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좋고 지방과 티아민 등도 함께 들어 있어 영양가가 높다.
④ 2층 : 채소 및 과일류(김치, 나물, 후식)
- 무기질, 비타민 A, 비타민 C, 식이섬유질 공급
⑤ 1층 : 곡류 및 전분류(주식으로 많이 섭취)
- 주로 탄수화물 공급하고 에너지, 단백질, 식이 섬유질을 공급함
* 주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식품군으로 식사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이 식품군에는 탄수화물이 대부분이고, 그 밖에 질이 낮은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이 들어있다.
식품군별 하루 섭취 횟수에 맞추어 먹는다.
① 중학생의 식품군별 1일 섭취 횟수
하루에 세 끼니와 간식으로 섭취
건강하고 활동량이 보통인 중학생에게 적합
개인적 건강 상태나 활동량에 따라 다르게 조절
② 영양사 : 환자, 운동 선수 등 특별한 집단의 영양 관리 또는 건강한 사람의
균형 잡힌 식단을 작성해 주는 사람
2. 바른 식습관이란 어떤 것일까
바른 식습관을 갖자
① 식품을 골고루 먹자
② 세 끼를 규칙적으로 먹자
③ 간식을 바르고 적절하게 먹자
간식
▷ 간식의 필요성 : 한번에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양이나 소화 능력이 한정되어 있어 간식이 필요
▷ 적절한 간식 :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된 식품 선택
고칼로리 식품 피함
적절한 양을, 다음 끼니에 지장을 주지 않게 섭취
▷ 간식으로 좋은 음식 : 우유 및 유제품, 시리얼류, 신선한 과일이나 쥬스, 땅콩, 빵, 찐감자나 고구마
▷ 간식으로 좋지 않은 음식 : 인스턴트 식품, 탄산 음료, 기름기가 많은 음식,
사탕, 초콜릿
우리에게 생기기 쉬운 영양 문제
① 빈혈 :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이 약해진 상태
② 비만 : 실제 체중이 표준 체중에 비해 20%이상 초과된 상태
표준 체중 : 자신의 신장에 바람직한 체중
* 비만 지수 구하기
비만 지수 : 현재 체중 - 표준 체중 * 100
표준 체중
청소년기의 비만
① 원인
식욕이 왕성하여 과식하기 쉬움
가공 식품, 인스턴트 식품, 패스트 푸드 등의 잦은 섭취로 에너지 과잉 섭취
생활 양식이 편리해져 활동량이 줄어듦
② 문제점
외모에 대한 열듬감이 생김
활동이 불편하고 일의 능률이 감소됨
어른이 되어서도 비만해질 수 있음
여러 가지 성인병에 걸리기 쉬움
3. 조리와 기초와 실제
1. 조리의 기초에 대하여 알아보자
* 조리의 목적 : 보기에 아름다움, 소화 습수 증진, 위생과 저장성 향상, 식욕 증진
* 조리의 순서 : 다듬기--> 계량하기--> 씻기--> 썰기--> 맛내기--> 익히기--> 담기
식품 재료 마련 : 식품을 다듬은 후 계량 기구를 사용해서 알맞은 분량 마련
씻기 : 문질러 씻기, 흐르는 물에 헹구기, 세제 용액에 담갔다가 씻기
썰기
* 섬유질이 굵은 채소 : 섬유결과 직각이거나 어슷한 방향
* 고기 : 결과 반대 방향
* 썰기 종류 : 통째썰기, 반대썰기, 팔모(깍둑)썰기, 채썰기, 은행잎썰기,
어슷썰기, 얄팍썰기, 다지기 등
맛내기 : 식품자체의 맛과 향기가 좋은 식품은 맛내기를 약하게
익히기
① 끊이기와 삶기 :밥, 찌개, 국, 국수, 달걀
특징 : 수용성 영양소가 국물에 우러나오므로 국물 맛을 좋게 하려면 약한 불에 서 오래 가열한다. 고루 익으나 조리 시간이 길어진다.
② 데치기 : 채소, 해산물에 이용하며, 시간을 정확하게 하여 조리할 것
녹색을 선명하게 데치기 : 물을 넉넉하게. 고온에서 단시간 데치기, 소금을 넣고 휘발성 유기산이 휘발되도록 뚜껑을 열고 데침
③ 조리기(저장성이 있는 조리 방법) : 장조림, 생선조림, 감자조림, 콩자반
④ 찌기 : 떡, 만두, 찐빵에 이용, 식품 모양의 유지가 가능하고, 수용성 영양소와 맛 성분의 손실이 적음
⑤ 굽기 : 맛 성분이 농축되어 맛이 좋음. 특유의 풍미를 냄
⑥ 볶기 : 영양소의 손실이 적음. 기름의 향미가 더해지고 색이 곱게 유지됨
⑦ 부치기 : 식품 재료에 밀가루를 묻혀서 달걀을 씌우거나, 밀가루를 묽게 개어서 사용
⑧ 튀기기 : 많은 양의 뜨거운 기름 속에서 익히는 조리법
날 것으로 조리하기 : 생채, 회(생선회, 육회), 샐러드, 김치류, 오이소박이, 쌈 등
* 신선한 맛이 특징, 성분 변화와 영양소의 손실이 거의 없음
* 식품 본래의 색, 질감, 향기가 그대로 살아 있음
2. 밥은 어떻게 지을까
① 조리 원리 : 녹말이 호화, 불의 세기 잘 조절
② 만들기 : 물의 양-쌀 부피의 1.2배, 쌀 중량의 1.5배, 쌀씻기(3-4회)-->물에 불리기(30분 정도)--> 센 불로 끓이기 --> 중간 불로 끓이기 --> 약한 불로 뜸 들이기
3. 국은 어떻게 끓일까
* 국의 종류 : 맑은장국, 된장국, 곰국, 냉국
① 조리 원리 : 국물은 고기, 멸치, 조개 이용. 고기는 찬물어 덩어리째 넣어
끓임. 살코기는 원하는 것보다 길고 가늘게 썰고, 파, 마늘로 누린내 제거
② 무 맑은장국 만들기 : 무썰기(얄팍썰기)--> 파(어슷썰기),마늘(다지기)-->쇠고기(고기의 결과 수직으로 썰기)--> 고기볶기 --> 중간 불에서 끓이기--> 담기
◇ 한걸음더
R.E(Retinol Equivalent) : 레티놀 당량의 약자로 우리 몸에서 이용되는 비타민A 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1u g RE = 1u g 레티놀 = 6u g 베타카로틴
필수 지방산 : 생명 유지 및 성장에 필요한 지방산으로 성장 증진, 두되 발달, 피부 건강 유지의 기능을 한다
김치 : 채소를 발효시켜 만든 우리 나라 고유의 저장 식품으로 부식류 중 가장 기본적인 음식이며 독특한 맛과 뛰어난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김치는 발효 숙성 과정 중 미생물의 작용으로 유기산, 알코올 등이 생성되는데 잇 성분들에 의하여 특유의 맛을 가지게 된다. 김치만의 독특한 맛은 식욕을 증진시켜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배변을 쉽게 하여 준다. 김치에는 비타민A, 티아민, 아스코르브산 등이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 채소 섭취가 부족할 때 중요한 비타민 급원이 되며 여기에 각종 젓갈류를 첨가하면 무기질 및 단백질이 보완될 수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6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