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제행동에 대한 관점
2. 문제행동 지도의 결정적 요소
3. 부모나 교사의 지도가 필요한 문제행동 38가지
4. 문제행동에 관한 실제적 접근
1) 1단계: 인간관계 형성
2) 2단계: 아동 행동문제에 대한 이해
3) 3단계 : 아동 문제행동의 실질적 접근
2. 문제행동 지도의 결정적 요소
3. 부모나 교사의 지도가 필요한 문제행동 38가지
4. 문제행동에 관한 실제적 접근
1) 1단계: 인간관계 형성
2) 2단계: 아동 행동문제에 대한 이해
3) 3단계 : 아동 문제행동의 실질적 접근
본문내용
ion of some kind). 즉 아이를 완화시키거나, 인정해 주거나, 행동을 tracking하거나 해서 관계의 회복을 해 주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아이들을 보면 행동만 통제하려고 하지만 사실은 이것을 일시적인 효과는 가져올 수 있지만 문제행동을 수정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아이가 문제행동을 할 때는 맨 먼저 관계의 회복을 통해 아이와 마음으로 연결감(sense of connection)을 가져야 한다.
두 번째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준다. 처음 분노의 모습으로 치료실에 오는 아이를 우리 치료자는 “네가 화가 난 것을 난 이해할 수 있어”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면서 치료자는 “너는 아주 요즘 나쁜 행동을 많이 했구나. 뭔가 화가 나 있는 것 같구나. 너의 화난 모습 밑에는 뭔가 슬퍼보이고 외로워 보이는데....누가 너를 그렇게 슬프게 만느니? 네 눈물을 감추게 하는 이유는 무엇이니? 라는 메시지를 부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재명명하고 자신의 행동을 새롭게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치료자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게 되면 아이는 자신이 경험한 것, 자신의 경험에 대한 반응이나 감정,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자신에 대한 느낌을 편안하게 표현하게 되어 자신의 문제를 편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세 번째 아이들을 격려하거나 아이들에게 설명과 질문에 대한 대답 등을 통하여 아이와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다. 치료자는 아이들에게 ① 조그마한 진전이라도 지적해주거나 (지난주에는 못했는데 이번 주에는 이것도 혼자 할 수 있구나), ② 결과보다는 노력에 더 중점을 두거나 (네가 원하는대로 하기 위해서 정말 넌 노력을 했구나), ③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이에게 맡기거나(너는 이것을 내가 해주기를 원하는데 내 생각에는 네가 이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④ 자신의 불완전성도 나타내주어 모델을 보여주거나 (미안한데, 네가 빨간펜을 주기를 원했는데 파란펜을 가져왔구나. 나도 가끔 그런 실수를 하거든), ⑤ 아이가 가진 강점을 지적해 줌으로써 (망가진 자동차를 넌 어떻게 고치는지를 알고 있구나. 너는 무척 네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구나) 아이를 격려해 줄 수 있다.
또한 치료자는 아이들이 질문한 것에 대해서는 솔직하고 진지하게 대답해 주어야 하며, 아이들이 질문하는 의도를 알아차려야 하며, 대체적으로 질문에 대한 답은 짧게 명백하게 하도록 해야 한다. 아이들은 치료실에서 가끔 집에 가기 싫을 때 “지금 몇 시에요?” 라고 묻는데 이 질문에 대해 치료자는 “넌 시간이 빨리 지나갈까봐 걱정이 되는구나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준다). 10분이 더 있다가 치료실을 나갈꺼야 (솔직하고 명백한 의사소통)”라고 답한다. 이렇게 말하면서 치료자는 아이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또 눈으로 들으면서 아이의 의도를 치료자가 정확히 알았는가를 점검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질문을 하거나 설명을 하거나 서로 상호작용할 때 치료자는 아이가 자기 스스로 관계를 이끌어 나가게 해주어야 한다. 즉 치료자는 아이하고 이야기하면서 거의 자신은 존재하지 않고 아이만 존재하는 것처럼-아이의 존재 자체가 인정받는 것처럼-해주어야 한다. 가장 멋진 다이빙은 물을 많이 튀기지 않는 것처럼 치료자는 아이가 자신의 존재를 찾을 때 아이에게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에 치료자는 아이들이 위험하거나 자신에게 해로운 행동을 할 때 제한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 제한 설정은 인간관계에도 서로의 boundary가 있어야 안전감을 느낀다는 것을 가르쳐 줄 수 있다. 아이들은 어른이 규칙적인 제한설정을 하게 되면 어른들과의 boundary를 설정해 안전하게 느끼게 된다. 아이들은 어떤 상황이나 문제에 접했을 때 ① Am I safe? ② Can I cope with? ③ Will I be accepted?에 관심이 있으므로 자신이 지켜야 할 규칙을 미리 알게 되면 어떤 상황이나 문제에 안전감을 느끼게 된다. 부모행동이 불규칙한 알코올 중독 가정이나 정서적으로 메말라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어떤 것을 예측하기 어려워 아이들이 늘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여기에 있다.
치료자가 제한 설정을 할 때도 단계적으로 해야 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고, 그 다음에는 제한에 대해 의사소통을 하며, 세 번째는 바람직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명백한 목표를 설정해 주고, 제한에 대한 대안을 명백하게 제시해 주는 방법을 택한다.
