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한 것이 평가와 보상의 문제이다. 평가 결과가 신뢰받을 수 있도록 강력한 모니터링 절차와 과학적인 평가 방법을 운영해야 한다. 주로 사무관리직 위주로 적용된 능력, 성과, 역할 위주의 평가보상 방식을 생산현장에까지 확대하여, 전사적인 차원에서 새로운 인사노무 관행이 자리잡도록 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인재경영 분야의 세계적 대가인 스탠포드대학의 제프리 페퍼(Jeffrey Pfeffer) 교수는 최근 한국 방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국은 중국에 너무 집착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면 일본이나 중국과의 경쟁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결국 평범한(ordinary) 인재들이 비범한(extraordinary) 성과를 내도록 하는 인재경영 전략과 시스템이 관건이다." 끝.
추천자료
[인재육성전략][인재경영][인재상][인적자본][인재관리][인재육성]인재육성전략과 인재경영 ...
[지식경영][인재경영][인재육성][인재육성전략][인적자원관리][인적자원]지식경영을 통한 인...
삼성의 경영 사례로써 핵심인재경영에 대하여
KT의 인재경영에 관한 조사
기업의 인재경영 사례와 나아갈 방향
[최강 인재 경영] 최강의 직원을 만드는 Toyota만의 비결 - 인재경영,조직개혁,도요타개혁,도...
[인재경영][인재][경영][인재경영 중요성][인재경영 지식정보화][인재경영 사례][인재경영 전...
도요타 자동차의 인재경영
삼성의 구조조정과 인재경영 -이건희 회장의 활동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