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 - 1편, 소인국 릴리퍼트(Lilliput)
*1부에 대한 줄거리
*1부의 중요문장과 의미
*2부에 대한 줄거리
브로브딘나그(거인국)
*2부의이해와 감상
*3부 줄거리
*3부의 중요문장의 의미와 전체작품에서 가지는 의미
*4부의 줄거리
-말의 나라 기행
4부의 문장의 이해와 감상
*1부에 대한 줄거리
*1부의 중요문장과 의미
*2부에 대한 줄거리
브로브딘나그(거인국)
*2부의이해와 감상
*3부 줄거리
*3부의 중요문장의 의미와 전체작품에서 가지는 의미
*4부의 줄거리
-말의 나라 기행
4부의 문장의 이해와 감상
본문내용
는 우정과 자비라는 미덕이 부여 되는데 이는 어느 특정 계층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종족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부여된 미덕으로,
“ They will have it that Nature teaches them to love the whole Species\" 부분이 이를 뒷받침 하는 예이다. 걸리버가 처음 도착했을 때 그들이 싫어하는 Yahoo를 닮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인 말이 보여준 그에 대한 관심이나 죽음을 앞둔 Houyhnhnms이 며칠 전부터 친구들의 방문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몸소 안락한 썰매를 타고 가까운 이웃을 찾아가 위로를 받기도 하는 모습에서 잘 나타난다.
그리고 우성학의 원리를 실천하는 Houyhnhnms의 관습에서 그들의 초이성주의적인 면을 엿볼 수가 있다.
“In their marriages, they are exactly careful to choose such colours as will not make any disagreeable mixture in the breed. Strength is chiefly valued in the male, and comeliness in the female; not upon the account of love, but to preserve the race from degenerating; for where a female happens to excel in strength, a consort is chosen, with regard to comeliness.
Courtship, love, presents, jointures, settlements have no place in their thoughts, or terms whereby to express them in their language. The young couple meet, and are joined, merely because it is the determination of their parents and friends”
Houyhnhnms에서 배우자의 선택에는 색깔, 체격, 성품, 재능, 덕성 등 우생학적 관점에서 남녀가 상호 보완을 통해 조화를 이룰 수 잇도록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그들의 결혼 풍습에 관한 걸리버의 이야기에서도 그들의 초이성주의적인 일면이 소개된다. “구혼, 사랑, 선물, 과부재산제도, 부동산 처분 결정 등은 그들의 생각에서 차지할 자리가 없거나 그 나라 말에는 그런 것들을 달리 표현할 용어가 없다.” 한 쌍의 젊은이들은 부모나 친구들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결혼을 이성적인 존재의 필요한 행위 가운데 하나로 간주된다.
한 편 Houyhnhnms 들은 순수하고 타락하지 않은 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통제되고 이 재능으로부터 그들 생활의 도덕적인 방향을 유도해 낸다. Houyhnhnms들은 인간을 Yahoo로 정의 하는데 Yahoo는 타고 날 때부터 그 나라에 있는 다른 짐승들보다 더 사악하고 위험하고 경멸적인 존재로 보이게 할 만큼의 이성을 타고 났고 바로 그것이 인간을 비극적이게 만들었다고 얘기한다.
“when I though of my friends, my countryman, or human race in general, I considered them as they really were, Yahoos in shape and disposition, only a little more civilized, and qualified with the gift of speech, but making no other use of reason than to improve and multiply those vices where of their brethren in this country had only the share that nature allotted to them\"
걸리버는 자기가족, 친구 동포가 모두 외양과 성질이 Yahoo와 같다고 말한다. 인간은 단지 더 개화되고 말을 할 수 있는 재능을 부여 받았으나, 그들의 타고난 이성은 악을 증가시키는 일 이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걸리버 여행기 전체가 인간을 이처럼 명백하게 정의 내리는 용어로 일관하지는 않지만 인간을 짐승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부분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4부에서 등장하는 가장 극적인 묘사 중 하나는 의복에 관한 묘사가 아닐까 싶다. 의복에 관한 그의 묘사는 대부분 인간의 타락한 모습을 직접 공격하는 것으로 쓰였다. 문자 그대로
보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걸리버는 주로 독자들에게 자기의 생활방식을 보여주는 데 관심이 있다. 그의 의복은 나체를 숨기고 신체를 보여주는 의미 이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
“the necessary emblem of the human animal, the necessary restraint placed upon the passions of the body\"
완전히 이성적인 존재인 Houyhnhnms 들은 의복이 필요 없고 그들의 신체가 이성에 반대되는 일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걸리버는 언행이 견실한 반면 의복을 자신의 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자기 속에 있는 Yahoo의 성질을 숨기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 I had hitherto concealed myself as much as possible from that cursed Race\"
주인 말이 유럽에 관한 걸리버의 이야기를 들은 뒤 인간의 극악성을 감추는 데 옷은 별 효과가 없다고 말하자 걸리버는 다시 그의 말에 동감할 수밖에 없었다.
결론에 이르러 걸리버는 Houyhnhnms를 모방하여 자기의 도덕성을 계발하려 노력하지만 실제로 Houyhnhnms의 사회는 걸리버가 생각하는 추상적인 진리가 지배하는 사회가 아니라 실용성이 지배되는 사회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Houyhnhnms의 언어는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고, 음식은 생존을 위하여 먹고, 우생학을 실시하여 사회 안정을 기하고 있다. 걸리버에 등장하는 세계관은 추상적인 논리가 인간의 체험세계에 들어와서 논리적인 획일성을 기하려 할 때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감각체험이다.
