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 (가치와 전략)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 (가치와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Microsoft - 마이크로소프트 (가치와 전략)

본문내용

다.
그러나 문제가 많다.
소량 주문생산체제라 대량으로 휴대폰을 생산하 는 기존업체와의 가격경쟁에서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PC시장에서 성 공했듯 ‘윈도’의 독점적 지배력을 이용해 휴대폰 시장을 장악하려 는 전략은 법적제재로 더 이상은 어려울 듯 보인다.
노키아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아직 적수가 아니라는 태도. 마이크로소 프트가 소프트웨어 시장에선 아무도 넘보지 못할 최대 강자라지만 이 동전화시장에서는 ‘아직 걸음마도 떼지 못한 어린아이’라고 코웃음 친다.
그래도 노키아 승리를 단정짓기는 어렵다.
이코노미스트지도 “노키 아 우세가 독점으로 이어질 수 없다”고 잘라 말한다.
모바일커뮤니 케이션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간 호환이 필수적이다.
마이크로소프 트가 들어갈 영역은 많다는 뜻. 자금도 막대하다.
여차하면 휴대폰업 체를 통째로 사들일 수도 있는 노릇이다
불법복제에 대한 정면 대응은 이미지만 떨어뜨려 MS는 현지 소프트웨어 산업 지원으로 ‘아부’
중국 베이징(北京)의 하이룽(海龍) 전자상가에는 수백 개에 이르는 컴퓨터 · 소프트웨어 상점이 밀집해 있어 늘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이곳에 와 보면 앞으로 중국에서 돈 벌 일이 쉬울 것 같으면서도 골치 아플 것 같은 생각을 갖게 된다.
하이룽 전자상가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차이나(微軟中國) 사옥에서 차로 10분 정도 걸리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그곳에 가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랩톱 컴퓨터에서부터 마더보드 · 모니터 · 마우스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구입할 수 있다. PC를 값싸게 조립하려는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MS의 최신 운영체제(OS) ‘윈도 XP’ 중국어판이 낯익은 MS 로고가 찍힌 포장지에 싸여 진열돼 있다. 가격은 245달러. 중국의 일반 노동자가 받는 넉 달치 월급과 맞먹는 금액이다. 비싸지만 크게 걱정할 것은 없다. 가까운 콤팩트 디스크(CD) 판매대로 가면 여주인이 계산대 밑에 잔뜩 쌓아놓은 불법 복제 윈도 XP 중국어판을 건네준다. 가격은 5.5달러.
이런 현실이 바로 중국시장의 문제다. 다른 미국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MS 역시 중국시장을 석권하겠다는 꿈에 한껏 부풀어 있다. 불법 복제품이라는 황당한 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면 가능할지 모른다. 중국에서 지적재산권 침해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중국에서 유통되는 소프트웨어 가운데 90% 이상은 불법 복제품이다. 중국이 지적재산권법을 처음 제정한 것은 13년 전의 일이다. 최근 들어 지적재산권법을 강화한 것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전 단계의 수순이었다. WTO 가입이 성사된데다 대미(對美) 무역흑자도 연간 304억달러에 이르는 지금, 지적재산권법을 굳이 강제할 필요가 없을지 모른다.
MS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공법으로 나섰다. MS에 앞서 네트워킹업체 시스코 시스템스도 같은 방법을 취했다. 불법복제 근절 차원에서 관련 중국 기업들을 제소한 것이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중국에서 MS의 이미지만 나빠졌다. 중국 기업들을 괴롭히는 외국 깡패로 비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있을 때마다 공개 OS인 리눅스로 눈길을 돌렸다. 현재 리눅스는 세계 시장에서 윈도를 점차 위협하는 실정이다.
중국 시장에서 보호해야 할 브랜드나 아이디어로 사업하는 기업들은 한결같이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다. MS의 인기 있는 소프트웨어들은 세계 시장에서 매출 총이익률이 85%를 자랑하지만 중국에서만큼은 고전하고 있다. MS가 ‘붉은 중국’에서 적자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빌 게이츠가 먼저 은퇴할지 모른다. 지난 10년 동안 중국에서 계속 적자를 본 MS는 앞으로 적어도 5년 동안 적자행진이 계속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 뒤 10~20년 더 있어야 흑자를 기록할 수 있으리라는 판단이다.
문제는 중국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중 60%에 윈도가 깔려 있지만 비싼 정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극소수라는 점이다. 지난해 중국인들이 새로 구입한 컴퓨터에 윈도를 설치했다면 MS가 매출 4억달러를 기록했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실제 매출은 8,500만달러에 불과했다.
첨단 장비의 공급과잉과 최악의 기술부문 불경기로 세계경제가 허덕이는 가운데 중국은 막대한 부(富)를 축적하며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 8%는 미국의 배가 넘는 수치인데다 아직 개발되지 않은 잠재력은 그야말로 어마어마하다. 중국 인구 13억 가운데 개인용 컴퓨터(PC) 이용자는 3,600만 명 정도로 아직 많은 사람이 주판을 사용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PC 시장은 올해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3년 뒤에는 PC 시장규모가 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일반 중국인 노동자의 연봉을 웃도는 870달러짜리 PC가 지난해 760만 대나 팔렸다.
중국의 많은 산업 분야가 그렇듯 첨단기술 부문도 백지상태나 마찬가지다. 산업혁명에 이어질 미래의 정보혁명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혁명이 현실화할 경우 컴퓨터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시장은 오늘날의 휴대폰 시장처럼 수직 상승곡선을 그리며 폭발적으로 성장할 듯 싶다. 5년 전 2,400만 개에 불과했던 중국의 휴대폰이 오늘날 2억 개로 늘었다. 이런 증가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MS는 중국 시장이 장기적으로 투자할 만한 가치를 갖고 있다는 생각이다. MS의 수석 부사장 겸 대중국 전략 책임자인 크레이그 먼디는 “중국은 실질 규모나 전략 면에서 장기적인 기회의 땅”이라며 “돈만 벌 수 있다면 10~20년이 걸려도 상관없다”고 말할 정도다.
황춘이(黃存義 ·영어명 알렉산더 황)는 대만 태생으로 MS의 대중화지구(大中華地區) 사장을 맡고 있다. 그는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소재 MS 본사에서 흔히 마시는 스타벅스 커피 대신 국화 ·재스민 마시며 “미래가 매우 밝다”고 잘라 말했다.
지금은 블랙홀이나 마찬가지다. MS는 중국 시장 공략전술을 바꿨다. 그 동안 선보인 공격적 스타일에서 벗어나 중국 사회에 좋은 이미지를 심으며 학술연구 지원이나 기부도 한다. MS는 해적판 소프트웨어가 판치는 중국에 향후 3년 동안 7억5,000만달러를 쏟아 부을 계획이다. 이는 연간 10억달러에 이르는 중국 내 비즈니스
  • 가격2,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