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본문내용
, 클라이언트, 국민 모두
3.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
책임성의 개념 : 광의의 측면에서 효율성과 효과성, 협의의 측면에서 회계와 보고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내부적 요인 : 서비스의 다양성, 기술의 복잡성, 목표의 불확실성
외부적 요인 : 공급주체의 다원화, 민영화 경향, 법률정비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 대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
사회에 대한 책임 : 사회적 공동목표에 기인해야 함
4. 사회복지 평가
사회복지 평가 도입 배경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 기관평가가 의무화되었음
사회복지서비스 공급확대에 따른 책임성 검증을 요구받게 되었음
사회복지 기관들의 개방성, 투명성, 효율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음
사회복지 평가의 목적
기관운영의 개선
서비스 질적 수준 제고
효과성 검증
서비스 제공의 책임성 확보
전문성 확보
공공재원 투입의 효율성 검증
제14장 홍보와 마케팅
1. 사회복지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책임성 측면 : 보조금,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특징상 효율성효과성 달성의 책임이 있음
대상자 관리 측면 : 이용자의 욕구 충족과 관리에 필요
서비스 개발 측면 : 외부환경에 적절한 대처와 복지 서비스 상품 가치 향상
재정 확보의 측면 : 모금시장분석, 모금상품개발, 모금상품홍보, 잠재적 후원자 개발 등
2. 사회복지 기관 마케팅의 구성요소 : 마케팅 믹스(4P)
상품(Product)전략 : 어떤 상품을 제공할 것인가?
가격(Price)전략 : 가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유통(Place)전략 :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직접 접촉하는 방법
촉진(Promotion) 전략 : 서비스의 홍보와 더 많은 기부금을 확보하기 위한 홍보
3. 비영리기관의 마케팅 기법
연중모금
다이렉트 마케팅 : 이용자기부자잠재적 후원자 등에게 기관서비스에 대한 정보 전달
고객관계관리 마케팅 : 이용자에게 맞춤서비스 제공을 통해 모금효과 극대화
기업연계 마케팅 : 기업의 세제혜택과 이미지개선 측면을 이용한 win-win 전략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 기관 이용자와의 직접 개별접촉을 통해 다양한 정보 획득홍보
인터넷 마케팅 :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사회 마케팅 :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노력
모금기법 : 인터넷모금, ARS모금, 캠페인 모금, 이벤트 모금, 정기후원회원 개발방법 등
4. 마케팅 과정
기관 환경분석→시장욕구분석/마케팅 조사→프로그램 목적설정/마케팅의 목표 설정→기부시장 분석→마케팅 도구설정→마케팅 계획 작성 및 실행→마케팅 평가
5. 홍보
PR과 홍보 : PR은 한 조직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광범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홍보는 복지조직의 메시지를 널리 알리고 전하며, 다소 일방적기술적 측면 강조
사회복지기관의 홍보 : 기관시설 및 이미지 홍보, 자원봉사자 모집 홍보, 후원자 개발 홍보, 프로그램 홍보
제15장 사회복지 환경 변화와 조직혁신
1. 일반환경과 과업환경
일반환경
환경 내의 경제적인구통계적문화적정치적법적기술적 조건들을 의미
예) 경기호황불황, 실업률, 연령, 가족구성, 의료, 교육, 법률 등
일반환경은 모든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시키기 어려운 주어진 조건으로 고려
조직이 가질 수 있는 기회, 제약 및 선택의 범위를 규정
과업환경/작업환경
조직이 자원과 서비스를 교환하고 조직과 특별한 상호작용 형태를 취하는 집단
예) 재정자원의 제공자, 사회복지 전달체계, 서비스를 받는 개인, 경쟁하는 타 기관 등
일반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복지 조직은 과업환경과 상호작용함
2. 환경관리 전략
권위주의 전략 : 권력을 사용하여 다른 조직의 행동을 이끌고 명령하는 전략
경쟁적 전략 : 충분한 내적 자원이 있을 때 가능하며, 서비스의 질절차 등을 강화
※ 크리밍 - 접근성 메커니즘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유순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클라이언트를 선발하고 비협조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클라이언트들을 배척하고자 하는 현상
