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빈민법에서 분리해 내어 극빈층만이 빈민법의 대상이 되게 만든다.
둘째, 빈민법의 원래 정신을 살려 구빈 대상자가 구제에 대한 대가로 노동을 하도록 한다.
셋째, 작업장의 열등처우를 통해 빈민법의 매력을 없앤다.
- 행정의 중앙집권화와 통일 : 보고서에 의하면 행정개혁에 대한 교구의 무능력을 많이 지 적하였다. 지방 구빈행정은 부패했고 일관성이 없어 채드윅은 구빈행정을 중앙집권 화하고 통일시키려 했으나 토리당은 급진성을 이유로 반대하였고, 반곡물법 및 반 빈민법 운동을 주도한 코베트 같은 급진주의자는 신빈민법이 농업적인 남부의 처지 에 입각해서 산업적인 북부의 사정을 도외시하고 있다고 반대하였다.
Ⅳ. 신빈민법의 반대운동
1. 남부의 반대
- 잉글랜드 남부에서 연합교구의 조직화와 개정빈민법의 실시를 시작
- 1835년 2월, 새로운 법에 의해 연합교구가 최초로 성립되고, 3월부터는 대규모의 재조 기화가 시작
- 새로운 연합교구의 구원억제적인 정책으로 분쟁이 생김
- 현금급여가 현물급여로 변경되면서 일어남
→ 피구제빈민들은 지급된 빵에 독이 들어있다는 소문을 듣고 소란을 피우거나, 현물 급여의 절차가 늦어지면 투석
- 연합교구의 작업장을 건설한 것은 교구의 자주성이 침해된다는 이유로 강력한 반대
2. 북부의 저항
- 산업혁명이 일찍 전개된 탓으로 노동력이 부족한 상태여서 빈민법이 남부지방 보다 늦 게 적용
- 행정개혁에 연합교구를 결성키 위해 보조위원들을 북부의 공업지대에 파견
- 공장이 급격하게 설립되었기 때문에 노동자 등이 빈민법을 필요로 하게 된 때는 불황 의 시기
- 노동력이 부족하였으며, 임금보조제도도 일반적으로 시행되지 않음
- 1837년에 이르러서야 신빈민법에 대한 격력한 반대와 저항이 시작
- 신빈민법의 기구가 지방 자치를 후퇴시킨다고 인식하여 ‘바스티유’ 라고 불리는 작업장 에로의 강제 수용에 대해서도 반대
※참고도서 :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도서관 : 361.9김558사c.2
서양사회복지역사
→ 도서관 : 361.942김414서
선진국사회복지발달사
→ 도서관 : 361.9함463선
참고페이지 :
http://my.dreamwiz.com/inok7090/cyber_lecture/disire_history.htm
http://www.happycampus.com/n_pages/data/2413/D3412623.html
둘째, 빈민법의 원래 정신을 살려 구빈 대상자가 구제에 대한 대가로 노동을 하도록 한다.
셋째, 작업장의 열등처우를 통해 빈민법의 매력을 없앤다.
- 행정의 중앙집권화와 통일 : 보고서에 의하면 행정개혁에 대한 교구의 무능력을 많이 지 적하였다. 지방 구빈행정은 부패했고 일관성이 없어 채드윅은 구빈행정을 중앙집권 화하고 통일시키려 했으나 토리당은 급진성을 이유로 반대하였고, 반곡물법 및 반 빈민법 운동을 주도한 코베트 같은 급진주의자는 신빈민법이 농업적인 남부의 처지 에 입각해서 산업적인 북부의 사정을 도외시하고 있다고 반대하였다.
Ⅳ. 신빈민법의 반대운동
1. 남부의 반대
- 잉글랜드 남부에서 연합교구의 조직화와 개정빈민법의 실시를 시작
- 1835년 2월, 새로운 법에 의해 연합교구가 최초로 성립되고, 3월부터는 대규모의 재조 기화가 시작
- 새로운 연합교구의 구원억제적인 정책으로 분쟁이 생김
- 현금급여가 현물급여로 변경되면서 일어남
→ 피구제빈민들은 지급된 빵에 독이 들어있다는 소문을 듣고 소란을 피우거나, 현물 급여의 절차가 늦어지면 투석
- 연합교구의 작업장을 건설한 것은 교구의 자주성이 침해된다는 이유로 강력한 반대
2. 북부의 저항
- 산업혁명이 일찍 전개된 탓으로 노동력이 부족한 상태여서 빈민법이 남부지방 보다 늦 게 적용
- 행정개혁에 연합교구를 결성키 위해 보조위원들을 북부의 공업지대에 파견
- 공장이 급격하게 설립되었기 때문에 노동자 등이 빈민법을 필요로 하게 된 때는 불황 의 시기
- 노동력이 부족하였으며, 임금보조제도도 일반적으로 시행되지 않음
- 1837년에 이르러서야 신빈민법에 대한 격력한 반대와 저항이 시작
- 신빈민법의 기구가 지방 자치를 후퇴시킨다고 인식하여 ‘바스티유’ 라고 불리는 작업장 에로의 강제 수용에 대해서도 반대
※참고도서 :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도서관 : 361.9김558사c.2
서양사회복지역사
→ 도서관 : 361.942김414서
선진국사회복지발달사
→ 도서관 : 361.9함463선
참고페이지 :
http://my.dreamwiz.com/inok7090/cyber_lecture/disire_history.htm
http://www.happycampus.com/n_pages/data/2413/D3412623.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