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he Canterbury Tales>의 비평 및 작가론
1.Geoffrey Chaucer의 생애(1343-1400)
2.중세 문학의 특징과 초서 문학의 특징
3.구성상의 특징
4.작품의 주제
5.비평
-출처-
1.Geoffrey Chaucer의 생애(1343-1400)
2.중세 문학의 특징과 초서 문학의 특징
3.구성상의 특징
4.작품의 주제
5.비평
-출처-
본문내용
인면에서 본다면 <켄터베리 이야기>가 구사하는 수사법에 주목하며, 각각의 이야기가 사용하는 수사적인 기법들을 찾는 작업을 한다.
네 번째 비판은 초서를 부르주아적, 회의주의적 세계관을 가진 작가로 보는 것이다. 초서는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볼 수 있다. 이 입장은 그가 중세를 대변하는 작가로서가 아니라 근대와 관련하여 본다면, 그의 작품에 드러난 근대적 요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중간계층 가운데서도 특히 사회에서 무역과 상업을 통해 떠오르는 계층, 즉 부르주아라 볼 수 있는 계층에 속한 작가로 생각된다. 이 입장에서 보면 <켄터베리 이야기>는 교환과 계약을 위주로 하는 부르주아적 사회질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중세의 문화전통이 아니라, 새롭게 확산되는 문화양식을 활용한다. 문학기법적인면에서 본다면, 사실주의적 묘사를 높이 평가하면서, 실감나는 대화와 현실성 있는 언어구사에서 나타나는 현실주의적 인식을 분석한다. 또 그는 중세시대 당시의 교회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다양한 비평경향을 바탕으로 보는 것이다. 이들 가운데 바흐찐(M.Bakhtin)의 이론을 인용하는 비평은 초서를 중세 시대의 민중적 문화전통과 함께 연관시켜 본다. 이 입장은 <켄터베리 이야기>가 보여주는 대화와 다른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을 부각시키면서 이를 당대의 저항적인 민속전통과 연관지으려 한다. 다른 한편에서 본다면, 여성중심주의적 시각을 가진 비평들 가운데 일부는 초서의 작가적 위치를 당대의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나란히 놓고 보기도 한다. 중세 후기의 사회적 상황에서 세속문학은 기독교 담론에 비해, 그리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이차적이고 부수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당시 기독교의 이분법적 위계 안에서, 세속문학과 여성은 영혼, 의미, 교리 등에 종속되어야 하는 몸, 문자, 쾌락 등의 가치를 지닌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세속 시인으로서 그는 여성의 주변적 위치에 공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입장을 놓고 본다면, 사회적 위치를 민중과 여성의 관점에 접근해 본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나 비평가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이처럼 여성을 과거의 순종적이던 여성들과는 달리 강인하고, 적극적이며, 활기찬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스의 여장부’에서는 화자의 어투 역시 여자라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하고 싶은 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이 기존의 다른 보수적인 작품들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신 역사주의나 해체론, 탈근대주의 등 여러 이론들의 관점에서 그를 보는 비평들이 여러 가지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이처럼 Chaucer의 작품으로 인해 오랫동안 틀에 박혀있던 관습이나 제도나 생각들이 변화되었다.
