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 론
2.본 론
1)모계사회란 무엇인가?
(1) 모계사회와 부계사회
(2) 모계사회와 부계사회의 차이
(3) 모계사회가 부계사회로
2)모계사회의 잔재
(1) 가모장제도
(2) 데릴사위제도
(3) 일처다부제
3)모계사회에서 부성과 모성
4)모계사회가 존재하는 부족
5)모계사회로의 회귀
6)신(新) 모계사회의 등장
3.결 론
2.본 론
1)모계사회란 무엇인가?
(1) 모계사회와 부계사회
(2) 모계사회와 부계사회의 차이
(3) 모계사회가 부계사회로
2)모계사회의 잔재
(1) 가모장제도
(2) 데릴사위제도
(3) 일처다부제
3)모계사회에서 부성과 모성
4)모계사회가 존재하는 부족
5)모계사회로의 회귀
6)신(新) 모계사회의 등장
3.결 론
본문내용
하는 남성성(男性性)은 점차 약화 되고, 여성의 특징인 유연성과 미(美)에 대한 가치가 강조되며 모권(母權)이 강화되는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이미 여성상위시대를 벗어나 모계중심사회(母系中心社會)로 변화되어가고 있는 이와 같은 현재라고 표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경제적인 이유로 대학원생 김모(31)씨는 한 집에 같이 사는 장모와 함께 다음 달 동해안으로 여름휴가를 떠날 계획이다. 유학 가기 전까지만 친정에 들어가 살자는 외동딸 아내(30)의 설득에 시작한 처가살이가 벌써 2년이 다 돼 간다. 김씨는 \"신혼 분위기를 제대로 잡을 수 없어 조금 불편하긴 해도 전세금 대출 갚을 걱정하며 사는 친구들을 보면 처가살이를 선택한 게 후회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경우와 두 번째로 육아(育兒) 문제는 신(新) 모계 사회 등장의 커다란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학원 강사 강모(34)씨는 3년 전 서울 시댁(媤宅)에서 나와 경기도 안양에 있는 친정 근처로 이사 갔다. \'돈 얼마 번다고 회사 저녁 회식까지 꼬박꼬박 챙기냐?\'며 눈치 주는 시댁(媤宅) 어른들에게 아이를 맡기기 지쳐서라고 했다. 또 대기업 회사원 이모(35)씨는 4년 전 결혼할 때 처가(妻家)가 있는 빌라 옆 동을 사서 신혼살림을 차렸다. ‘아이 키우기엔 처가(妻家) 근처에 터를 잡고 사는 경우는 ‘처가(妻家) 살이 하는 것이 더 낫다.’ 라는 판단에서였다. 제2금융권 회사에 다니는 현모(39) 과장도 마찬가지이다. 지난 2000년 결혼한 후부터 처가(妻家)가 있는 동네에 집을 잡아 주말에는 거의 처가(妻家)에서 밥을 먹고, 장인과 낚시를 간다.
이처럼 신모계사회의 등장의 이유는 경제적인 측면이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3.결론
지금까지 모계사회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인류 대부분의 사회인 부계사회와 차이 그리고 새롭게 다가오는 신 모계사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잘 알지 못했던 모계사회가 어머니 중심이던 고대 원시사회의 한 형태였다고 하는데 학설에서는 농경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여성들이 농사에 신경을 쓰게 되고 농사법을 터득하면서 힘을 가졌다고 하지만 이것보단 노동이 중시되던 시대에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의 역할 때문에 강력한 힘이 있었던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에는 노동이 상당히 중요했기 때문에 더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옛날에는 특히 질병에 대한 방어책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의 죽음을 쉽게 막을 수 없었을 것이고 또 한 사람의 죽음이 곧 노동력의 상실로 직결하는 그 시대의 사회에 여성의 출산은 그만큼 중요했을 것이다. 내 생각엔 부계사회로 넘어온 이유도 이 출산의 힘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데 전쟁 도구의 발달로 다른 부족을 점령하고 장악하면서 그 부족의 노동력을 빼앗아와 자신의 부족에 힘을 쓰도록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남자들이 힘을 가지고 출산하여 아이를 기르기보단 다른 부족의 건장한 남자를 데려오는게 어찌 보면 실속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전쟁을 하는 남자들이 여성보다 중심으로 왔고 부계사회로 넘어왔다고 생각한다.
