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어 실행증의 특성과 언어치료적 측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praxia의 종류
2. 발생원인
3. 구어 실행증의 특징
4. Apraxia 와 구별해야 할 증상들
5. 치료
6. 그 외의 치료 기법들

본문내용

역시 치료 프로그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1. The Eight-Step Continuum
2. Darley, Aronson, and Brown's Procedure
3. 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4. PROMPT
1. The Eight-Step Continuum
· Rosenbeck et al.(1973)에 의해 개발되었다.
· 환자가 치료사와 함께 목표 음소를 반복하는 것에서부터 환자가 역할을 바꾼 상황에서 독립적으로 발화하는 것까지 구조화된 활동들로 구성된 8단계의 순서로 되어있다.
· 목표음과 단어의 신중한 선택은 이 치료의 핵심적인 요소.
1단계: 치료사는 환자에게 "나를 보세요" 그리고 "잘 들으세요"라고 말한 다음에 목표 단어를 말한다. 그리고 치료사와 함께 목표 단어를 말한다.
2단계: 치료사는 환자에게 "잘 보세요" 그리고 "잘 들으세요"라고 말하고, 목표 단어를 말한다. 치료사는 조용히 단어를 입 모양만 그리며 용암시키며, 환자는 단어를 크게 말한다.
3단계: 치료사는 환자에게 "나를 보세요" 그리고 "잘 들으세요"라고 말하고, 목표 단어를 말한 다. 그리고 나서 아무런 단서 없이 환자는 혼자서 그 단어를 말한다.
4단계: 치료사는 환자에게 "나를 보세요" 그리고 "잘 들으세요"라고 말하고, 목표 단어를 말한다. 그런 다음 환자는 혼자서 여러 번 목표 단어를 반복한다.
5단계: 치료사는 종이에 쓰여진 목표 단어를 보여준다. 그리고 환자는 그것을 보면서 단어를 말한다.
6단계: 치료사는 종이에 쓰여진 목표 단어를 환자에게 보여 준 후 그것을 치운다. 그리고 환자는 그 단어를 말한다.
7단계: 치료사는 환자에게 질문을 하고 환자를 목표 단어를 말한다. 예를 들면, 만약 목표 단어가 환자의 이름이라면, 치료사는 환자에게 "당신의 이름이 뭐예요?"라고 묻는다. 그러면 환자는 자신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
8단계: 목표 단어가 포함된 적절한 회화문맥을 사용하여 치료사,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역할놀이를 한다.
2. Darley, Aronson, and Brown's Procedure
이는 자발적인 발성, 혀의 내밀기, 다른 단순한 구강 움직임에 어려움을 나타내는 환자를 위해서 개발되었다.
첫 단계, "구어 활동 시작하기(Initiating Speech Activities)"
1. 환자가 "ah"라고 연장 발성하도록 격려하라.
2. 발성이 산출되면, 환자에게 연장 시간과 강도의 수준을 다르게 해서 음을 반복해서 말하도록 요구해라.
3. 모음을 산출하기만 하면, 환자에게 임상가는 /m/을 모델로 모여주고 모방하도록 요구한다.
4. 보다 더 복잡한 CV음절로 이행.
두 번째 단계, "자동적인 반응을 사용하기(using Automatic Response)"
이 과업에서 환자는 몇몇 자동적인 구를 산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1. 1에서 10까지 세기
2. 요일, 달, 년
3. 일상적인 표현하기
4. 텔레비전 공고에서 볼 수 있는 유아적인 리듬, 구
5. 잘 알려진 노래 부르기
세 번째 단계, "Phonemic Drill"
의지적인 구어 산출로 돌아가는 단계이다.
1. 첫 단계에서는 /m/와 같이 쉬운 음소를 선택한다.
임상가는 어떻게 하는지 설명한 다음 환자에게 /m/를 허밍하도록 요구한다.
2. 그런 다음 CV음절로 이행
3. 이후에 이 CV단어를 두 번 발음하게 한다.
4. 다음 단계는 CV단어의 마지막에 /m/을 첨가한다.
예를 들면, mom, moom, meem
5. 다음에는 환자는 실제적인 단어를 말하기 시작한다.
/m/로 시작하고 또 다른 쉬운 음소가 있는 단어를 선택한다.
(예- man, mine, moon, mat, map)
6. 다음 단계에서는 두 단어 구를 산출한다.
두 단어 모두 /m/로 시작하는 단어를 선택한다.
예, my mom, my mail, miss me, much more, make me
7. 이 단계에서는 두 단어 모두 마지막에 /m/로 끝나는 단어를 선택한다.
예, come homem name him, lame lamb, dumb bum 등
8. 환자는 두 단어를 말한다.
첫 번째 단어는 /m/로 시작하는 단어이고
두 번째 단어는 /m/로 끝나는 단어를 선택한다.
예, make him, my home, must name, my name, meet them, Mary's room
9. 마지막 단계는 다음절 단어를 포함하는 보다 긴 구를 산출한다.
예, moment by moment, my morning meeting, made much money,
Monday morning, among my memories
3. 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
4. PROMPT- Prompts for Restructuring Oral Muscular Targets
· 원래는 발달적 구어 실행증을 가진 아동의 치료를 위해서 개발되었다.
· PROMPT 프로그램은 구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어떻게 그들의 구강을 움직임을 연속할지에 대해 환자들의 구강 고유 수용, 압력, 운동 감각적인 단서의 결함을 이용한다.
· 임상가는 환자의 얼굴을 만지고 목표 음을 산출하기 위한 적절한 조음 위치를 손으로 인도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 PROMPT 치료의 전체적인 연속은 첫째로 임상가는 목표 음절, 단어 및 구 등을 말한다.
· 그런 다음, 환자가 그 단어를 말한다. 정확하면 다음 단어로 넘어간다. 만약 정확하지 않다면, 임상가는 단어의 음소에 해당하는 정확한 contact point를 찾고, 환자의 조음자를 수동적으로 움직인다.
· 그런 다음, 임상가와 동시에 단어의 음소에 해당하는 정확한 위치로 조음자를 움직이면서 임상가와 동시에 그 단어를 다시 말하도록 한다.
5. 그 외의 치료 기법들
· 조음점 지시법(Phonetic placement)
· 운동 - 근운동 감각법(moto-kinesthetic approach)
· 자극법(stimulus approach)
· 감각 - 운동법(sensory - motor approach)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5.2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