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homas Hardy, Tess of the d'Urbervilles
1. About Thomas Hardy
▶Thoams Hardy의 작품세계
2. 줄거리
3. 주요 등장인물
▶ 반쪽 난봉꾼 Alec
▶ 남성 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 Tess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4. 자연주의 문학
5. Tess of the d'Urbervilles
▶ 순결관의 대립
▶ 운명에 희롱당한 Tess
▶ 페미니즘의 측면
▶웨섹스(Wessex)와 리얼리즘
▶ Tess의 Self-knowledge
<참고자료>
1. About Thomas Hardy
▶Thoams Hardy의 작품세계
2. 줄거리
3. 주요 등장인물
▶ 반쪽 난봉꾼 Alec
▶ 남성 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 Tess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4. 자연주의 문학
5. Tess of the d'Urbervilles
▶ 순결관의 대립
▶ 운명에 희롱당한 Tess
▶ 페미니즘의 측면
▶웨섹스(Wessex)와 리얼리즘
▶ Tess의 Self-knowledge
<참고자료>
본문내용
\'캐스터브리지의 시장(The Mayor of Castervridge)\', \'더버빌가의 테스(Tess of the d\'Urbervilles)\', \'무명의 주드(Jude the Obscure)\'는 당대 영국 농촌사람들이 겪는 이러한 변화와 위기들을 생생히 형상화하고 있다. 레이먼드 윌리엄즈가 언급한 것처럼 하디의 소설작품들은 농촌 내부의 관습과 교육, 노동과 사상, 고향에 대한 사랑과 새로운 변화의 체험이 뒤얽힌 변경디재에 처한 인간의 비극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하디는 \'테스\'에서도 밝힌 것처럼 농촌의 중간계층, 즉 소규모 차지농과 장인계층에 관심이 많았다. 하디 자신도 건축일을 하면서 독학의 길을 걸었으며 소설의 주인공들도 이러한 중간계층의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자신이 속한 공총체에 친근감과 유대감을 지니고 있는 이들은 삶의 현장에서 우러나온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 고유의 문화와 전통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들이 몰락하거나 농촌을 떠날 수빡에 없는 현실을 하디는 아쉬운 심정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하디는 이러한 현실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만을 고집하지 않았다. 오히려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자세로는 농촌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고 믿었다.
\'테스\'에서는 종신 차지농인 테스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족이 집과 토지를 잃고 거리로 나앉게 된다. 테스가 농업노동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통해 농촌 중간계층의 소멸이 이제 피할 수 없는 과정임을 생생히 볼 수 있다.
하디는 이처럼 웨섹스 사람들의 생산양식, 문화적 전통, 가치관들의 변화과정을 핵심적으로 다루면서 이러한 변화의 역사적 필연성을 강조한다. 하디의 소설은 웨섹스라는 특정 지역의 강한 지방색을 드러내고 있지만 결코 지방소설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그의 소설은 한정된 배경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거대한 욕망의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당대의 핵심적 변화들을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하디를 뛰어난 리얼리즘 소설가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 Tess의 Self-knowledge
Hardy는 작품 속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속에 싹튼 Intimacy와 Sexuality, 그리고 자아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 시작함으로써 자아의 관심을 잘 나타냈다. 또 등장인물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빅토리아 소설에서 Self-Knowledge라는 현대적인 주제로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Self-Knowledge와 독자가 느낀 등장인물의 Consciousness에 대한 것들이 전통적 소설방식을 탈피한 증거가 될 수 있겠고, 이렇게 몇몇 등장인물들의 의식을 통해서 그는 조금씩 그 현대의 전통을 깨 나가고 있다.
Tess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즉 Alec과의 육체 관계 일로 몇 날을 혼자 괴로워하다가 어느 한 순간 몰랐던 자아를 발견하게 된다. 알렉과의 관계에서 받은 충격이 테스로 하여금 자아를 보다 잘 깨닫게 해주었고 사회전통과 도덕적 책임과 신에 대해 관심을 돌리고, 이들과 관련된 자아의 태도를 곰곰히 생각하게 했다.
