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상담의 초기
2. 내담자 문제의 이해
1) 도움을 청하는 직접적인 이유의 확인
2) 문제의 발생 배경 및과거력 탐색
3) 문제 해결 동기의 평가
3. 상담의 구조화
1) 상담 기간 및 시간, 비용 등 제반 사항에 대해 알려줌.
2) 바람직한 내담자 역할에 대한 안내
4. 촉진적 상담 관계의 형성
5. 초기 단계의 마무리
2. 내담자 문제의 이해
1) 도움을 청하는 직접적인 이유의 확인
2) 문제의 발생 배경 및과거력 탐색
3) 문제 해결 동기의 평가
3. 상담의 구조화
1) 상담 기간 및 시간, 비용 등 제반 사항에 대해 알려줌.
2) 바람직한 내담자 역할에 대한 안내
4. 촉진적 상담 관계의 형성
5. 초기 단계의 마무리
본문내용
꺼내놓으며 상담에 참여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내담자는 상담과 상담자에 대한 합리적 기대를 가질 필요가 있다.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상담자가 모든 것을 다 알아서 해결해줄거야’, 또는 ‘상담을 하면 금방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거야’라고 기대하는 것은 다소 비현실적인 기대이다.
4. 촉진적 상담 관계의 형성
- 상담 초기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서로 신뢰하고 믿는 따뜻한 분위기의 형성이다. 이런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다른 말로 라포(rapport), 또는 촉진적 관계를 형성한다고 한다.
- 촉진적 관계를 위해 필요한 상담자의 바람직한 태도 및 행동 특징은 공감적 이해, 수용적 존중, 솔직성 및 전문적 구체성으로 집약된다고 할수 있다.
5. 초기 단계의 마무리
- 상담 초기에서 이루어지는 세가지 작업들, 즉 내담자 문제의 이해, 상담의 구조화, 촉진적 관계의 형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초기 단계는 마무리 된다. 이 세가지 작업이 몇 회기만에 마무리되는 지는 정확하지 않으며, 어떤 경우 한두번의 만남으로 초기 단계가 마무리될 수도 있고, 서너 차례 이상의 상담 회기를 거쳐야 초기 단계가 마무리될수 있다.
4. 촉진적 상담 관계의 형성
- 상담 초기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서로 신뢰하고 믿는 따뜻한 분위기의 형성이다. 이런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다른 말로 라포(rapport), 또는 촉진적 관계를 형성한다고 한다.
- 촉진적 관계를 위해 필요한 상담자의 바람직한 태도 및 행동 특징은 공감적 이해, 수용적 존중, 솔직성 및 전문적 구체성으로 집약된다고 할수 있다.
5. 초기 단계의 마무리
- 상담 초기에서 이루어지는 세가지 작업들, 즉 내담자 문제의 이해, 상담의 구조화, 촉진적 관계의 형성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초기 단계는 마무리 된다. 이 세가지 작업이 몇 회기만에 마무리되는 지는 정확하지 않으며, 어떤 경우 한두번의 만남으로 초기 단계가 마무리될 수도 있고, 서너 차례 이상의 상담 회기를 거쳐야 초기 단계가 마무리될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 상담의 과정 - 아동상담
청소년 개별상담의 개입과정을 나누고 각 과정에서 이뤄져야 하는 목표와 과제를 서술.
아동상담의 치료과정
아동상담자가 아동상담 과정에서 아동발달 및 심리학적 지식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
아동상담자가 아동상담 과정에서 아동발달 및 심리학적 지식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
아동상담자가 아동상담 과정에서 아동발달 및 심리학적 지식이 필요한 이유
아동상담의 정의와 ,자신이 생각하는 아동상담의 필요성 및 아동상담의 과정에 대해 서술.
[심리치료와 상담] 한국의 심리치료 - 본성실현상담 (인간의 본성과 장애 요인, 본성실현상담...
[심리치료와 상담] 온마음 상담 (공상과 집착, 온마음 상담의 과정)
문제상황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상담이론의 과정과 기법을 적용해 상담을 진행하시오 [상담이론]
[노인복지론] 노인상담의 과정에 대하여 논하시오 : 상담
아동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이 아동상담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는 데 그 이유에 대해서...
(직업·진로설계)청소년 진로상담의 과정과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 상담초기에 라포형성에 노력...
[상담심리학] 문제 상황을 설정하고 그에 맞은 상담이론의 과정과 기법을 적용해 상담을 진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