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증(apraxi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행증(aprax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행증(apraxia)

Motor Cortical Areas:
1. 일차운동영역 primary motor area (MI) : area 4
input
Projection
2. 전운동영역 Premotor area (6aα)
Histology
Input
Output
Function

실행증(Apraxia)

◈ 관념운동성 실행증 (Ideomoter Apraxia)
◈ 관념 실행증(Ideational Apraxia)
◈ 구성 실행증(Constructional Apraxia)
◈ 착의 실행증(Dressing Apraxia)

3. 보완운동영역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MII)
Position
Input
Projections
Function
◇ Cortical eye fields
saccade 안구운동 조절영역
연합영역 (Association Cortex)
대뇌외측화(cerebral lateralization)와 언어영역(language area)

본문내용

영역 또는 연합피질(association cortex)이라고 한다. 사람의 뇌는 어떠한 다른 동물보다도 연합피질이 잘 발달되어 있다.
인간의 지능, 추론하고 계획하는 능력, 언어능력, 과거 경험에 의한 결단 능력 등 인간의 고등정신능력은 대부분 연합영역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1) 후두정연합영역(posterior parietal association area)
2) 측두연합영역(temporal association area)
3) 전전두연합영역(prefrontal association area)
* 연합영역 중에는 언어에 관여하는 언어영역(language area)이 있다.
대뇌외측화(cerebral lateralization)와 언어영역(language area)
양쪽 뇌의 동일한 부분의 기능이 서로 다른 현상을 대뇌외측화(cerebral lateralization)라고 하며, 한쪽에만 우세하게 어느 기능이 발달하였다면 그 기능이 우세화(dominance)되었다고 하고 그 쪽 반구를 어떤 특정한 기능에 대해 우세반구(dominant hemisphere)라고 한다. 이러한 대뇌외측화는 몸의 양쪽에서 모두 입력을 받거나 출력을 내보내는 감각피질과 운동피질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주로 연합피질에서 나타난다.
사람에서 대뇌외측화의 대표적인 예는 언어(language)이며, 언어가 자리잡은 반구를 우세반구(dominant hemisphere)라고 한다. 오른손잡이의 96%와 왼손잡이의 70%는 좌반구(left hemisphere)에 언어중추(language center)가 있으며 따라서 좌반구가 우세반구이다.
일반적으로 우세반구는 말하기, 쓰기 등 언어 외에 간단한 산술적 계산(calculation)도 담당한다. 반면 비우세반구(non-dominant hemisphere)는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인식하는 공간지각(spatial perception), 노래(sing)나 악기 연주(playing musical instrument) 등의 예술적 기능, 사람 얼굴의 인식(face recognition), 한자인식 등을 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어영역]
1) 브로카영역(Broca's area) 또는 운동언어영역(motor language area): 브로드만영역 44와 45
언어의 표현(expression)에 관여하는 부위
하전두이랑(inferior frontal gyrus)의 삼각부(pars triangularis)와 판개부(pars opercularis)
2) 베르니케영역(Wernicke's area) 또는 감각언어영역(sensory language area): 22 후반부와 39, 40
언어를 수용(reception)하여 이해하는 측면에 관여하는 부위
측두엽 상측두이랑(superior temporal gyrus)의 뒤쪽,
두정엽 하두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의 변연상이랑(supramarginal gyrus, 연상회, 모서리위이랑),
각이랑(angular gyrus, 각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