두 번째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준다. 처음 분노의 모습으로 치료실에 오는 아이를 우리 치료자는 “네가 화가 난 것을 난 이해할 수 있어”라는 것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어야 한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면서 치료자는 “너는 아주 요즘 나쁜 행동을 많이 했구나. 뭔가 화가 나 있는 것 같구나. 너의 화난 모습 밑에는 뭔가 슬퍼보이고 외로워 보이는데....누가 너를 그렇게 슬프게 만느니? 네 눈물을 감추게 하는 이유는 무엇이니? 라는 메시지를 부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재명명하고 자신의 행동을 새롭게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치료자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게 되면 아이는 자신이 경험한 것, 자신의 경험에 대한 반응이나 감정,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자신에 대한 느낌을 편안하게 표현하게 되어 자신의 문제를 편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세 번째 아이들을 격려하거나 아이들에게 설명과 질문에 대한 대답 등을 통하여 아이와 적극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이다. 치료자는 아이들에게 ① 조그마한 진전이라도 지적해주거나 (지난주에는 못했는데 이번 주에는 이것도 혼자 할 수 있구나), ② 결과보다는 노력에 더 중점을 두거나 (네가 원하는대로 하기 위해서 정말 넌 노력을 했구나), ③ 아이가 할 수 있는 일은 아이에게 맡기거나(너는 이것을 내가 해주기를 원하는데 내 생각에는 네가 이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④ 자신의 불완전성도 나타내주어 모델을 보여주거나 (미안한데, 네가 빨간펜을 주기를 원했는데 파란펜을 가져왔구나. 나도 가끔 그런 실수를 하거든), ⑤ 아이가 가진 강점을 지적해 줌으로써 (망가진 자동차를 넌 어떻게 고치는지를 알고 있구나. 너는 무척 네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구나) 아이를 격려해 줄 수 있다.
또한 치료자는 아이들이 질문한 것에 대해서는 솔직하고 진지하게 대답해 주어야 하며, 아이들이 질문하는 의도를 알아차려야 하며, 대체적으로 질문에 대한 답은 짧게 명백하게 하도록 해야 한다. 아이들은 치료실에서 가끔 집에 가기 싫을 때 “지금 몇 시에요?” 라고 묻는데 이 질문에 대해 치료자는 “넌 시간이 빨리 지나갈까봐 걱정이 되는구나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준다). 10분이 더 있다가 치료실을 나갈꺼야 (솔직하고 명백한 의사소통)”라고 답한다. 이렇게 말하면서 치료자는 아이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또 눈으로 들으면서 아이의 의도를 치료자가 정확히 알았는가를 점검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질문을 하거나 설명을 하거나 서로 상호작용할 때 치료자는 아이가 자기 스스로 관계를 이끌어 나가게 해주어야 한다. 즉 치료자는 아이하고 이야기하면서 거의 자신은 존재하지 않고 아이만 존재하는 것처럼-아이의 존재 자체가 인정받는 것처럼-해주어야 한다. 가장 멋진 다이빙은 물을 많이 튀기지 않는 것처럼 치료자는 아이가 자신의 존재를 찾을 때 아이에게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에 치료자는 아이들이 위험하거나 자신에게 해로운 행동을 할 때 제한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 제한 설정은 인간관계에도 서로의 boundary가 있어야 안전감을 느낀다는 것을 가르쳐 줄 수 있다. 아이들은 어른이 규칙적인 제한설정을 하게 되면 어른들과의 boundary를 설정해 안전하게 느끼게 된다. 아이들은 어떤 상황이나 문제에 접했을 때 ① Am I safe? ② Can I cope with? ③ Will I be accepted?에 관심이 있으므로 자신이 지켜야 할 규칙을 미리 알게 되면 어떤 상황이나 문제에 안전감을 느끼게 된다. 부모행동이 불규칙한 알코올 중독 가정이나 정서적으로 메말라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어떤 것을 예측하기 어려워 아이들이 늘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여기에 있다.
치료자가 제한 설정을 할 때도 단계적으로 해야 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고, 그 다음에는 제한에 대해 의사소통을 하며, 세 번째는 바람직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명백한 목표를 설정해 주고, 제한에 대한 대안을 명백하게 제시해 주는 방법을 택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다문화 관련 논문 요약 및 유아의 문제 행동에 개선 방안
아동수과학지도-영유아 수 과학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 및 교사의 역할
사회, 가정, 개인생활에서 영유아기 생활지도의 중요성과 자신의 습관 중 영유아기에 잘못 형...
아동이 가진 문제를 상담으로 돕기 이전에 보육현장에서 사회정서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영유...
공격성을 보이는 유아를 위한 지도방법을 논하시오 (싸우는 유아, 싸우는 유아의 문제점 및 ...
[언어지도] 유아의 언어습득은 선천적인가? 후천적인가? 이 질문에 대해 언어습득에 대한 3가...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영유아기의 정신건강문제 - 영유아기의 대표적인 정신건강문제(자폐...
유아기 영양에 대하여 ( 유아기 특성, 식행동, 식습관, 영양관리, 영양문제 등 )
유아의 문해관련 조기 사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점에 시사점을 서술하고 유아의 문해...
[아동복지론] 유아기의 특징적 건강문제 중에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에 대하여 정리하시...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생활지도] 행동수정의 기본 개념
[생활지도와상담] 행동주의적 접근의 주요개념을 설명하고 행동주의적 접근의 상담기법을 적...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여 일화 기록하고 놀이관찰척도를 사용하여 기록한 후 분석하여 ...
영유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여 일화기록하고 놀이관찰척도를 사용하여 기록한 후 분석하여 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