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자원봉사센터의 개념
Ⅱ. 자원봉사센터의 조직 및 운영
Ⅲ.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Ⅳ.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Ⅴ. 자원봉사센터의 유형별 분류
(1)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2)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3)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Ⅵ. 참고문헌
Ⅱ. 자원봉사센터의 조직 및 운영
Ⅲ.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Ⅳ.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Ⅴ. 자원봉사센터의 유형별 분류
(1)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2)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3)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 기준은 자원봉사센터의 활동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의 범위로 나누어진 기준이므로 공급 측면에서 분류한 것이다.
자원봉사활동처의 범위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활동처에 일정한 제한이 있는가 아니면 제한이 없는가이다. 이 기준은 수요 측면의 분류이다.
자원봉사센터를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분류한다면 주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로 분류되며, 수요와 공급을 적절히 조정하고 자원봉사센터 간의 효율적인 연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이다.
(1)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자를 직접 활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는 자원봉사자 활용이 주목적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일정한 범주적 송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하지만 직접 활용이 목적이므로 자원봉사 활동처는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를 직접 활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으로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관련 시설, 의료사회사업실, 상담기관, 시민사회단체(NGO, NPO, 환경단체) 등을 들 수 있다.
(2)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일정한 범주적 속성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목적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형태로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참여자들이 제한되어 있고,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관들은 제한되어 있지 않다.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민간 형태의 비사회사업적 영역에서 기관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자원봉사를 활용하고 있는 기관으로 교육기관, 기업, 종교사회봉사 등을 들 수 있다.
(3)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지역 내에 산재한 자원을 계발하여 활용처에 공급하며, 기관 간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하여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주요 역할로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교육하고, 홍보하며, 자원봉사자를 수요처에 적절히 연결하는 것이다.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공공형태의 자원봉사센터가 해당되며, 4개 정부중앙부처(행정안전부, 보건복지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여성부 자원봉사센터) 관할의 자원봉사센터를 예로 들 수 있다.
Ⅵ. 참고문헌
- 박태영(2010),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2010), 1급기본서 지역사회복지론, 나눔의집.
자원봉사활동처의 범위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활동처에 일정한 제한이 있는가 아니면 제한이 없는가이다. 이 기준은 수요 측면의 분류이다.
자원봉사센터를 수요와 공급의 측면에서 분류한다면 주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로 분류되며, 수요와 공급을 적절히 조정하고 자원봉사센터 간의 효율적인 연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이다.
(1)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자를 직접 활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는 자원봉사자 활용이 주목적이며,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일정한 범주적 송성을 제한하지 않는다. 하지만 직접 활용이 목적이므로 자원봉사 활동처는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를 직접 활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으로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관련 시설, 의료사회사업실, 상담기관, 시민사회단체(NGO, NPO, 환경단체) 등을 들 수 있다.
(2)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일정한 범주적 속성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목적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적인 형태로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참여자들이 제한되어 있고,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관들은 제한되어 있지 않다.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민간 형태의 비사회사업적 영역에서 기관 본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자원봉사를 활용하고 있는 기관으로 교육기관, 기업, 종교사회봉사 등을 들 수 있다.
(3)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지역 내에 산재한 자원을 계발하여 활용처에 공급하며, 기관 간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하여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주요 역할로는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교육하고, 홍보하며, 자원봉사자를 수요처에 적절히 연결하는 것이다.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는 공공형태의 자원봉사센터가 해당되며, 4개 정부중앙부처(행정안전부, 보건복지가족부, 문화체육관광부, 여성부 자원봉사센터) 관할의 자원봉사센터를 예로 들 수 있다.
Ⅵ. 참고문헌
- 박태영(2010),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2010), 1급기본서 지역사회복지론, 나눔의집.
추천자료
정부의 역할과 국정관리
자유주제 대학생 과외비 하락의 경제학적 분석
(광고 분석) 수단 – 목적 모델과 MECASS 모델 적용 분석을 적용해 분석한 아파트 ...
[경영학원론] 경영전략, 조직화, 의사소통 요약 정리
우리나라의 정신보건 서비스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금융기관과 금융시장
단시간근로자의 개념과 활성화 배경 검토
외식산업에서의 시장세분화에 관하여
국제금융론
교원(교사)의 자질, 교원(교사)의 지위, 교원(교사)의 전직, 교원(교사)의 전보, 교원(교사)...
인사관리에 대해서
[금융시장, 과점화]금융시장의 개념, 금융시장의 분류, 금융시장의 유형, 금융시장의 구조변...
[인사][인사관리][중앙인사기관][인사행정][인사개혁][인사교육][인사시스템][인사평가][인사...
[물류관리 공통] (1) e-Marketplace의 형태를 논하고, (2) e-Marketplace를 활용한 기업경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