협동적 전략
계약 : 두 조직 사이에 자원 또는 서비스의 교환을 통해 협상된 합의
연합 : 여러 조직들이 합동으로 사업을 하기 위하여 자원을 합하는 것
흡수 : 환경의 주요 조직의 대표자를 조직의 정책수립기구에 참여시키는 것
방해 전략 : 경쟁적 위치에 있는 다른 조직의 활동을 방해, 세력을 약화시키는 전략
3. 최근의 사회복지 조직 변화의 경향
① 사회복지관련 법적제도적 변화
사회복지 기관 평가의 강화
사회복지 기관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관한 지역사회와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점점 높아짐
국가의 재정의 사용을 엄격하게 관리하고자 하는 경향이 늘어남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서 사회복지 기관은 정기적인 평가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함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평가제가 도입된 배경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의 양적 팽창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해야 한다는 압력의 증가
한정된 자원과 효율성의 원칙 강조
IMF 외환위기 이후에 나타난 구조조정의 압력
사회복지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복지계 내부의 자생적 이해 확산
②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변화
참여 정부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사무소의 설치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운영을 주요정책방안으로 제시
사회복지서무소의 시범사업 실시와 읍면동 사무소를 주민지원센터로 개편하여 복지뿐만 아니라 문화 등의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이 진행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통하여 지역사회복지에 관해 체계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협의하여 지역사회복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며, 지역복지서비스 연계와 조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도록 시군구에 구성하도록 함
③ 사회복지 전문직의 강화
사회복지전문가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사회복지사 자격기준이 강화되어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을 실시함
전문가로서의 기술과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도록 하기 위한 보수교육의 법제화 노력, 전문사회복지사 자격기준의 논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문직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음
조용택(social860515)
3.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
책임성의 개념 : 광의의 측면에서 효율성과 효과성, 협의의 측면에서 회계와 보고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내부적 요인 : 서비스의 다양성, 기술의 복잡성, 목표의 불확실성
외부적 요인 : 공급주체의 다원화, 민영화 경향, 법률정비
사회복지 조직의 책임성 대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책임
사회에 대한 책임 : 사회적 공동목표에 기인해야 함
4. 사회복지 평가
사회복지 평가 도입 배경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 기관평가가 의무화되었음
사회복지서비스 공급확대에 따른 책임성 검증을 요구받게 되었음
사회복지 기관들의 개방성, 투명성, 효율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음
사회복지 평가의 목적
기관운영의 개선
서비스 질적 수준 제고
효과성 검증
서비스 제공의 책임성 확보
전문성 확보
공공재원 투입의 효율성 검증
제14장 홍보와 마케팅
1. 사회복지 마케팅의 개념과 필요성
책임성 측면 : 보조금, 기부금으로 운영되는 특징상 효율성효과성 달성의 책임이 있음
대상자 관리 측면 : 이용자의 욕구 충족과 관리에 필요
서비스 개발 측면 : 외부환경에 적절한 대처와 복지 서비스 상품 가치 향상
재정 확보의 측면 : 모금시장분석, 모금상품개발, 모금상품홍보, 잠재적 후원자 개발 등
2. 사회복지 기관 마케팅의 구성요소 : 마케팅 믹스(4P)
상품(Product)전략 : 어떤 상품을 제공할 것인가?
