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유해환경의 개념 및 방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유해환경의 개념 및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소년유해환경의 정의
2.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 필요성
3. 청소년 유해 매체물의 종류
① 청소년 유해매체물
② 청소년 유해약물 및 물건
③ 청소년 유해업소
④ 청소년 유해행위
⑤ 청소년 유해구역
4. 청소년유해환경 감시단의 역할
5. 청소년유해환경에 대한 대책
1). 청소년의 역할
2). 지역주민(학부모)의 역할
3). 청소년단체의 역할
4). 지방청소년행정기관의 역할

본문내용

주어 활동대원 스스로 자긍심과 사명감을 고취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ㅇ 경찰서, 파출소, 구청 등에 감시단의 공공성, 적법성을 인지시켜, 신고고발된 사항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ㅇ 행정기관이나 경찰서에 청소년유해환경 담당자가 정해져 있고 그 명단이 감시단에 배포되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신고체계가 형성될 수 있다.
ㅇ 현장에서 고발, 신고가 들어오는 사건유형은 대부분 업소에서 청소년고용, 출입, 음주, 합숙 및 청소년가출과 학교폭력 등이다. 업소관련 사건은 감시단에서 직접처리하기 어려워 관할 파출소나 경찰서로 이첩한다. 이 경우 특각적인 출동이 어려워 해결이 잘 안된다. 감시단 활동이 알려지면서 가출청소년을 찾아 달라는 신고가 많이 들어오나 대처방안이 모호하여 경찰서나 파출소로 이첩하고 있다. 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가출과 폭력에 대한 보호방안을 찾아야 한다.
ㅇ 시도청소년위원회, 시군구 청소년위원회내에 ‘유해환경대책위원회’을 별도로 운영하도록 조례청원운동을 실시한다.
ㅇ 청소년보호법의 규정대로 광역자치단체장이 지방청소년사무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방청소년사무소의 역할과 모형을 연구하고 조례제정운동을 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