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아비만
2) 체중미달과 허약
2) 체중미달과 허약
본문내용
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식사
- 과식이나 폭식을 줄인다.
- 아침을 꼭 먹자
- 짜게 먹는 습관, 빨리 먹는 습관, 군것질하는 습관을 버리도록 한다.
-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 고칼로리 식사가 되도록 신경
쓴다.
- 지나친 저칼로리식사요법은 지양 한다: 유아의 성장을 방해
- 적당한 운동과 활동
⇒ 유아는 아직 음식의 섭취량을 포함한 식생활을 스스로 조절, 관리할 능력이
없으므로 부모의 책임이 크다.
② 신체활동
신체활동의 부족은 비만의 주요원인이 된다. 신체활동의 부족에 영향을 주는 주
요 요인은 TV시청을 들 수 있다. TV시청은 열량을 적게 소비하면서 고열량 식
품 등으로 된 간식을 주로 먹기 때문에 비만을 조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시기
에는 TV 시청보다는 자전거 타기, 술래잡기, 줄넘기, 바깥놀이 활동, 뛰기, 산책,
모래놀이, 신체게임 활동 등 동적인 활동을 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2) 체중미달과 허약
체중감소로 인한 성장부진은 급성이나 만성질환, 제한식이, 변비나 약물치료로 인한
식욕부진, 식품공급의 부족 등에서 나타난다.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체중이 감소하고 이후 계속해서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성장
이 지연되거나 멈출 것이다. 신장의 상승은 아연 결핍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있다. 특별
한 이유가 없이 체중 미달일 경우는 영양소 증가에 의해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식사를 조금씩 자주 나누어 먹도록 하여 에너지 섭취를 늘리
며 이때 에너지뿐 아니라 다른 영양소의 섭취도 늘리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아동의 경우 음식물 섭취부족으로 영양소 부족뿐 아니라 식이섭취도 부족
하여 배변상태가 나빠질 뿐 아니라 식욕부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과일
과 채소, 고 식이섬유 시리얼, 그리고 현미나 통밀 등을 이용하여 변비치료를 해야 한다.
허약한 아동의 식사에 있어서는 적절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
며 우선 아동의 식욕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운 음식을 조리하여
주도록 한다.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장기발달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가 있으므로, 이 시기의 영양소
결핍은 다음에 영양을 섭취한다 해도 장기발달에 보상이 되지 않으므로 필요시에 꼭
영양소를 섭취하는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 시기의 영양부족은 유아들의 신체
적, 행동적 그리고 인지적 발달에 중용한 영향을 미친다.
- 과식이나 폭식을 줄인다.
- 아침을 꼭 먹자
- 짜게 먹는 습관, 빨리 먹는 습관, 군것질하는 습관을 버리도록 한다.
-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 고칼로리 식사가 되도록 신경
쓴다.
- 지나친 저칼로리식사요법은 지양 한다: 유아의 성장을 방해
- 적당한 운동과 활동
⇒ 유아는 아직 음식의 섭취량을 포함한 식생활을 스스로 조절, 관리할 능력이
없으므로 부모의 책임이 크다.
② 신체활동
신체활동의 부족은 비만의 주요원인이 된다. 신체활동의 부족에 영향을 주는 주
요 요인은 TV시청을 들 수 있다. TV시청은 열량을 적게 소비하면서 고열량 식
품 등으로 된 간식을 주로 먹기 때문에 비만을 조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시기
에는 TV 시청보다는 자전거 타기, 술래잡기, 줄넘기, 바깥놀이 활동, 뛰기, 산책,
모래놀이, 신체게임 활동 등 동적인 활동을 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2) 체중미달과 허약
체중감소로 인한 성장부진은 급성이나 만성질환, 제한식이, 변비나 약물치료로 인한
식욕부진, 식품공급의 부족 등에서 나타난다.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체중이 감소하고 이후 계속해서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성장
이 지연되거나 멈출 것이다. 신장의 상승은 아연 결핍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있다. 특별
한 이유가 없이 체중 미달일 경우는 영양소 증가에 의해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너지 섭취가 부족하면 식사를 조금씩 자주 나누어 먹도록 하여 에너지 섭취를 늘리
며 이때 에너지뿐 아니라 다른 영양소의 섭취도 늘리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아동의 경우 음식물 섭취부족으로 영양소 부족뿐 아니라 식이섭취도 부족
하여 배변상태가 나빠질 뿐 아니라 식욕부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과일
과 채소, 고 식이섬유 시리얼, 그리고 현미나 통밀 등을 이용하여 변비치료를 해야 한다.
허약한 아동의 식사에 있어서는 적절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
며 우선 아동의 식욕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운 음식을 조리하여
주도록 한다.
아동의 발달과정에서 장기발달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가 있으므로, 이 시기의 영양소
결핍은 다음에 영양을 섭취한다 해도 장기발달에 보상이 되지 않으므로 필요시에 꼭
영양소를 섭취하는 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 시기의 영양부족은 유아들의 신체
적, 행동적 그리고 인지적 발달에 중용한 영향을 미친다.
추천자료
비만(비만의 규정, 발명, 이상비만, 체중감량, 등)에 대하여 쓰시오
[생활위생학] 비만(비만의 규정, 발명, 이상비만, 체중감량, 등)에 대하여 쓰시오
[A+ 완성] 우리나라의 체형변화의 양상 ,원인 및 건강체중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비만][행동수정][비만치료][다이어트][치료]비만과 행동수정을 통한 비만치료(비만, 행동수...
[정신분석][행동주의][프로이드]정신분석 개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성격발달이론, 프로이드...
[생활과건강]사례자 35세 여대생 박씨를 위한 체중감소 식사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주의학습이론의 배경,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의의와 성격, 행동주의학습이론의 학습 원리와...
[모성애][모성애와 심리][모성행동][모성행동과 영아기질][모성정체성][모성정체성의 형성]모...
[심리학개론] 자신의 행동방식 중 긍정적으로 바꾸고 싶은 부정적 행동, 하고 있지는 않으나 ...
[청소년 문제행동] 가출 청소년(家出靑少年)의 문제행동 - 가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위험행...
[건강증진론 A] 미국의 건강증진(Healthy People 2020)에서 영양과 체중상태를 중요시 하는 ...
[이상심리학] 아동기 · 청소년기 장애의 치료 - 행동수정(행동형성, 행동연쇄, 소거, 고립, ...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역사, 인지행동치료적응증, 인지행동치료목표, 인지행동치료원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