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향상교육] 결혼준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계향상교육] 결혼준비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결혼준비교육의 필요성
2. 결혼준비교육의 효과
3. 결혼준비교육의 가치와 목적

본문내용

권리
관계에 대한 책임감
관계에 대한 책임감과 관
계에의 몰입
나를 알기-내 파트너 알기
자존감의 중요성
자존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자존감의 습득과 자신과
타인의 자존감 획득
관계의
성장을
위한
개인적
자원
배우자선택이론과 선택기준
배우자선택에 영향 요인
배우자선택 시 고려할 점
배우자 선택
결혼의 의미탐색-결혼의 동기
결혼의식의 의미 결혼생활의 계획
(일/가족의 조화,가족계획과
부모관,재정계획,친족관계,갈등해결의
중요성)
결혼생활에서의 현실적인 기대
결혼의미와 동반자 의식
관계의
시작
주제 세부 영역 교육내용
2. 효과적인 결혼준비교육의 조건
대학생들은 잘 훈련된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간결하면서 저비용의 자발적
인 결혼전 프로그램에 흥미를 나타냄
기술을 설명하고 참가자들이 실습할 충분한 기회를 가질 때 효과적임.
→ 실제로 충분한 연습을 통해 기술을 능숙하게 쓸 때 효과적이므로 기술을 설
명만 하는 것은 전혀 효과적이지 않음
대부분의 경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교육이 자발적이지 않기 때문에 국가 차원
에서의 지원도 매우 중요함
교육방법
① 개별 커플 단위 : 관심과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룰 수 있으나, 다른 커플들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없음
② 집단교육 : 중요한 결혼 이슈에 대해 다른 사람들의 견해를 듣고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배울 수 있으나, 그룹 상황에서 자기노출을 꺼릴 수 있어
중요한 문제에 접근하지 못할 수 있음
3. 결혼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우리나라 결혼준비교육은 다양한 사설단체와 종교기관, 대학에서 이루어짐.
표준화된 교육과정에 의한 지도자 교육이 이루어지거나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이
루어지는 표준화된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임(일회성에 그침)
우리나라 결혼준비교육의 시대별 특징
김혜석  결혼준비 성인교육 프로그램;
정민자  결혼준비교육프로그램 
유영주, 오윤자, 이정연  건강한 가족생활을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박미경, 김득성  예비부부를 위한 결혼준비
교육 프로그램 
결혼준비에 관한 기초연구와 프로그램 개
발에 관한 연구가 시작
내용: 결혼에 대한 기대, 대화, 갈등해결,
성생활
※ 결혼준비교육의 성격
상담을 통한 치료적이고 회복적인 관점 → 교육에 의한 예방적인 관점으로 발전
정보제공의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
→ 부부의 역동적인 상호관계에 필요한 기술을 훈련시키는 교육
예비부부들의 성장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결혼 후 부부관계의 일치정도를 증진시
키는 교육적, 예방적인 접근을 우선적으로 강조
참고문헌
건강가정론 조희금, 김경신 외 3명 저 | 신정 |
가족복지론 이영실, 윤대중 외 3명 저 | 양서원 |
건강가정론 윤경자, 김정옥 외 3명 저 | 공동체 |
다문화가족복지론 최현미, 이혜경 외 3명 저 | 양서원 |
사회복지학개론 원리와 실제 강욱모(교수), 김성천 외 3명 저 | 학지사 |
가정학원론 유영주(교수) 저 | 신광출판사 |
건강가정론 이기숙(교수), 도미향 외 3명 저 | 신정 |
건강가정론 김익균(교수) 저 | 파워북 |
건강가정론 김윤재, 김은희 외 1명 저 | 동문사 |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1.19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6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