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의 모든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간 구부린 자세를 취하여 볼의 진입각도에 따라 재빠르게 앞뒤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자세를 취한다. 또한 볼에 집중하고, 자세를 취하기 쉬운 장소로의 빠른 이동, 양손을 잡고 임팩트 부위를 볼에 닿게 하는 타이밍이 포어암패스 기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3요소이다.
o 허리를 숙이면서 양손을 앞으로 뻗어 볼을 받을 때 양 팔꿈치의 간격은 가능한 좁히고 팔의 안쪽이 볼의 방향으로향하게 한다.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 있지 않으면 포어암
패스 시 볼이 자신의 얼굴 쪽으로 바운드되며, 양손끼리잡은 손이 완전하지 못하면 볼을 의도한 방향으로 패스하지 못한다.
③ 다른 패스 기술
기본 패스 기술인 오버핸드(헤드) 패스나 포어암 패스 기술은 패스하려는 방향으로 신체 정면을 위치시켜 패스하면 프론트 오버 및 포어암 패스라고 부르나 뒤쪽으로 패스를 하면 백오버 또는 백 포어암 패스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백 오버핸드(헤드) 패스 기술은 허리와 어깨 그리고 손목의 유연성이 좋지 않으면 숙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패스감각이나 자기 팀 선수의 위치를 파악하는 집중력이 떨어지면 백 포어암 패스
기술을 전개하기 힘들다.
2) 리시브의 종류
리시브(Receive)는 상대 서브에 대한 서브 리시브 기술과 상대 스파이크 공격에 대한 디그(Dig) 기술이 이에 해당한다. 정확한 자세에 의한 리시브 기술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첫째, 준비자세가 올바르게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상대 공격수가 볼을타구하기 전에 공격 동작이나 폼을 분석하여 어떤 코스로 볼이 올 것인가를 예측하고 이를 방어하기 위한 리딩 능력과 빠른 이동능력이 우수해야 한다. 셋째, 공격수의 스파이크공격이나페인팅(feinting)에 의해 처리한 볼에 대해 한번 취해진동작에서 동작형태를 바꾸어야 할 상황에서의 반사적인 리시브 능력이 필요하다.
① 서브 리시브(Serve Receive)
상대의 서브를 리시브하여 세터에게 패스하는 기술을 서브리시브라고 한다. 현대 배구에서 상대 서브에 대해 완전하게서브 리시브하는 것은 세터로 하여금 공격 성공률이 높은 세
트 플레이를 전개할 수 있게 한다. 즉, 팀의 공격 성공률은첫 번째 수비기술인 서브 리시브에 의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배구기술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경기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세터에게 볼을 보내는 서브 기술을 완벽하게 습득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완전한 서브 리시브는 자기 팀의 공격형태가 오픈 공격에만 의존하는 상황을 만들기 때문에 낮은 공격 성공률이 경기에서나타날 수 있다.
서브 리시브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o 상대 서버의 볼의 구질 그리고 스피드 및 낙하지점을 간파하여 빠르게 움직여 볼을 정면으로 받도록 이동하여기본자세를 취하는 연습을 반복한다.
o 서브되어 날아 온 볼의 높이를 빨리 간파해야 한다. 그 이유는 볼의 비행 높이를 잘못 리딩하여 너무 앞으로 이동하면 어깨나 머리 위로 빠져 나갈 듯이 날아오는 볼을
처리하는 동작수행이 어렵고 실수가 많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볼의 높이에 따라 빠르게 전진·후퇴하는 이동상황을 빠르게 파악해야 한다.
o 무엇보다 서브 리시버는 세터가 세트할 때의 위치와 높이(네트 위 상단 30cm 높게)를 고려하여 서브 리시브를 수행하도록 연습한다.
o 서브 리시브를 수행할 때 자기 팀 수비수의 수비형태 그리고 리시브 능력을 고려하여 상대 서브에 대한 서브 리시브를 상황에 따라, 볼의 낙하지점에 따라 지역을 담당
하기 위해 수비수는 대화를 늘 해야 한다. 경기 중 이러한 실수는 볼에 대한 판단을 다른 사람에게 맡긴다거나수비 범위가 확실히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 그 원인이기 때문이다.
② 디그(Dig)
랠리 포인트제에서의 디그 수비 하나는 상대팀과의 점수차를 2점차로 벌리는데 크게 기여한다. 최근 높은 신장과 파워를 이용한 스파이크 공격은 초속 35m 이상의 속도로 코트에 0.20초 이내로 빠르게 낙하하면서 수비수의 수비동작 전개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 공격수의 위치와 공격 방향을 고려하여 예측 수비(Prediction Defence)를 하는 양상을보여 주고 있다. 디그 기술을 성공적으로 전개하려면 다음과
같은 연습 방법을 전개하는 것이 좋다.
o 디그 수비 자세는 서브리시브 자세보다 더 낮은 자세를 취하고 민첩하게 움직여야 한다. 즉 체중을 조금 앞쪽(발뒤꿈치를 조금 드는 느낌)으로 이동시키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이는 서브보다 볼의 이동코스와 스피드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몸을 이동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하다.
o 어떤 자세에서도 상대의 공격 볼을 위로 올리는 리시브기술을 전개해야 한다. 즉 상황에 따라 한손, 양손, 신체일부(상체, 다리)를 이용하여 공격 볼에 대한 처리하는 기
술이 있어야 한다.
③ 회전 리시브(Rotation Receive)
이 리시브 기술은 주로 상대 스파이크 공격에 대한 리시브처리를 할 때 많이 나타나는 기술로 포오암 리시브 자세에서손을 볼의 낙하지점으로 빨리 가져가 바닥에 닿을 만큼 낮게
팔을 뻗친다. 이 때 기술 동작 전개는 볼을 받아친 후에는 턱을 당기면서 한손을 뻗고 어깨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일어선다.
이는 엘리트 경기에서 주로 많이 일어나는 상황으로 일반인들이 전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한 기술이다. 이 회전 리시브는 좌·우로 롤링(rolling)하는 기술도 포함된다.
④ 플라잉 리시브(Flying Receive)
경기 중 수비할 때 상대의 공격 볼이 앞쪽에 떨어질 때 빠르게 몸을 앞으로 뛰어 날아가는 자세에서 리시브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매우 동작수행이 어려운 기술이나 선수들은 이
기술을 전개한 후에 양손을 바닥에 대어 충격을 줄이면서 가슴을 이용하고 마지막 대퇴부위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넘어가면서 운동 상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⑤ 슬라이딩 리시브(Sliding Receive)
플라잉 리시브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하는 리시브 기술로여자 선수들이 많이 전개하는 리시브 방법이다. 상대 공격에대해 몸을 낮추어 볼의 낙하지점으로 향하여 크게 발을 내딛
고 무릎을 구부리며 미끄러지면서 즉, 슬라이딩하면서 볼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