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쓰는 경우는 금,수,목,화,토의 변을 사용하여 순서적으로 쓰는 경우인데 이를 제일 많이 쓰고 있다.
십간순으로 쓰는 경우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를 순서적으로 쓴다.
십이지 순으로 쓰는 경우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서적으로 쓴다.
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는 일,이,삼,사등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
친족이란 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하여 상호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을 말하며 친척이라고도 한다.
친족의 범위를 민법777조에 의하면 8촌이내의 부계혈족과 8촌이내의 모계혈족 그리고 배우자와 그 부모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친족에는 혈통이 직상하로 연결되는 직계친과 혈통이 공동시조에 의해 갈라져 연결되는 방계친이 있다.
또 부모를 포함하여 부모와 같은 항렬이상에 속하는 존속친과 자녀를 포함하여 자녀와 같은 항렬이하에 속하는 비속친이 있다. 그러나 자기와 같은 항령에 있는 사람 즉 형제 자매 종형제는 존속도 비속도 아니다.
그밖에 배우자와 혈족의 관계가 있는 인척도 친족에 포함되며 아내의 부모와 고모의 관계 외가의 관계, 이모의 관계 등을 인척 혹인 인족이라고 한다. 민법 777조에는 처의 부모만을 인척의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십간순으로 쓰는 경우는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를 순서적으로 쓴다.
십이지 순으로 쓰는 경우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순서적으로 쓴다.
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는 일,이,삼,사등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
친족이란 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하여 상호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을 말하며 친척이라고도 한다.
친족의 범위를 민법777조에 의하면 8촌이내의 부계혈족과 8촌이내의 모계혈족 그리고 배우자와 그 부모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친족에는 혈통이 직상하로 연결되는 직계친과 혈통이 공동시조에 의해 갈라져 연결되는 방계친이 있다.
또 부모를 포함하여 부모와 같은 항렬이상에 속하는 존속친과 자녀를 포함하여 자녀와 같은 항렬이하에 속하는 비속친이 있다. 그러나 자기와 같은 항령에 있는 사람 즉 형제 자매 종형제는 존속도 비속도 아니다.
그밖에 배우자와 혈족의 관계가 있는 인척도 친족에 포함되며 아내의 부모와 고모의 관계 외가의 관계, 이모의 관계 등을 인척 혹인 인족이라고 한다. 민법 777조에는 처의 부모만을 인척의 범위로 한정하고 있다.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관광마케팅 시험문제 족보(강추자료)
영어, 토익 족보라해도 좋은 자료
웰빙샐활을 위한 건강 족보
홍대 결혼학개론 기말시험 족보
홍대 결혼학개론 기말시험 족보
경희대 19세기 서양정치사 시험족보 및 모범답안
영남대학교 도자기의 이해 족보(중간,기말)입니다.
조선대 프랑스문화 인강 족보
조선대 프랑스문화 예술 족보
원광대 성의과학 인터넷강의 족보
원광대 <미래사회와 정보기술> 족보
강원대 <종교와문화> 기말고사 족보 (09-15주차)
selc 고객관계관리 기말자료 족보 (09주차~15주차)
물권법 기말고사 핵심정리 족보 {간접점유, 점유자와 회복자의 관계, 관습상의 법정지상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