5% 증가하였으며, 중간급 브랜드도 이미 PB상품에게 밀려 경쟁력을 많이 잃은 상태이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이 불황기에 PB상품의 경쟁력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또한 조사기관 번스테인은 경기불황 중 PB 상품을 사용한 소비자 중 절반이 다시 브랜드 상품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PB상품의 품질이 좋아지고 PB상품과 값비싼 브랜드 제품 사이의 차이점을 알아내 는 일도 어려워지고 있다. 경기불황이 끝나고 난 뒤에도 PB상품의 열기가 지속될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PB상품은 주로 불황에서 판매가 증가하였고, 경기가 회복되면 다시 판매가 감소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PB상품시장 확대가 가격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품질 향상까지 동반되어 일어났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PB상품 사랑이 지속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참고문헌
-이마트 홈페이지
-홈플러스 홈페이지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60823411
-헤럴드경제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04/20/200904200168.asp
-블로그
http://www.cyworld.com/ififly/2717121
-SERI포럼의 열린지식존
■ 추가 언론 자료
소비재시장 세계 3위 유니레버, 크리넥스 티슈 제조회사인 킴벌리 클락, 냉동식품 제조기업 사라 리, 치약 및 비누 제조기업 콜게이트-팔몰리브 등이 모두 지난 분기 수익이 감소했다.‘소비재시장에는 불경기가 없다’라는 명제가 한때 정설처럼 여겨졌지만, 이번 경기불황에서만큼은 예외로 남지 못하고 있다.
유통업체들의 PB상품과의 경쟁이 심화된 것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PB상품은 브랜드 제품에 비해 25% 정도 가격이 낮아 1센트라도 아끼고픈 소비자의 심리를 정확히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유통업체들도 높은 수익을 기록할 수 있는 자사의 PB상품에 더 많은 자리를 내어주면서 대기업 브랜드 제품의 입지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마케팅 전문가 장-베네딕트 스틴캠프는 PB상품 점유율이 월마트 20%, 크로거는 35%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2008년 PB상품 판매는 미국이 9%, 유럽이 5% 증가하였으며, 중간급 브랜드도 이미 PB상품에게 밀려 경쟁력을 많이 잃은 상태이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이 불황기에 PB상품의 경쟁력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또한 조사기관 번스테인은 경기불황 중 PB 상품을 사용한 소비자 중 절반이 다시 브랜드 상품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PB상품의 품질이 좋아지고 PB상품과 값비싼 브랜드 제품 사이의 차이점을 알아내 는 일도 어려워지고 있다. 경기불황이 끝나고 난 뒤에도 PB상품의 열기가 지속될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PB상품은 주로 불황에서 판매가 증가하였고, 경기가 회복되면 다시 판매가 감소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PB상품시장 확대가 가격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품질 향상까지 동반되어 일어났다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PB상품 사랑이 지속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 참고문헌
-이마트 홈페이지
-홈플러스 홈페이지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60823411
-헤럴드경제
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04/20/200904200168.asp
-블로그
http://www.cyworld.com/ififly/2717121
-SERI포럼의 열린지식존
■ 추가 언론 자료
추천자료
[PB 브랜드 마케팅 현황 조사] 사례 홈플러스, 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신세계백화점, CU, G...
[PB 브랜드, 상품 현황 조사] Private Brand 업계 현황 (대형마트)
[PB 브랜드, 상품 현황 조사] 할인점 의류 PB를 중심으로 하는 Private Brand
PB상품,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PB상품, 브랜드 현황 조사 (Private Brand) 및 한계점
PB 상품 브랜드 현황 조사, 성공 이유 분석
[PB 브랜드 상품 현황] 대형할인점 문제점 및 해결방안
PB(Private Brand) 브랜드 상품 현황, 대형마트 사례, 향후 전망
[PB 상품 브랜드 현황] 종류, 장단점 및 전망(대형마트,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중심으로)
PB 시장 현황 상품 브랜드 조사, 유형, 매출, 특징, 문제점, 개선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