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학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도학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도학 개요
2. 지도학 발달사
3. 한국 고지도의 발달
4. 지도 제작에 필요한 지구의 특성들
5. 지도 투영법
6. 지리 자료의 특성에 따른 기호화
6. 지리 자료의 처리에 따른 기초통계
7. 지리 자료의 일반화

본문내용

국가명
토양유형
서열척도
대도시
간선도로
부유한 국가
비옥한 토양
등간척도,
비율척도
도시 인구수
교통량 흐름
1인당 GNP
토양의 양이온 교환능력
(4) 지리자료의 기호화
① 기호화 과정 : 지리적 현상, 그 분포, 그 측정 수준에 의해 기호를 선택하는 과정
② 기호화의 범주
- 형상적 기호 : 형상의 특징에 주목, 기호가 지나치게 많아질 수 있으며 제작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손쉽게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언어적 기호 : 명칭 같은 것을 기호로써 포함
- 추상적 기호 : 추상적 기호는 그 특징을 잘 살리기 힘들다.
(5) 그래픽의 기본 원리와 그래픽 변수들 (J. Bertin)
① 크기 : 서열 척도의 현상에 효과적이며, 수치적 정보의 표현에도 적합하다.
② 모양 : 명목척도 자료에 적합, 시각적 식별이 어려우나 읽어지는 지도로 인식할 수 있다.
③ 색의 명도 : 서열화에 적합하다. 주로 높은 수치가 밝은 것이다.
④ 색상 : 명목자료로서, 크기에 따른 민감도를 중심으로 사용한다. 색상 간의 서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
⑤ 채도 : 색상의 순도, 명도나 색상과 함께 쓰여서 계급 간 대조성을 강화할 수 있다.
⑥ 패턴의 조직 : 지역 간 차이뿐만 아니라 서열 척도로도 활용된다. Layer로 겹처서 표현할 수 있다.
⑦ 패턴의 배열 : 배열 상의 차이가 모호하다. (거의 쓰이지 않는다.)
⑧ 패턴의 방향 : 가시성을 띠는 명목척도 자료이다.
⑨ 초점 :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6) 질적인 정보 전달에 적합한 그래픽 변수 : 모양, 색상, 방향, 배열양적인 정보 전달에 적합한 그래픽 변수 : 크기, 명도
6. 지리 자료의 처리에 따른 기초통계
1) 지리 자료의 처리 준비 단계
(1) 상호 비교 가능한 형태로 통일 (도량형 단위 통일, 동질한 데이터로 통일)
(2) 절대량과 가공량을 구분한 뒤 사용할 준비
2) 도수분포
(1) 도수분포표 : 계급 수와 계급 구간을 계급별로 도수화 정리한 것
(2) 도수분포도
① 기둥 그래프 (Histogram)
② 도수 다각형 (Frequency Polygon)
③ 누적도수곡선
3) 자료 분포의 단순화 : 대표값과 분산
(1) 명목척도자료
① 최빈수 (Mode) : 도수가 높거나 가장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값 (대표성이 없으므로 효율성은 떨어진다.)
② 변동비 (Variation Ratio)
(2) 서열척도자료
① 중위수 (Median) : 통계 집단의 관측값을 크기순으로 배열 했을 때 전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치
② 사분위수 or 백분위수 : 통상 X분위수는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X개의 구간으로 나누었을 때, 그 중 몇 번째에 위치한 데이터인지를 말하는 것
(3) 등간비율척도 자료
① 산술평균 (Arithmetic Means) : n개의 변수의 산술평균은 변수들의 총합을 변수의 개수 n으로 나눈 값
② 표준편차 : 자료의 평균치에서 어긋남(slippage)을 표시하는 량
③ 변동계수
④ 표준정규분포
4) 분포의 왜곡도와 첨도
(1) 왜곡도 (Skewness) : 분포의 비대칭 정도 (±0.25 사이의 경우에는 왜곡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0이 아예 왜곡도가 없는 수치)
(2) 첨도 (Kurtosis) : 봉우리의 뾰족한 정도 (첨도가 3과 같으면 정규분포에 근사하고, 첨도가 3보다 낮으면 저봉, 첨도가 3보다 높으면 고봉)
5) 공간적 연관성의 분석
(1) 과거에는 단순 지도의 비교에 그쳤으나, 계량분석이 나온 이후 연관성의 분석이 가능해졌다.
① 명목척도 : 지역일치도 = AB / AB
② 서열척도 : 순위 상관계수의 이용
③ 등간비율척도 : 상관계수
7. 지리 자료의 일반화
1) 일반화 과정 : 네 가지 과정 (지도에 따라 강조되는 측면이 다를 수 있다.)
(1) 단순화 : 자료의 주요 특성을 부각시키고 나머지는 제거하는 과정
① 삭제에 의한 단순화 : 점 삭제 (선 역시 일련의 점, 지정 소거법 및 지정 삭제법), 형태 삭제 (도형 삭제법, 도형 소거법)
② 수정에 의한 단순화 : 등급을 단순화시킴
(2) 분류화 : 자료를 순서대로 또는 척도에 따라 정리하거나 분류한 후 대표성을 찾는 과정 (계급 내 속성은 유사하도록, 계급 간 속성은 차이나도록)
① 점 대표성 ② 선 대표성 ③ 면 대표성
(3) 기호화 : 분류된 자료에 대해 그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기호를 정하는 과정자료의 척도와 공간 특성에 따라 그래픽 요소를 선택하는 과정
(4) 추리화 : 지도에 나타난 이상의 정보를 논리적으로 추리해내는 과정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0.30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3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