She suddenly thought one afternoon, when looking in the glass at her fairness, that there was yet another date, of greater importance to her than those : that of her own death, when all these charms would have disappeared ; a day which lay sly and nuseen among all the other days of year, giving no sign or sound when she annually passed over it ; but the less surely there.
즉, 그녀 자신이 죽는 날, 자신의 아름다움이 모두 사라지는 죽음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매개체로 해서 Tess의 introspection을 밝히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그 거울의 이미지는 그녀의 자아를 무엇보다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왜냐하면 그 거울 속에서 자기 자신을 생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ess가 자기 자신의 죽음, 운명과의 싸움등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는 것이 다음 문장에서도 나타난다.
Almost at a single leap Tess thus changed from a simple girl to a complexed women.
Hardy는 등장 인물들의 경험을 똑같은 긴박감이나 똑같은 감각으로 설명하려 하지 않고 주인공의 mental process를 간단히 요약해서 알려주는 technique를 쓰고 있다.
Sexuality 는 인간관계 특히, 친분 있는 사이에서는 매우 커다란 역할을 하는 만큼, 그 중요성은 심리적, 육체적 경험으로 설명된다. 또한 인간상호관의 관계를 생각할 때 그들이 주관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복잡한 sexuality와 intimacy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 경험이 바로 그 인간의 Identity와 Self-Knowledge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하디의 소설에서도 Intimate relation에는 항상 sexual relation 또는 그것을 함축하고 있는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고 Intimate, sexual relation은 Self-Knowledge을 이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참고자료>
토마스 하디 소설의 이해(심규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2)
페미니즘과 소설읽기(장정희조애리, 동인, 1998)
영국 문학의 이해(윤희억, 지문당, 1999)
20세기 영국소설의 이해 1 (신아사, 현대영미소설학회, 2002)
영미문학의 길잡이1(영미문학 연구회, 창작과 비평사)
토마스 하디의 소설에 나타난 현대성(김복선)
Hardy의 Tess of the d\'Urbervilles에 나타난 주인공의 성격과 행위의 특질에 관한 연구
(김관태)
http://www.bibliomania.com/0/0/26/56/frameset.html(영어 원문 텍스트)
하디는 \'테스\'에서도 밝힌 것처럼 농촌의 중간계층, 즉 소규모 차지농과 장인계층에 관심이 많았다. 하디 자신도 건축일을 하면서 독학의 길을 걸었으며 소설의 주인공들도 이러한 중간계층의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자신이 속한 공총체에 친근감과 유대감을 지니고 있는 이들은 삶의 현장에서 우러나온 지식과 기술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촌 고유의 문화와 전통의 중심이 되고 있다. 이들이 몰락하거나 농촌을 떠날 수빡에 없는 현실을 하디는 아쉬운 심정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하디는 이러한 현실에서 과거에 대한 향수만을 고집하지 않았다. 오히려 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자세로는 농촌현실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고 믿었다.
\'테스\'에서는 종신 차지농인 테스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족이 집과 토지를 잃고 거리로 나앉게 된다. 테스가 농업노동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통해 농촌 중간계층의 소멸이 이제 피할 수 없는 과정임을 생생히 볼 수 있다.
하디는 이처럼 웨섹스 사람들의 생산양식, 문화적 전통, 가치관들의 변화과정을 핵심적으로 다루면서 이러한 변화의 역사적 필연성을 강조한다. 하디의 소설은 웨섹스라는 특정 지역의 강한 지방색을 드러내고 있지만 결코 지방소설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그의 소설은 한정된 배경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삶을 지배하는 거대한 욕망의 구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당대의 핵심적 변화들을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하디를 뛰어난 리얼리즘 소설가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 Tess의 Self-knowledge
Hardy는 작품 속에서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속에 싹튼 Intimacy와 Sexuality, 그리고 자아에 대한 문제를 다루기 시작함으로써 자아의 관심을 잘 나타냈다. 또 등장인물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빅토리아 소설에서 Self-Knowledge라는 현대적인 주제로 발전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Self-Knowledge와 독자가 느낀 등장인물의 Consciousness에 대한 것들이 전통적 소설방식을 탈피한 증거가 될 수 있겠고, 이렇게 몇몇 등장인물들의 의식을 통해서 그는 조금씩 그 현대의 전통을 깨 나가고 있다.