가격(Price)전략 : 가격을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유통(Place)전략 :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직접 접촉하는 방법
촉진(Promotion) 전략 : 서비스의 홍보와 더 많은 기부금을 확보하기 위한 홍보
3. 비영리기관의 마케팅 기법
연중모금
다이렉트 마케팅 : 이용자기부자잠재적 후원자 등에게 기관서비스에 대한 정보 전달
고객관계관리 마케팅 : 이용자에게 맞춤서비스 제공을 통해 모금효과 극대화
기업연계 마케팅 : 기업의 세제혜택과 이미지개선 측면을 이용한 win-win 전략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 기관 이용자와의 직접 개별접촉을 통해 다양한 정보 획득홍보
인터넷 마케팅 :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사회 마케팅 : 공익을 실현하기 위한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노력
모금기법 : 인터넷모금, ARS모금, 캠페인 모금, 이벤트 모금, 정기후원회원 개발방법 등
4. 마케팅 과정
기관 환경분석→시장욕구분석/마케팅 조사→프로그램 목적설정/마케팅의 목표 설정→기부시장 분석→마케팅 도구설정→마케팅 계획 작성 및 실행→마케팅 평가
5. 홍보
PR과 홍보 : PR은 한 조직에 대한 대중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광범위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홍보는 복지조직의 메시지를 널리 알리고 전하며, 다소 일방적기술적 측면 강조
사회복지기관의 홍보 : 기관시설 및 이미지 홍보, 자원봉사자 모집 홍보, 후원자 개발 홍보, 프로그램 홍보
제15장 사회복지 환경 변화와 조직혁신
1. 일반환경과 과업환경
일반환경
환경 내의 경제적인구통계적문화적정치적법적기술적 조건들을 의미
예) 경기호황불황, 실업률, 연령, 가족구성, 의료, 교육, 법률 등
일반환경은 모든 조직에 영향을 미치며, 변화시키기 어려운 주어진 조건으로 고려
조직이 가질 수 있는 기회, 제약 및 선택의 범위를 규정
과업환경/작업환경
조직이 자원과 서비스를 교환하고 조직과 특별한 상호작용 형태를 취하는 집단
예) 재정자원의 제공자, 사회복지 전달체계, 서비스를 받는 개인, 경쟁하는 타 기관 등
일반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복지 조직은 과업환경과 상호작용함
2. 환경관리 전략
권위주의 전략 : 권력을 사용하여 다른 조직의 행동을 이끌고 명령하는 전략
경쟁적 전략 : 충분한 내적 자원이 있을 때 가능하며, 서비스의 질절차 등을 강화
※ 크리밍 - 접근성 메커니즘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유순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클라이언트를 선발하고 비협조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클라이언트들을 배척하고자 하는 현상
협동적 전략
계약 : 두 조직 사이에 자원 또는 서비스의 교환을 통해 협상된 합의
연합 : 여러 조직들이 합동으로 사업을 하기 위하여 자원을 합하는 것
흡수 : 환경의 주요 조직의 대표자를 조직의 정책수립기구에 참여시키는 것
방해 전략 : 경쟁적 위치에 있는 다른 조직의 활동을 방해, 세력을 약화시키는 전략
3. 최근의 사회복지 조직 변화의 경향
① 사회복지관련 법적제도적 변화
사회복지 기관 평가의 강화
사회복지 기관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관한 지역사회와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점점 높아짐
국가의 재정의 사용을 엄격하게 관리하고자 하는 경향이 늘어남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서 사회복지 기관은 정기적인 평가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함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평가제가 도입된 배경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의 양적 팽창
사회복지서비스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해야 한다는 압력의 증가
한정된 자원과 효율성의 원칙 강조
IMF 외환위기 이후에 나타난 구조조정의 압력
사회복지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복지계 내부의 자생적 이해 확산
②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변화
참여 정부는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사무소의 설치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구성운영을 주요정책방안으로 제시
사회복지서무소의 시범사업 실시와 읍면동 사무소를 주민지원센터로 개편하여 복지뿐만 아니라 문화 등의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이 진행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통하여 지역사회복지에 관해 체계적으로 의견을 수렴하고 협의하여 지역사회복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며, 지역복지서비스 연계와 조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도록 시군구에 구성하도록 함
③ 사회복지 전문직의 강화
사회복지전문가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사회복지사 자격기준이 강화되어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을 실시함
전문가로서의 기술과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도록 하기 위한 보수교육의 법제화 노력, 전문사회복지사 자격기준의 논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문직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음
조용택(social8605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