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1. 시민교육이란
2.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Ⅲ. 경험적 사례를 통한 시민교육
1. 경험적 실태와 한계
2. 극복방안
Ⅳ. 결론
Ⅱ. 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1. 시민교육이란
2.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Ⅲ. 경험적 사례를 통한 시민교육
1. 경험적 실태와 한계
2. 극복방안
Ⅳ. 결론
본문내용
가져야 할 것이다.
Ⅳ. 결론
시민교육이 실천된 사례를 하나 보자.
초등 4학년생들이 \'욱일승천기\' 교과서 바꿨다
▲초등<사회> 국정교과서 4학년 2학기 30쪽에 실린 삽화. ⓒ 윤근혁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욱일승천기\' 무늬가 들어간 교과서를 바꿔냈다. 당초 \'수정 불가\' 태도를 고수했던 교과부에 대해 학생들이 항의편지를 잇달아 보내면서 결국 뜻을 이루게 된 것이다. 교과부 \"욱일승천기로 오해할 수 있다\" 뒤늦게 인정1일 교과부는 \"초등학생들의 문제제기에 따라 \'욱일승천기\'로 오해할 수 있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국정 <사회>교과서 30쪽의 삽화를 내년 인쇄분부터 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욱일승천기는 일제가 우리나라를 침략할 때 널리 사용한 군국주의 상징물이었다. 올해 상당수 초등학생들은 KBS2 텔레비전의 드라마 <각시탈>을 보면서 욱일승천기에 대해 새로 알게 되었다. 교과부 교과서기획팀은 지난 10월 26일 경기 서정초 4학년 4반 학생들에게도 민원 답신문을 보내 \"(교과서) 집필진의 의도는 시중에 유통되는 은행통장 디자인과 비슷하지 않도록 삽화를 넣으려 한 것\"이라면서 \"(집필진은) 학생들이 \'욱일승천기\'로 오해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면 삽화를 수정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교과부 교과서기획팀 관계자는 기자와 전화통화에서 \"학생들이 당장 올해 교과서도 스티커를 붙여달라고 요구한 것은 그 뜻을 이해하지만 예산 문제와 전례가 없는 일이라는 점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서정초 4학년 4반(담임교사 박항재) 학생 23명이 \'욱일승천기\' 무늬가 실린 교과서를 고치지 않기로 잠정 결정한 교과부와 이주호 교과부장관에 대해 직접 항의행동을 벌이기로 결정한 때는 지난 9월 25일. 이들은 이날 오후 1시간여에 걸쳐 집중 모둠토론을 벌여 \"3학년 동생들까지 욱일승천기 교과서로 공부하게 하면 안 된다\"면서 ▲이 장관에게 항의와 건의 편지 보내기 ▲인터넷 항의 댓글 운동 등을 표결로 결정한 바 있다.
기사에서 보았듯이 이 초등학교 4학년 우리나이로 11살밖에 안된 어린 학생이 우리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것에서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이것에 그치지 않고 문제제기를 하면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했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만약에 우리가 동일한 문제점을 교과서에서 발견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건 잘못됐어’라고 생각만 할 뿐 이에 대한 시정요구를 하는 사람을 드물 것이다. 기사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윤군은 우리가 가지고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 시민으로의 권리를 행사함으로 인해서 시민교육을 실천했다.
시민교육은 여러번 언급했듯이 훌륭한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 교육이자 시민의 사고와 행동을 가치지향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교육을 말한다. 하지만 시민교육은 이것을 배우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논어』양화편에서 공자께서는 도청도설(道聽塗說)에 대해 말씀하셨다. 이는 길에서 듣고 길에서 얘기한다는 뜻으로 아무렇게나 듣고 또 그 들은 것을 깊이 생각하거나 실천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서 다시 써먹기에 급급한 경박한 행동을 말한다. 공자께서는 제자들이 학문을 하는 목적은 선현들의 지식만을 전수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론 못지않은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즉, 배움의 길은 이론과 행동이 병행될 때 좋은 성과를 기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교육 또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넘어서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정용교 “SNS시대 시민교육의 도전과 방향”
장원순(2003). “한국사회과교육에서 시민의 실천문제와 과제”, 『시민교육연구』, 제35권 2호 pp. 181-200.
김명정(2012).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시민교육연구』제 44권 2호 pp. 1~28.
http://blog.naver.com/volun?Redirect=Log&logNo=90121249494
http://www.civilzine.or.kr/view.jsp?newsCode=NEW20050330183711042&cate_level=6&sec_level=&list=1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2&sid2=250&oid=047&aid=0002011949
http://blog.naver.com/taema123?Redirect=Log&logNo=100163255673
Ⅳ. 결론
시민교육이 실천된 사례를 하나 보자.
