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례의 범위와 한계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례의 범위와 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언
Ⅱ. 조례제정권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2. 공간적 범위
3. 시간적 범위
Ⅲ. 조례제정권의 한계
1. 법령의 범위
2. 주민의 권리제한․의무부과․벌칙규정
3. 상급자치단체의 조례와 규칙
4.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

본문내용

1999.10.22. 99추54 판결).
4.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
지방자치법상 의결기관인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인 지방자치단체장간에는 권한의 분리와
배분의 취지에 비추어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단체장의 권한이 조례에 의
하여 비로소 부여되는 경우(기관구성원의 임명, 위촉 등)에는 조례로서 단체장의 권한에
제한을 둘 수 있다. 그러나 상위법령에서 직접적으로 단체장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 경
우에는 그 권한행사에 대한 지방의회의 사전의결 또는 사후승인을 받도록 하는 등의 규정
이 있거나 그러한 내용의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는 한 단체장의
고유한 권한으로 인정되며, 조례로서 단체장의 그 권한행사를 제한할 수 없다(대법원
1996.5.10. 95추87 판결).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