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비한 준비과정, 현재의 직무환경 등의 요인에 의해 특징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보인다.
①독재형 리더십 - 독재형 리더는 권위주의자로서 업무에 대해 강한 통제와 감시를 하고자 한다. 또 일의 성과를 위해서 권위와 위협에 의존한다.
②폐쇄형 리더십 - 폐쇄형 리더는 보통 온화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한 가지 면에서 독재적인 특성을 갖는데, 즉 사람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폐쇄적 통제와 감독의 효과를 믿는다.
③일반형 리더십 -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리더십 스타일로 성원들의 능력 개발 면에서 인간관계에 중점을 둔다. 성원 중심적이다.
④참여형 리더십 -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일반형 리더십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으로 조직 운영의 원칙과 목적목표를 설정하는데 성원들을 참여시킨다.
⑤민주형 리더십 - 성원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극단적으로 확대시킨 것으로 참여형과 다른점은 목표설정과 의사결정에 있어서 집단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⑥자유방임형 리더십 - 방임형 리더는 성원들과 대단히 많은 인간관계를 가지며 성원들의 요구에 대해 양보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취한다.12)
11) Hersey & Blanchard, 1969.
12)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 문화사, p.148.
4. 스포츠에서 리더의 행동의 범주
범주
설명
트레이닝과 교육행동
힘들고 노력을 요하는 트레이닝을 강조하고 촉진 &기술과 스포츠의 기교 및 작전을 가르침으로서 선수의 성과를 향상.
민주적 행동
집단목표, 훈련방법 그리고 경기작전과 전략에 관한 결정에 많은 선수들이 참가하게 함.
독재적 행동
의사결정시 독립적이고 개인적인 권위를 강조.
사회적 지지 행동
적극적인 그룹 분위기와 구성원들과의 따뜻한 인간관계를 위한 관심.
보상 행동
좋은 성과를 인정하고 보상함으로써 선수들에게 강화를 주는 것을 포함(적극적 피드백).
이러한 스타일은 한 사람이 전적으로 한 가지 스타일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복되기도 하고 혼합된 형태도 나타나기도 한다. 13)
5. 스포츠 리더십의 4가지 요인
- 지금까지 제시된 리더십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바람직한 리더십을 위한 4가지 요인을 제시하겠다. 효과적인 리더십은 리더십 스타일, 상황요인, 구성원의 특성 그리고 환경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① 리더의 자질요인
- 리더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을 찾아서 이러한 특성들은 리더들이 갖추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강조된다
* 즉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한 해서는 지능이 높아야 하며 소극적이기보다는 적극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 좋고 자신감이나 설득력이 있어야 하며 낙관적이고 내적인 동기와 자의식이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② 리더쉽 스타일
- 리더십 스타일은 대부분 매우 과제 지향적으로 승리를 중요시하는 독재적인 스타일과 인간관계 지향적으로 선수 중심적으로 협동을 강조하는 민주적인 스타일로 나타난다.
*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느 한가지 스타일을 취하기보다는 상황판단을 하여 융통성 있게 두 가지 스타일을 섞어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상황 요인
- 리더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경기종목, 팀 사이즈, 시간적인 제약, 전통 등이 포함된다.
* 이러한 상황적 요인에 대해서 리더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시
13) 김기웅(1994),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p.75.
간적이 제약이 있을 때나 팀 경기에서는 경우에는 더욱 지시적인 행동이 필요하
다.
④ 구성원의 특성으로 선수의 능력이나 성별, 성격, 연령, 경력 등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선수의 특성이 리더십 스타일과 잘 맞아야만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민주적이든, 독재적이든 코치는 선수 특성에 적당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⑤ 리더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가를 연구한 결과
- 리더의 스타일 중 독재적인 스타일은 선수들의 연령이 많을수록, 운동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선호하고 있고 여자보다는 남자선수들이 민주적인 스타일보다는 독재적인 스타일을 선호했으며 상호작용이 높은 팀 스포츠 선수들이나 동기 유발 수준이 높은 선수들이 독재제적인 리더 스타일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인 리더 스타일은 여자선수나 연령이 낮고, 기술수준이 낮은 공행적 스포츠 선수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문화적 배경에 따라서 독재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는 일본 선수와는 달리 민주적인 스타일은 미국, 영국, 캐나다 선수들이 선호하는 스타일이다.14)
Ⅲ. 결론
지금까지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한 내용에 덧붙여 리더십은 인간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난 것으로 인간이 다양한 만큼 리더십의 형태도 역시 다양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여러 연구자들이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접근으로 특성접근과 행동접근을 시도해 봤지만 이러한 한계에 부딪혀야만 했다. 따라서 각 성원들의 특성에 맞는 그리고 그 조직의 특성에 맞는 형태의 리더십을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조직과 달리 스포츠 조직은 엄격한 체계와 절제된 생활을 요구하고 승패에 민감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스포츠 조직에서의 리더십은 그 조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행하는 리더들은 그 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조직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14)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 문화사, p.192.
참 고 문 헌
http://www.kssp.or.kr, 스포츠 심리학회.
http://www.sportmind.pe.kr, 김병준 교수님의 스포츠 심리.
류정무, 이강헌(1990), 스포츠 심리학, 믿음사.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문화사..
김기웅(1994),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Ogilvie & Tukto, 1966.
Stogdill, 1974.
Halpin & Winer, 1957.
Black & Mouton, 1964.
Hersey & Blanchard, 1969.