“ They will have it that Nature teaches them to love the whole Species\" 부분이 이를 뒷받침 하는 예이다. 걸리버가 처음 도착했을 때 그들이 싫어하는 Yahoo를 닮았음에도 불구하고 주인 말이 보여준 그에 대한 관심이나 죽음을 앞둔 Houyhnhnms이 며칠 전부터 친구들의 방문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몸소 안락한 썰매를 타고 가까운 이웃을 찾아가 위로를 받기도 하는 모습에서 잘 나타난다.
그리고 우성학의 원리를 실천하는 Houyhnhnms의 관습에서 그들의 초이성주의적인 면을 엿볼 수가 있다.
“In their marriages, they are exactly careful to choose such colours as will not make any disagreeable mixture in the breed. Strength is chiefly valued in the male, and comeliness in the female; not upon the account of love, but to preserve the race from degenerating; for where a female happens to excel in strength, a consort is chosen, with regard to comeliness.
Courtship, love, presents, jointures, settlements have no place in their thoughts, or terms whereby to express them in their language. The young couple meet, and are joined, merely because it is the determination of their parents and friends”
Houyhnhnms에서 배우자의 선택에는 색깔, 체격, 성품, 재능, 덕성 등 우생학적 관점에서 남녀가 상호 보완을 통해 조화를 이룰 수 잇도록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그들의 결혼 풍습에 관한 걸리버의 이야기에서도 그들의 초이성주의적인 일면이 소개된다. “구혼, 사랑, 선물, 과부재산제도, 부동산 처분 결정 등은 그들의 생각에서 차지할 자리가 없거나 그 나라 말에는 그런 것들을 달리 표현할 용어가 없다.” 한 쌍의 젊은이들은 부모나 친구들에 의해 결정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결혼을 이성적인 존재의 필요한 행위 가운데 하나로 간주된다.
한 편 Houyhnhnms 들은 순수하고 타락하지 않은 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통제되고 이 재능으로부터 그들 생활의 도덕적인 방향을 유도해 낸다. Houyhnhnms들은 인간을 Yahoo로 정의 하는데 Yahoo는 타고 날 때부터 그 나라에 있는 다른 짐승들보다 더 사악하고 위험하고 경멸적인 존재로 보이게 할 만큼의 이성을 타고 났고 바로 그것이 인간을 비극적이게 만들었다고 얘기한다.
“when I though of my friends, my countryman, or human race in general, I considered them as they really were, Yahoos in shape and disposition, only a little more civilized, and qualified with the gift of speech, but making no other use of reason than to improve and multiply those vices where of their brethren in this country had only the share that nature allotted to them\"
걸리버는 자기가족, 친구 동포가 모두 외양과 성질이 Yahoo와 같다고 말한다. 인간은 단지 더 개화되고 말을 할 수 있는 재능을 부여 받았으나, 그들의 타고난 이성은 악을 증가시키는 일 이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걸리버 여행기 전체가 인간을 이처럼 명백하게 정의 내리는 용어로 일관하지는 않지만 인간을 짐승들의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부분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4부에서 등장하는 가장 극적인 묘사 중 하나는 의복에 관한 묘사가 아닐까 싶다. 의복에 관한 그의 묘사는 대부분 인간의 타락한 모습을 직접 공격하는 것으로 쓰였다. 문자 그대로
보는 관찰자의 입장에서 걸리버는 주로 독자들에게 자기의 생활방식을 보여주는 데 관심이 있다. 그의 의복은 나체를 숨기고 신체를 보여주는 의미 이외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
“the necessary emblem of the human animal, the necessary restraint placed upon the passions of the body\"
완전히 이성적인 존재인 Houyhnhnms 들은 의복이 필요 없고 그들의 신체가 이성에 반대되는 일이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걸리버는 언행이 견실한 반면 의복을 자신의 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자기 속에 있는 Yahoo의 성질을 숨기는 수단으로 생각한다.
“ I had hitherto concealed myself as much as possible from that cursed Race\"
주인 말이 유럽에 관한 걸리버의 이야기를 들은 뒤 인간의 극악성을 감추는 데 옷은 별 효과가 없다고 말하자 걸리버는 다시 그의 말에 동감할 수밖에 없었다.
결론에 이르러 걸리버는 Houyhnhnms를 모방하여 자기의 도덕성을 계발하려 노력하지만 실제로 Houyhnhnms의 사회는 걸리버가 생각하는 추상적인 진리가 지배하는 사회가 아니라 실용성이 지배되는 사회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Houyhnhnms의 언어는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고, 음식은 생존을 위하여 먹고, 우생학을 실시하여 사회 안정을 기하고 있다. 걸리버에 등장하는 세계관은 추상적인 논리가 인간의 체험세계에 들어와서 논리적인 획일성을 기하려 할 때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감각체험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 교육 관련 주요 용어의 개념
신공공관리론A+완성)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동 이론이 어떤 방향으...
교육과정4공통)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에 대한 고찰
피아제가 제시한 인지발달의 주요개념을 사용하여 아동의 인지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피...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이유 및 주요내용
[리더십]리더십주요이론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과 주요 원칙 및 구분과 사정,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균...
고용보험의 특징 및 주요내용
인간의 발달단계별 주요 과업에 대한 서술과 본인이 극복하기 힘들었던 발달과업은 무엇이었...
장애인통합교육의 배경과 주요원리에 대하여 논하시오 (장애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