그 다음으로 상당히 흥미를 가졌던 일처다부제와 일부다처제인데 보통 남자라면 한번 쯤 여러 명의 부인을 거느리고 사는 일부다처를 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하는데 조사과정에서 본 일처다부는 오히려 그 반대의 의미로 내가 만약 그 남편들 중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니 정말 끔찍했다. 내 여자인데 내 여자가 아닌 느낌? 뭐 그런 감정을 느낄 것 같은데 상당히 불쾌할 것 같다. 이슬람 쪽의 일부다처의 여자들도 이런 감정을 느낄까? 흔히 우리의 인식에 박힌 일부일처제가 정말 옳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부다처나 일처다부에서 그래도 이쁨을 독차지하는 1인은 얼마나 많은 질투와 시샘을 한 몸에 받을까? 아마도 스트레스로 엄청 고통을 받을텐데 상당히 끔찍한 경우가 아닐까? 상상하기도 싫은 경우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계사회와 신 모계사회에 대해 많이 생각했는데 상당히 공감 가는 부분이라 더 집중해서 조사하고 읽어봤던 것 같다. 현재 우리 집도 주택인 외갓집에서 살고 있는데 외가 가족이 모두 같은 지역에 살고 또 자주 교류를 하고 있으며 또 기사에서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이유가 크다. 우리 가족도 아파트에서 살았지만 솔직히 외갓집을 두고 이렇게 따로 사는 것보단 같이 사는 편이 더 낫다는 결정에서 이사를 했고 현재 주택1층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가 사시고 우리 가족은 2층에서 살고있다. 생각해보면 우리 가족이 신 모계사회라고 할 수 있는데 이번 조사를 계기로 확실히 알게된 것 같다. 아무래도 외갓집에서 지내다보니 외할머니의 말씀이 힘이 좀 더 있다고 할까? 아마도 조사 내용을 본다면 확실한 것 같다. 외갓집에서 살다보니 이모, 외삼촌과 친하고 또 잘지내는 것 같다. 생각해보니 이 신 모계사회가 오히려 괜찮다는 생각이 드는데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남존여비사상으로 여성들이 특히 억압받고 살았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통한 가모장제로 인해 엄격한 아버지가 우리 사회 전반에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솔직히 아버지와 친한 자식들보단 어머니와 친한 자식들이 많다고 생각하고 부모와 자식의 커뮤니케이션도 아버지 쪽보단 어머니 쪽이 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 모계사회의 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낳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머니 중심이라고 해도 아버지의 권위나 힘이 없어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신 모계사회의 장점과 부계사회의 장점을 어느 정도 섞어야되지 않을까? 여성의 사회진출의 확대로 여성들의 가정에서 힘이 강해지기 시작한지도 벌써 오래 되지 않았는가? 드라마에서도 여성들의 성공 스토리를 많이 다루고 있고 또 사회적으로도 성공한 여성들이 많다. 또 사회인식이 변하면서 동시에 부부관계가 평등해졌다고 하는데 이 평등을 유지하려면 서로간의 배려와 존중이 필요하기 때문에 굳이 누가 가정의 중심이고 이런 것들을 따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신 모계사회가 왔다고 해도 아버지의 힘은 그렇게 무너지지 않을것이고 또 그런 아버지를 무시하는 가정은 없을 것이다. 신 모계사회와 기존 우리 사회의 뿌리인 부계사회가 잘 융합되어 행복한 가정을 이루었으면 좋겠다.
