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소자의 제조공정 (제조공정에 그림 첨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도체소자의 제조공정 (제조공정에 그림 첨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반도체결정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2. 유전체와 파동에 대하여

3. 캐리어와 주파수에 대하여

본문내용

거나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크고 작은 교란으로 인해 뚜렷한 간섭무늬가 전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비선형(非線形) 파동에 대해서는 연구하기가 힘들지만 여러 응용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들은 대개 매우 복잡한 구조와 성질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얕은 수로의 수면파는 솔리톤(soliton)이라고 알려져 있는, 마치 혹과 같은 것을 형성하는데, 이것은 간섭성의 특성을 가지고 진행한다. 비선형파는 신경망, 은하의 나선팔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다(→ 솔리톤).
캐리어와 주파수
캐리어
정보기술에서의 반송파는, 신호 세기의 증대, 기준 주파수의 변화, 파장의 변화 또는 기타 다른 방법을 통해 정보를 실을 수 있는, 일정 기준의 교류 주파수에서의 전자기파 또는 전파를 말한다. 최근 광케이블을 통한 레이저 전송의 발명으로 인해, 레이저가 만드는 빛에도 정보를 실을 수 있으므로, 이것도 반송파라 할 수 있다.
앞에서 말한 각종 변화를 변조라고 부르는데, 반송파의 아날로그 변조형태는 AM (amplitude modulation)과 FM (frequency modulation) 그리고 위상변조가 있다. 디지털 변조의 형태에는 PAM, PDM 등을 포함하는 갖가지 종류의 펄스 부호 변조(PCM)와 주파수 위치 변조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가 있다.
CD (Carrier detect)는 모뎀과 컴퓨터간에 모뎀이 정보의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반송파를 감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어신호이다.
주파수
일정한 크기의 전류나 전압 또는 전계와 자계의 진동(oscillation)과 같은 주기적 현상이 단위 시간(1초)에 반복되는 횟수. 예를 들어 100Hz는 진동이나 주기적 현상이 1초 간에 100회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기호는 V 또는 f, 단위는 헤르츠(hertz:Hz)이다. 전기의 경우 우리나라나 미국 등의 상용(교류) 전기의 주파수는 60Hz이고, 영국 등 유럽은 50Hz이다. 전자파(電磁波)의 주파수(V)와 파장(l)과 속도ⓒ는 V=C/l의 관계를 갖는다. 즉 전자파가 자유 공간에 전파되는 정속도인 광속도 초당 3×108m(3억m/s)를 파장으로 나눈 값이 전자파의 주파수이다. 전자파 중에서 전파의 주파수가 가장 낮고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의 순으로 주파수가 높다. 전파가 점유하는 주파수를 무선 주파수라고 하는데, 단지 주파수라고 하면 흔히 무선 주파수를 가리킨다. 무선 주파수의 범위는 0.3×103~3×1012Hz, 즉 3kHz~3THz이다. 일반적으로 1,000Hz를 1kHz, 1,000kHz를 1MHz, 1,000MHz를 1GHz, 1,000GHz를 1THz의 단위로 나타낸다. 무선 주파수보다 높은 적외선, X선, 감마선 등의 주파수, 즉 3×1012Hz 또는 3THz 이상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없으며, 단지 1013Hz, 1020Hz 등과 같이 나타낸다. 무선 주파수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9개의 주파수대로 구분되며, 주파수대 번호와 약어로 호칭된다.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