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 리더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부 개인적 차원의 리더십
1. 서번트 리더십의 본질 - 로버트 K. 그린리프
2. 21세기 공동체 리더십 - 스티븐 R. 코비
3. 상상력 넘치는 삶과 리더십 - 마이클 존스
4. 파트너십으로서의 리더십 - 러스 S. 목슬리
5. 서번트 리더십 가르치기 - 해밀턴 비즐리 & 줄리 벡스
6. 민중의 서버트 패니 루 해머의 일생 - 리 E. 윌리엄스
7. 리더십의 3가지 필수사항 - 맥스 드프리

제2부 일터에서의 리더십
8. 마초에서 마에스트로로 - 워런 베니스
9. 기업두뇌의 재편 - 다나 조하
10. 미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들 - 낸시 라너 루시먼
11. 영웅 리더에서 서번트 리더로 - 앤 맥기 쿠퍼 & 듀에인 트러멜
12. 서번트 리더십의 비즈니스적인 근거 - 제임스 D. 쇼커
13. 역사의 오른편에서 - 존 C. 보글

제3부 공동체의 리더십
14. 이사회 의장 특유의 이중적 리더십 - 존 카버
15. 커뮤니티칼리지의 서번트 리더십 - 루스 머세이디스 스미스 & 켄트 A. 판즈워스
16. 자선기관의 서번트 리더십 - 존 버크하트 & 래리 C. 스피어스
17. 선견-리더가 지니는 선도적 면모 - 데이비드 S. 영
18. 서번트 리더십과 창의성 - 타미라 L. 프리먼, 스코트 G. 아이작센, K. 브라이언 도벌
19. 60억 명을 위한 식탁 - 주디 윅스

제4부 세계를 위한 리더십
20. 동시성과 서번트 리더십 - 조지프 자보르스키
21. 오늘날의 군 리더십 - 루바이 하워드 브레이
22. 리더십과 카오드 시대 - 디 호크
23. 공적 리더십-미국의 역설과 씨름하기 - 스코트 W. 웹스터
24. 신경제의 해독제, 서번트 리더십 - 존 P. 슈스터
25. 서번트 리더의 역할 - 마거릿 휘틀리

본문내용

구하는 것은 전체를 추구하는 것이며, 진정한 통찰은 언어적 소통의 범위를 넘어선다고 했다. 이 동시성의 원리는 곧 분리됨이 없는 분리, 다른 사람을 당신의 일부로 여기는 정신에서 형성된다. 이것이 서번트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기본 정신이다.
나는 동시성의 현상을 경험을 통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역대 최대의 토네이도가 텍사스를
강타한 적이 있었는데, 이 재해로 우체국의 반쪽이 날아갔고, 야구장 전체가 바람에 날아가 버렸으며, 이 토네이도로 죽은 사람이 500명이나 되었다. 그야말로 토네이도가 지나간 자취는 지옥의 아수라장이었다. 놀라운 사실은, 그 다음 3일 동안 사람들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철저하게 자기 조직적으로 이 지역의 복구를 위해 일했으며, 여기에는 높은 에너지, 정합성, 깊은 만족감, 번경된 시공간 조건, 분배된 리더십, 고도로 의미심장한 결과가 동시에 일어났다. 다시 말하면 동시성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바로 이 자발적인 수고의 현장에서 이루어졌던 것이 서번트 리더십의 정신이었다.
서번트 리더의 역할 - 마거릿 휘틀리
나는 서번트 리더십이 얼마나 자연적인가에 관해 기술하고자 한다. 서번트 리더십이 자연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서구문화에서 일어나고 있는 두 가지 잘못된 믿음에 관해 밝히고자 한다.
첫째는 우리가 시간을 무시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우리는 미래가 직선궤도를 그리며, 우리 마음대로 얼마든지 빠르게 나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현재 우리가 시간, 성장, 단계, 순환을 무시하고자 쏟는 노력은 정말로 우리를 미치게 만들고 있다. 이제 우리는 깨달아야 한다. 변화의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는, 더욱 서두르고 재촉하는 방식으로는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창조할 수 없다. 어느 시점에서는 우리가 이렇게 말해야 한다. “천천히 생각해야 합니다. 천천히 숙고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잘못된 믿음에 대해 서번트 리더가 당장 할 수 있는 가장 용감한 행동 가운데 하나는 사람들이 그들 스스로 하고 있는 일에 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상황을 늦추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상황을 늦추는 속도조절은 숙고하는 삶을 유발하게 한다. 즉 의식을 일깨워서 스스로를 깊이 성찰하는 사변적인 존재로 사람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숙고라는 의식의 활동은 다른 사람을 보게 만들고, 나 이외의 다른 사람이 보일 때 비로소 서번트 리더이고자 하는 노력이 나타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잘못된 믿음은 우리가 서로 분리된 개인들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서구사회의 지배적인 믿음, 곧 개인주의의 발생기원이다. 티베트 불교에 따르면 모든 고통의 뿌리는 우리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믿음에서 비롯된다고 가르친다. 고통의 원천은 우리가 서로 독립적인 배우들이라는 믿음이다. 그러나 반드시 지적해야 할 점이 있는데. 유아독존적인 개인주의가 보여주는 냉소주의, 분노, 칩거, 무정함과 무관심, 마비상태의 부정적인 태도는 우리의 본질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의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는 친밀함을 추구하는 종(種)이라는 것이다. 생물학자인 움베르코. R. 마투라나(Humberto R. Maturana)는 우리가 언어를 개발한 것도 서로 함께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인간 진화의 위대한 충동은 함께하고자 하는 욕구였다.” 우리는 바로 그 욕구에 이끌려 대화하는 법과 이야기하는 법, 널리 전달하는 법을 이해하게 된 것이다. 사람의 자연적인 속성은 다른 사람을 향하게 되어있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사랑하며 섬기는 서번트 리더의 속성은 매우 생래적인 인간의 특성이라는 것이다. 참으로 우리를 지탱하는 원천이 서로를 찾는 것이라면, 이제 우리 리더들은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을 재고해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4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