-출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인터넷
http://blog.naver.com/charmkj?Redirect=Log&logNo=140012500908
http://cafe.naver.com/ch1988li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9
http://blog.naver.com/bogus0908?Redirect=Log&logNo=60022759004
http://blog.naver.com/nekki84?Redirect=Log&logNo=60002082911
http://blog.naver.com/zizibejinmi?Redirect=Log&logNo=90004155166
김선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8 ‘초서와 켄터베리테일즈’
존 웨이시(박준황 역) <세계문학사> (종로서적, 1992) ‘쵸서의 켄터베리 이야기’
네 번째 비판은 초서를 부르주아적, 회의주의적 세계관을 가진 작가로 보는 것이다. 초서는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볼 수 있다. 이 입장은 그가 중세를 대변하는 작가로서가 아니라 근대와 관련하여 본다면, 그의 작품에 드러난 근대적 요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중간계층 가운데서도 특히 사회에서 무역과 상업을 통해 떠오르는 계층, 즉 부르주아라 볼 수 있는 계층에 속한 작가로 생각된다. 이 입장에서 보면 <켄터베리 이야기>는 교환과 계약을 위주로 하는 부르주아적 사회질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중세의 문화전통이 아니라, 새롭게 확산되는 문화양식을 활용한다. 문학기법적인면에서 본다면, 사실주의적 묘사를 높이 평가하면서, 실감나는 대화와 현실성 있는 언어구사에서 나타나는 현실주의적 인식을 분석한다. 또 그는 중세시대 당시의 교회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다양한 비평경향을 바탕으로 보는 것이다. 이들 가운데 바흐찐(M.Bakhtin)의 이론을 인용하는 비평은 초서를 중세 시대의 민중적 문화전통과 함께 연관시켜 본다. 이 입장은 <켄터베리 이야기>가 보여주는 대화와 다른 여러 복합적인 요소들을 부각시키면서 이를 당대의 저항적인 민속전통과 연관지으려 한다. 다른 한편에서 본다면, 여성중심주의적 시각을 가진 비평들 가운데 일부는 초서의 작가적 위치를 당대의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나란히 놓고 보기도 한다. 중세 후기의 사회적 상황에서 세속문학은 기독교 담론에 비해, 그리고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이차적이고 부수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당시 기독교의 이분법적 위계 안에서, 세속문학과 여성은 영혼, 의미, 교리 등에 종속되어야 하는 몸, 문자, 쾌락 등의 가치를 지닌다는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세속 시인으로서 그는 여성의 주변적 위치에 공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입장을 놓고 본다면, 사회적 위치를 민중과 여성의 관점에 접근해 본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나 비평가들에게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이처럼 여성을 과거의 순종적이던 여성들과는 달리 강인하고, 적극적이며, 활기찬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스의 여장부’에서는 화자의 어투 역시 여자라는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하고 싶은 말을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이 기존의 다른 보수적인 작품들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밖에도 신 역사주의나 해체론, 탈근대주의 등 여러 이론들의 관점에서 그를 보는 비평들이 여러 가지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이처럼 Chaucer의 작품으로 인해 오랫동안 틀에 박혀있던 관습이나 제도나 생각들이 변화되었다.
-출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인터넷
http://blog.naver.com/charmkj?Redirect=Log&logNo=140012500908
http://cafe.naver.com/ch1988li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9
http://blog.naver.com/bogus0908?Redirect=Log&logNo=60022759004
http://blog.naver.com/nekki84?Redirect=Log&logNo=60002082911
http://blog.naver.com/zizibejinmi?Redirect=Log&logNo=90004155166
김선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8 ‘초서와 켄터베리테일즈’
존 웨이시(박준황 역) <세계문학사> (종로서적, 1992) ‘쵸서의 켄터베리 이야기’
추천자료
예이츠(William Butler Yeats)의 생애와 시적 특징 및 작품 분석
속요 연구, 대표작품 분석과 특징 연구
[일본문학의흐름]중고 및 근세문학의 시대적 배경의 특징과 장르별 특징 및 주요 작가와 작품
POP ART의 발생 배경과 특징 문제제기 작품 예
[심청전][판소리 심청가][심청전 작품구조][심청전 주제의식][판소리 심청가 감상]심청전의 ...
현대아동문학의 특징과 주요작가와 작품
[창조파, 폐허파] 창조파와 폐허파의 특징 및 작품 분석 레포트
창조파와 폐허파의 특징 및 작품 분석 - <창조>의 폐간과 김동인의 “방탕” [A+추천 레포트]
5)미술-6. 생각대로 뚝딱뚝딱 - 다양한 입체 작품 중에서 특징 찾기
1920년대 낭만주의 시 연구 - 낭만주의의 수용, 시인별 작품, 시의 특징, 주요작품
All about 라이너 마리아 릴케 - 결핍의 어린시절, 루 살로메, 작품세계, 작품설명, 작품소개...
작가 박민규 -작품 분석과 특징 견해
CLAY ANIMATION {클레이 애니메이션 정의와 역사, 재료, 제작과정, 특징, 작품들, 발전 가능성}
[구운몽 작품연구] 구운몽 작품분석과 줄거리,특징,구조분석및 구운몽에 대한 비평과 느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