첫 번째는 경제적인 이유로 대학원생 김모(31)씨는 한 집에 같이 사는 장모와 함께 다음 달 동해안으로 여름휴가를 떠날 계획이다. 유학 가기 전까지만 친정에 들어가 살자는 외동딸 아내(30)의 설득에 시작한 처가살이가 벌써 2년이 다 돼 간다. 김씨는 \"신혼 분위기를 제대로 잡을 수 없어 조금 불편하긴 해도 전세금 대출 갚을 걱정하며 사는 친구들을 보면 처가살이를 선택한 게 후회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경우와 두 번째로 육아(育兒) 문제는 신(新) 모계 사회 등장의 커다란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학원 강사 강모(34)씨는 3년 전 서울 시댁(媤宅)에서 나와 경기도 안양에 있는 친정 근처로 이사 갔다. \'돈 얼마 번다고 회사 저녁 회식까지 꼬박꼬박 챙기냐?\'며 눈치 주는 시댁(媤宅) 어른들에게 아이를 맡기기 지쳐서라고 했다. 또 대기업 회사원 이모(35)씨는 4년 전 결혼할 때 처가(妻家)가 있는 빌라 옆 동을 사서 신혼살림을 차렸다. ‘아이 키우기엔 처가(妻家) 근처에 터를 잡고 사는 경우는 ‘처가(妻家) 살이 하는 것이 더 낫다.’ 라는 판단에서였다. 제2금융권 회사에 다니는 현모(39) 과장도 마찬가지이다. 지난 2000년 결혼한 후부터 처가(妻家)가 있는 동네에 집을 잡아 주말에는 거의 처가(妻家)에서 밥을 먹고, 장인과 낚시를 간다.
이처럼 신모계사회의 등장의 이유는 경제적인 측면이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3.결론
지금까지 모계사회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인류 대부분의 사회인 부계사회와 차이 그리고 새롭게 다가오는 신 모계사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잘 알지 못했던 모계사회가 어머니 중심이던 고대 원시사회의 한 형태였다고 하는데 학설에서는 농경시대로 접어들게 되면서 여성들이 농사에 신경을 쓰게 되고 농사법을 터득하면서 힘을 가졌다고 하지만 이것보단 노동이 중시되던 시대에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의 역할 때문에 강력한 힘이 있었던 것 이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에는 노동이 상당히 중요했기 때문에 더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옛날에는 특히 질병에 대한 방어책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의 죽음을 쉽게 막을 수 없었을 것이고 또 한 사람의 죽음이 곧 노동력의 상실로 직결하는 그 시대의 사회에 여성의 출산은 그만큼 중요했을 것이다. 내 생각엔 부계사회로 넘어온 이유도 이 출산의 힘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데 전쟁 도구의 발달로 다른 부족을 점령하고 장악하면서 그 부족의 노동력을 빼앗아와 자신의 부족에 힘을 쓰도록 할 수 있었기 때문에 남자들이 힘을 가지고 출산하여 아이를 기르기보단 다른 부족의 건장한 남자를 데려오는게 어찌 보면 실속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전쟁을 하는 남자들이 여성보다 중심으로 왔고 부계사회로 넘어왔다고 생각한다.