초등 4학년생들이 \'욱일승천기\' 교과서 바꿨다
▲초등<사회> 국정교과서 4학년 2학기 30쪽에 실린 삽화. ⓒ 윤근혁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욱일승천기\' 무늬가 들어간 교과서를 바꿔냈다. 당초 \'수정 불가\' 태도를 고수했던 교과부에 대해 학생들이 항의편지를 잇달아 보내면서 결국 뜻을 이루게 된 것이다. 교과부 \"욱일승천기로 오해할 수 있다\" 뒤늦게 인정1일 교과부는 \"초등학생들의 문제제기에 따라 \'욱일승천기\'로 오해할 수 있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국정 <사회>교과서 30쪽의 삽화를 내년 인쇄분부터 수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욱일승천기는 일제가 우리나라를 침략할 때 널리 사용한 군국주의 상징물이었다. 올해 상당수 초등학생들은 KBS2 텔레비전의 드라마 <각시탈>을 보면서 욱일승천기에 대해 새로 알게 되었다. 교과부 교과서기획팀은 지난 10월 26일 경기 서정초 4학년 4반 학생들에게도 민원 답신문을 보내 \"(교과서) 집필진의 의도는 시중에 유통되는 은행통장 디자인과 비슷하지 않도록 삽화를 넣으려 한 것\"이라면서 \"(집필진은) 학생들이 \'욱일승천기\'로 오해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면 삽화를 수정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주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교과부 교과서기획팀 관계자는 기자와 전화통화에서 \"학생들이 당장 올해 교과서도 스티커를 붙여달라고 요구한 것은 그 뜻을 이해하지만 예산 문제와 전례가 없는 일이라는 점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서정초 4학년 4반(담임교사 박항재) 학생 23명이 \'욱일승천기\' 무늬가 실린 교과서를 고치지 않기로 잠정 결정한 교과부와 이주호 교과부장관에 대해 직접 항의행동을 벌이기로 결정한 때는 지난 9월 25일. 이들은 이날 오후 1시간여에 걸쳐 집중 모둠토론을 벌여 \"3학년 동생들까지 욱일승천기 교과서로 공부하게 하면 안 된다\"면서 ▲이 장관에게 항의와 건의 편지 보내기 ▲인터넷 항의 댓글 운동 등을 표결로 결정한 바 있다.
기사에서 보았듯이 이 초등학교 4학년 우리나이로 11살밖에 안된 어린 학생이 우리가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것에서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이것에 그치지 않고 문제제기를 하면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했다는 것은 참으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만약에 우리가 동일한 문제점을 교과서에서 발견하게 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건 잘못됐어’라고 생각만 할 뿐 이에 대한 시정요구를 하는 사람을 드물 것이다. 기사에 나타난 초등학교 4학년 윤군은 우리가 가지고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 시민으로의 권리를 행사함으로 인해서 시민교육을 실천했다.
시민교육은 여러번 언급했듯이 훌륭한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 교육이자 시민의 사고와 행동을 가치지향적인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교육을 말한다. 하지만 시민교육은 이것을 배우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 『논어』양화편에서 공자께서는 도청도설(道聽塗說)에 대해 말씀하셨다. 이는 길에서 듣고 길에서 얘기한다는 뜻으로 아무렇게나 듣고 또 그 들은 것을 깊이 생각하거나 실천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서 다시 써먹기에 급급한 경박한 행동을 말한다. 공자께서는 제자들이 학문을 하는 목적은 선현들의 지식만을 전수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론 못지않은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다. 즉, 배움의 길은 이론과 행동이 병행될 때 좋은 성과를 기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민교육 또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넘어서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정용교 “SNS시대 시민교육의 도전과 방향”
장원순(2003). “한국사회과교육에서 시민의 실천문제와 과제”, 『시민교육연구』, 제35권 2호 pp. 181-200.
김명정(2012).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시민교육연구』제 44권 2호 pp. 1~28.
http://blog.naver.com/volun?Redirect=Log&logNo=90121249494
http://www.civilzine.or.kr/view.jsp?newsCode=NEW20050330183711042&cate_level=6&sec_level=&list=1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2D&sid1=102&sid2=250&oid=047&aid=0002011949
http://blog.naver.com/taema123?Redirect=Log&logNo=100163255673
추천자료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 개념,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 특징, 사회과(사회과교육) ...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방향,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수학습의 모형,...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사회...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의미,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유형, 사회과교육 지역화학습의 필...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적, 사회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편제, 사회교...
사회과교육(수업) 토의학습과 가치수용학습, 사회과교육(수업) 연표학습과 현장체험학습, 사...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의 특성,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의 원리, 사회교육(성인...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 개념과 형태,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 이념, 사회교육(...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 정의와 특성,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 조건, 사회교육(...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이념과 참...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개념과 종류, 사회교육(성인교육, 성인학습) 요건과 체계, 사...
사회과 지역화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 지역화)의 유형과 필요성, 사회과 지역화교육과정(사...
부모교육과 지역사회-유아교육기관과 부모와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교사와 부모의 관계, ...
[교육사회학]교육의 사회적기능에 대한대립된시각(기능이론,갈등이론)을비교하고(교육의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