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와 기업 전략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글로벌 금융위기의 전개과정과 원인
3. 글로벌 금융위기 국면에서 한국 경제 : 금속산업을 중심으로
4. 경제위기 아래 기업들의 전략
5. 결론

본문내용

사정위원회가 만들어져서 노동계 내부에서 참여 여부를 둘러싸고 많은 논쟁이 진행된 바 있다. 이번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노사민정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고, 민주노총을 배제한 채 진행되고 있다. 이름에 ‘민’자만 들어갔을 뿐 노사민정은 노사정 합의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질적으로 따질 때 경제위기 시 노사정 합의기구는 양보와 타협이 그 중심에 놓일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노조의 참여는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적 활용의 측면에서의 참여에 대해서는 효과가 아예 없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민주노조 내에서 얼마나 민주적이고 상호 신뢰적인 합의를 이끌어내느냐가 더 중요할 것이다. 다만 현재의 정부 아래 진행되고 있는 노사정 합의기구는 최근의 발표에서 보듯이 ‘노’에게만 양보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의 참여란 보이콧보다 낫지는 않을 것이다.
5. 결론
이 글에서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실물부분의 위기로 전화되면서 점차 확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위기의 원인에 대한 고찰과 현재 국내 제조업의 상황 그리고 앞으로 예상되는 기업들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올해 1월까지의 대략적인 경제 지표를 보았을 때 생산과 고용 모두에서 안정화될 기미보다는 악화될 우려가 전망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중 서비스업보다는 제조업에서의 불안정성이 가시화되고 있고, 고용 측면에서는 비정규 노동자의 처우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IMF 당시 한국 노동운동의 대응만이 아니라 1970년대 경제위기 당시 다른 나라의 노동운동의 대응을 돌이켜 볼 때도 경제위기는 노동운동에게 기회보다는 손실을 가져다주었다. 1970년대 경제위기 때 유럽의 노동조합은 개별 산업, 개별 사업장 중심의 대응으로 귀결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런 경우 대부분 노조의 요구는 관철되지 못한 채 정리해고와 구조조정의 피해를 고스란히 안게 된 바 있다(Bo Strath, 1987). 1980년대 이후 기업들의 조직은 크게 변화하여 하나의 거대기업이 수십, 수백 개의 하위기업들에게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이는 개별 사업장 차원에서 달리 대응할 방법이 없음을 뜻한다. 따라서 사업장과 업종을 뛰어 넘는 연대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며, 이는 상급단체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함을 함의한다.
향후 경제위기가 어떤 방향으로 귀결될 것인지 현재 그 누구도 자신 있게 대답하기 어렵다. 지난 20세기의 경제 위기 때 자본은 두 가지 방식으로 위기를 넘겼다. 1930년 대공황 때는 케인즈주의적 처방이 있었다면, 1970년대는 신자유주의적 처방이 있었다. 그러나 진보진영의 위기 이론에서 본다면 두 가지 처방은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었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금융화는 오히려 현재의 위기를 가져온 제일의 주범으로 간주되고 있다. 진정한 대안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때이며, 노동조합은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Aglietta, M. and Reberioux, A., 2005, Corporate Governance Adrift: A Critique of Shareholder Value
Aglietta, M., 2009, 「‘대전환’의 시대 : 기획 연재 인터뷰」, 한겨레 신문 2009년 1월 7일
Arrighi, G., 1994, The Long Twenties Century, Verso
Boyer, R., 2000, Is a Finance-led Growth Regime a Viable Alternative to Fordism?, Economy and Society 29(1)
Brenner, R., 1998, The Economics of Global Turbulence, New Left Review, Vol. 229
Brenner, R., 2000, The Boom and the Bubble, New Left Review, Vol. 6, November-December 2000
Brenner, R., 2009, 「‘대전환’의 시대 : 기획 연재 인터뷰」, 한겨레 신문, 2009년 2월 1일
Dumenil, G. & Levy, D., 2000, 이강국·장시복 역(2006), 자본의 반격: 신자유주의 혁명의 기원, 필맥
Harrison, B., 1994, Lean and Mean, New York: Basic Books.
Lazonick, W., 1991, Business Organization and the Myth of the Market Economy,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McDermott, J., 1992, Corporate Society: Class, Property, and Contemporary Capitalism
Piore, M. and Sable, C., 1984, The Second Industrial Divide-Possibility for Prosperity, Basic Books
Wallerstein, I., 2008,「‘대전환’의 시대 : 기획 연재 인터뷰」, 한겨레 신문 2008년 12월 31일
공정거래위원회, 지정집단 대등비교, 각년도
금속노조, 2008,「조선산업 글로벌화와 노동조합의 대응방안」
금융위원회 위원장, 2008.11,「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와 정책대응」, IGE/IMF International Conference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한국은행, 2008.10,「국제금융시장 불안 극복방안」
송원근·이상호, 2005, 재발의 사업구조와 경제력 집중, 나남출판
자동차공업협회,「국내자동차산업 동향」, 각년월
통계청, 2009.2,「2009년 1월 고용동향」
포스코경영연구소, 2008.11,「글로벌 금융위기의 전개방향 및 파급효과」, POSRI CEO Report
한국경제연구원, 2009.1,「글로벌 금융위기의 파장과 대응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8.11,「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 및 전망」
헤럴드 경제,「실질 실업률 ‘10%’ 시대」, 2009년 2월 12일
KDI, 2008.2,「KDI 경제동향」
EBN 물류&조선,「조선업계 선박수주 ‘0’.. 사상초유」, 2009년 2월 23일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