그 다음으로 상당히 흥미를 가졌던 일처다부제와 일부다처제인데 보통 남자라면 한번 쯤 여러 명의 부인을 거느리고 사는 일부다처를 하고 싶다고 생각해보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하는데 조사과정에서 본 일처다부는 오히려 그 반대의 의미로 내가 만약 그 남편들 중 일부분이라고 생각하니 정말 끔찍했다. 내 여자인데 내 여자가 아닌 느낌? 뭐 그런 감정을 느낄 것 같은데 상당히 불쾌할 것 같다. 이슬람 쪽의 일부다처의 여자들도 이런 감정을 느낄까? 흔히 우리의 인식에 박힌 일부일처제가 정말 옳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부다처나 일처다부에서 그래도 이쁨을 독차지하는 1인은 얼마나 많은 질투와 시샘을 한 몸에 받을까? 아마도 스트레스로 엄청 고통을 받을텐데 상당히 끔찍한 경우가 아닐까? 상상하기도 싫은 경우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부계사회와 신 모계사회에 대해 많이 생각했는데 상당히 공감 가는 부분이라 더 집중해서 조사하고 읽어봤던 것 같다. 현재 우리 집도 주택인 외갓집에서 살고 있는데 외가 가족이 모두 같은 지역에 살고 또 자주 교류를 하고 있으며 또 기사에서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이유가 크다. 우리 가족도 아파트에서 살았지만 솔직히 외갓집을 두고 이렇게 따로 사는 것보단 같이 사는 편이 더 낫다는 결정에서 이사를 했고 현재 주택1층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가 사시고 우리 가족은 2층에서 살고있다. 생각해보면 우리 가족이 신 모계사회라고 할 수 있는데 이번 조사를 계기로 확실히 알게된 것 같다. 아무래도 외갓집에서 지내다보니 외할머니의 말씀이 힘이 좀 더 있다고 할까? 아마도 조사 내용을 본다면 확실한 것 같다. 외갓집에서 살다보니 이모, 외삼촌과 친하고 또 잘지내는 것 같다. 생각해보니 이 신 모계사회가 오히려 괜찮다는 생각이 드는데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남존여비사상으로 여성들이 특히 억압받고 살았다고 생각하는데 이를 통한 가모장제로 인해 엄격한 아버지가 우리 사회 전반에 남아있는 것이 아닐까? 솔직히 아버지와 친한 자식들보단 어머니와 친한 자식들이 많다고 생각하고 부모와 자식의 커뮤니케이션도 아버지 쪽보단 어머니 쪽이 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 모계사회의 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낳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어머니 중심이라고 해도 아버지의 권위나 힘이 없어지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신 모계사회의 장점과 부계사회의 장점을 어느 정도 섞어야되지 않을까? 여성의 사회진출의 확대로 여성들의 가정에서 힘이 강해지기 시작한지도 벌써 오래 되지 않았는가? 드라마에서도 여성들의 성공 스토리를 많이 다루고 있고 또 사회적으로도 성공한 여성들이 많다. 또 사회인식이 변하면서 동시에 부부관계가 평등해졌다고 하는데 이 평등을 유지하려면 서로간의 배려와 존중이 필요하기 때문에 굳이 누가 가정의 중심이고 이런 것들을 따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신 모계사회가 왔다고 해도 아버지의 힘은 그렇게 무너지지 않을것이고 또 그런 아버지를 무시하는 가정은 없을 것이다. 신 모계사회와 기존 우리 사회의 뿌리인 부계사회가 잘 융합되어 행복한 가정을 이루었으면 좋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을 배우는 이유가 무엇인지 자신의 생각 위주로 기술하고,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조사의 필요성과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토론.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지역사회에 대한 사정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것에 대한 중요성...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강점과 한계를 적고,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효과적인 자기활용을 하...
봉사조직의 한 유형인 사회복지조직이 다른 조직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고, 사...
사회복지조직에서 활용 가능한 조직이론은 무엇인지 설명 : 사회복지조직
자신은 장차 어떠한 사회복지사가 되기를 원하며,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
자신은 장차 어떠한 사회복지사가 되기를 원하며,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
사회복지의 다양한 분야 가운데 본인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왜 그러한...
사회복지행정의 리더쉽 개념 중 사회복지 행정가의 리더쉽을 자질, 행동, 상황에 따라 정리하...
사회학개론)빈곤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정의를 정리해 본 후 현대 사회의 빈곤의 다양...
사회복지행정론)사회복지조직내에서의 갈등의 원인은 무엇이며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