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마땅한 보육시설이 없어 민간차원에서 버퍼베어(출근길에 아이를 맡기고 퇴근길에 찾아가도록 한 기차역 부근 탁아시설) 등을 만들어 급한 불을 끈다. 영국 교육기술부 영유아 홍보부장인 마크 캐비씨는 유아교육과 보육을 통합한다는 목표 아래 국가복권 수익금 등을 통해 160만명의 아동에 대한 전인적 보육 및 유아교육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현실은▼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25~29세 연령층 기혼 여성의 71.8%가 취업을 하지 않는 이유로 자녀양육을 들었다. 20대 후반~30대 초반 여성의 취업률이 낮아 M자형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이는 것도 이런 사정 때문. 현재 한국의 영유아 430만여명 가운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15.9% 수준. 특히 영아(0-2세) 197만명 가운데는 12만명(6.1%)만이 보육시설을 이용한다.
한국여성개발원 유희정 박사는 1995년 이후 정부가 추진한 민간중심의 보육 정책에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정부가 보육시설 확충 등 자금을 민간에 융자해주는 지원 방식을 취하다 보니 전체 보육시설중 놀이방 등 민간시설이 92.4%에 달한 반면 국공립 보육시설은 6.6%에 그치고 있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시설은 대부분 부모의 기대에 크게 못미친다. 아동을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는 이유로 불안해서(79.3%)라는 답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 육아가 교육의 뿌리라는 믿음으로 과감히 사회화를 시도하고 있는 영국이나 아이는 국가가 키운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펴는 프랑스의 사례를 통해 국가가 보육을 맡아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명지니(qhrwlvud)
▼한국의 현실은▼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25~29세 연령층 기혼 여성의 71.8%가 취업을 하지 않는 이유로 자녀양육을 들었다. 20대 후반~30대 초반 여성의 취업률이 낮아 M자형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이는 것도 이런 사정 때문. 현재 한국의 영유아 430만여명 가운데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는 15.9% 수준. 특히 영아(0-2세) 197만명 가운데는 12만명(6.1%)만이 보육시설을 이용한다.
한국여성개발원 유희정 박사는 1995년 이후 정부가 추진한 민간중심의 보육 정책에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정부가 보육시설 확충 등 자금을 민간에 융자해주는 지원 방식을 취하다 보니 전체 보육시설중 놀이방 등 민간시설이 92.4%에 달한 반면 국공립 보육시설은 6.6%에 그치고 있다.
영리를 추구하는 민간시설은 대부분 부모의 기대에 크게 못미친다. 아동을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는 이유로 불안해서(79.3%)라는 답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 육아가 교육의 뿌리라는 믿음으로 과감히 사회화를 시도하고 있는 영국이나 아이는 국가가 키운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펴는 프랑스의 사례를 통해 국가가 보육을 맡아야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명지니(qhrwlvu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