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균성 식중독의 특성 및 예방대책
(1) 세균성 식중독의 특징
(2) 세균성 식중독의 발생조건
(3) 세균성 식중독의 예방
2. 바이러스성 식중독
3. 화학성 식중독
4. 자연독 식중독
(1) 세균성 식중독의 특징
(2) 세균성 식중독의 발생조건
(3) 세균성 식중독의 예방
2. 바이러스성 식중독
3. 화학성 식중독
4. 자연독 식중독
본문내용
동·식물중에서도 그 종류와 부위에 따라 독성을 갖고 있는 것들이 있으며, 이들중에는 사람에게 발암성, 돌연변이, 기형유발성, 알레르기성, 영양장애 및 급성중독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따라서 자연에 존재하는 유독한 동·식물을 잘못해서 섭취하거나 정상적인 조리방법에 따르지 않게 되면 식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식중독의 원인으로는 ① 유독한 동·식물을 식용해도 되는 것으로 잘못 아는 경우(독버섯, 독꼬치 등), ② 유독부위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경우(복어, 감자 등) ③ 특이한 환경조건이나 특정한 시기에 유독화된 것을 모르고 섭취한 경우(조개, 미숙한 매실) 등이 있다. 그러므로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① 복어요리와 같은 위험한 식품을 섭취할 때에는 반드시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가 요리하였을 경우에 한하여 섭취하여야 하고, ② 독버섯이나 기타 유해식품을 감별하는 데 주의하여야 할 것이며, 감별법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고, ③ 의심스러운 버섯이나 기타 식품을 감별하기 어려울 때에는 섭취해서는 안되며, ④ 조리할 때 독이 있다고 의심되는 부분은 과감히 제거하여야 하며, 독소를 파괴 또는 유출시키도록 그 수단을 강구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유아기와 학령전기 안전사고의 원인, 특성, 유형, 예방법
보툴리누스균의 정의, 보툴리누스균의 특성,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감염경로, 보툴리누스균 ...
[여시니아균][여시니아][세균성 식중독]세균성 식중독의 특성, 세균성 식중독균 여시니아의 ...
캠필로박터균의 개념, 캠필로박터균의 분류, 캠필로박터 식중독의 원인식품과 오염경로, 캠필...
식중독균 종류1 포도상구균, 식중독균 종류2 O-157균, 식중독균 종류3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개념,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
[장염비브리오균][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정의, 장염비브리오균의 성질, 장염비브리오균의 ...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장염비브리오균의 ...
[식중독, 식중독 의미, 식중독 종류]식중독의 의미, 식중독의 종류, 식중독의 원인, 식중독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