①독재형 리더십 - 독재형 리더는 권위주의자로서 업무에 대해 강한 통제와 감시를 하고자 한다. 또 일의 성과를 위해서 권위와 위협에 의존한다.
②폐쇄형 리더십 - 폐쇄형 리더는 보통 온화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한 가지 면에서 독재적인 특성을 갖는데, 즉 사람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폐쇄적 통제와 감독의 효과를 믿는다.
③일반형 리더십 -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리더십 스타일로 성원들의 능력 개발 면에서 인간관계에 중점을 둔다. 성원 중심적이다.
④참여형 리더십 -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일반형 리더십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으로 조직 운영의 원칙과 목적목표를 설정하는데 성원들을 참여시킨다.
⑤민주형 리더십 - 성원들의 의사결정 참여를 극단적으로 확대시킨 것으로 참여형과 다른점은 목표설정과 의사결정에 있어서 집단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⑥자유방임형 리더십 - 방임형 리더는 성원들과 대단히 많은 인간관계를 가지며 성원들의 요구에 대해 양보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취한다.12)
11) Hersey & Blanchard, 1969.
12)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 문화사, p.148.
4. 스포츠에서 리더의 행동의 범주
범주
설명
트레이닝과 교육행동
힘들고 노력을 요하는 트레이닝을 강조하고 촉진 &기술과 스포츠의 기교 및 작전을 가르침으로서 선수의 성과를 향상.
민주적 행동
집단목표, 훈련방법 그리고 경기작전과 전략에 관한 결정에 많은 선수들이 참가하게 함.
독재적 행동
의사결정시 독립적이고 개인적인 권위를 강조.
사회적 지지 행동
적극적인 그룹 분위기와 구성원들과의 따뜻한 인간관계를 위한 관심.
보상 행동
좋은 성과를 인정하고 보상함으로써 선수들에게 강화를 주는 것을 포함(적극적 피드백).
이러한 스타일은 한 사람이 전적으로 한 가지 스타일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중복되기도 하고 혼합된 형태도 나타나기도 한다. 13)
5. 스포츠 리더십의 4가지 요인
- 지금까지 제시된 리더십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바람직한 리더십을 위한 4가지 요인을 제시하겠다. 효과적인 리더십은 리더십 스타일, 상황요인, 구성원의 특성 그리고 환경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① 리더의 자질요인
- 리더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성을 찾아서 이러한 특성들은 리더들이 갖추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강조된다
* 즉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한 해서는 지능이 높아야 하며 소극적이기보다는 적극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 좋고 자신감이나 설득력이 있어야 하며 낙관적이고 내적인 동기와 자의식이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② 리더쉽 스타일
- 리더십 스타일은 대부분 매우 과제 지향적으로 승리를 중요시하는 독재적인 스타일과 인간관계 지향적으로 선수 중심적으로 협동을 강조하는 민주적인 스타일로 나타난다.
*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느 한가지 스타일을 취하기보다는 상황판단을 하여 융통성 있게 두 가지 스타일을 섞어서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③ 상황 요인
- 리더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리더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경기종목, 팀 사이즈, 시간적인 제약, 전통 등이 포함된다.
* 이러한 상황적 요인에 대해서 리더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하고 특히 시
13) 김기웅(1994),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p.75.
간적이 제약이 있을 때나 팀 경기에서는 경우에는 더욱 지시적인 행동이 필요하
다.
④ 구성원의 특성으로 선수의 능력이나 성별, 성격, 연령, 경력 등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선수의 특성이 리더십 스타일과 잘 맞아야만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민주적이든, 독재적이든 코치는 선수 특성에 적당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⑤ 리더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가를 연구한 결과
- 리더의 스타일 중 독재적인 스타일은 선수들의 연령이 많을수록, 운동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선호하고 있고 여자보다는 남자선수들이 민주적인 스타일보다는 독재적인 스타일을 선호했으며 상호작용이 높은 팀 스포츠 선수들이나 동기 유발 수준이 높은 선수들이 독재제적인 리더 스타일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인 리더 스타일은 여자선수나 연령이 낮고, 기술수준이 낮은 공행적 스포츠 선수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문화적 배경에 따라서 독재적인 스타일을 선호하는 일본 선수와는 달리 민주적인 스타일은 미국, 영국, 캐나다 선수들이 선호하는 스타일이다.14)
Ⅲ. 결론
지금까지 스포츠 집단과 리더십에 대한 고찰을 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한 내용에 덧붙여 리더십은 인간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나타난 것으로 인간이 다양한 만큼 리더십의 형태도 역시 다양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여러 연구자들이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접근으로 특성접근과 행동접근을 시도해 봤지만 이러한 한계에 부딪혀야만 했다. 따라서 각 성원들의 특성에 맞는 그리고 그 조직의 특성에 맞는 형태의 리더십을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조직과 달리 스포츠 조직은 엄격한 체계와 절제된 생활을 요구하고 승패에 민감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스포츠 조직에서의 리더십은 그 조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행하는 리더들은 그 만큼 책임감을 가지고 조직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14)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 문화사, p.192.
참 고 문 헌
http://www.kssp.or.kr, 스포츠 심리학회.
http://www.sportmind.pe.kr, 김병준 교수님의 스포츠 심리.
류정무, 이강헌(1990), 스포츠 심리학, 믿음사.
정청희(1994), 스포츠 심리학, 태근문화사..
김기웅(1994), 스포츠심리학, 서울; 태근문화사.
Ogilvie & Tukto, 1966.
Stogdill, 1974.
Halpin & Winer, 1957.
Black & Mouton, 1964.
Hersey & Blanchard, 196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