Tess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즉 Alec과의 육체 관계 일로 몇 날을 혼자 괴로워하다가 어느 한 순간 몰랐던 자아를 발견하게 된다. 알렉과의 관계에서 받은 충격이 테스로 하여금 자아를 보다 잘 깨닫게 해주었고 사회전통과 도덕적 책임과 신에 대해 관심을 돌리고, 이들과 관련된 자아의 태도를 곰곰히 생각하게 했다.
She suddenly thought one afternoon, when looking in the glass at her fairness, that there was yet another date, of greater importance to her than those : that of her own death, when all these charms would have disappeared ; a day which lay sly and nuseen among all the other days of year, giving no sign or sound when she annually passed over it ; but the less surely there.
즉, 그녀 자신이 죽는 날, 자신의 아름다움이 모두 사라지는 죽음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매개체로 해서 Tess의 introspection을 밝히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그 거울의 이미지는 그녀의 자아를 무엇보다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왜냐하면 그 거울 속에서 자기 자신을 생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Tess가 자기 자신의 죽음, 운명과의 싸움등을 통해서 자기 자신의 존재를 알 수 있었다는 것이 다음 문장에서도 나타난다.
Almost at a single leap Tess thus changed from a simple girl to a complexed women.
Hardy는 등장 인물들의 경험을 똑같은 긴박감이나 똑같은 감각으로 설명하려 하지 않고 주인공의 mental process를 간단히 요약해서 알려주는 technique를 쓰고 있다.
Sexuality 는 인간관계 특히, 친분 있는 사이에서는 매우 커다란 역할을 하는 만큼, 그 중요성은 심리적, 육체적 경험으로 설명된다. 또한 인간상호관의 관계를 생각할 때 그들이 주관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복잡한 sexuality와 intimacy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왜냐하면 그 경험이 바로 그 인간의 Identity와 Self-Knowledge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하디의 소설에서도 Intimate relation에는 항상 sexual relation 또는 그것을 함축하고 있는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고 Intimate, sexual relation은 Self-Knowledge을 이룩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참고자료>
토마스 하디 소설의 이해(심규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2)
페미니즘과 소설읽기(장정희조애리, 동인, 1998)
영국 문학의 이해(윤희억, 지문당, 1999)
20세기 영국소설의 이해 1 (신아사, 현대영미소설학회, 2002)
영미문학의 길잡이1(영미문학 연구회, 창작과 비평사)
토마스 하디의 소설에 나타난 현대성(김복선)
Hardy의 Tess of the d\'Urbervilles에 나타난 주인공의 성격과 행위의 특질에 관한 연구
(김관태)
http://www.bibliomania.com/0/0/26/56/frameset.html(영어 원문 텍스트)
추천자료
이청준 문학과 황석영 문학
(한국문학의 이해) 한국문학과 바다
[현대문학사] 신경향파 문학
문학주제론-문학과 전쟁
한국 전통문학과 외래문학의 특성
독일문학사, 독일문학사조 총정리
한국현대문학사 <1920년대 문학>
한국현대문학사 <동인지 문학의 출발과 서정시의 등장>
아동문학작품을 통해 어떻게 유아교육과정의 5개 발달영역(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생활)과 연계...
분단문학-갈라진 나라의 등장한 문학
아동문학작품 : (3-5세 누리과정)의 5개 영역 중 자연탐구 영역과 관련된 문학작품 1권을 선...
아동문학교육)아동문학을 통한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밝히고, 과학교육과 관련된 그림책 1권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