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국경을 통해 미국으로 탈출하려 했던 벤야민은 입국을 거부당하자 게슈타포에 의한 체포를 염려한 나머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베버나 벤야민의 경우가 실제 부친이나 가부장적인 국가를 부정한 사례이지만 자신을 지적으로 성장시킨 스승을 살해한 경우는 무척 많다. 여기서 가장 먼저 언급돼야할 인물은 바로 프로이트 자신의 수제자이자 호적수였던 칼 구스타프 융. 융은 ‘꿈의 해석’이 1899년에 출간되자마자 읽고나서 性에 관한 부분을 제외한 ‘억압기제’라는 가설에 크게 감화된다. 1907년 프로이트를 만난 융은, 제자를 자처하면서 학계에서 쏟아지던 프로이트에 대한 비판을 직접 방어하려 했다. 그러나 융이 참을 수 없었던 점은 ‘리비도’라는, 性으로 인간의 욕망이 환치되는 방식의 설명이었다. 1912년 이후 리비도 개념에 반기를 들었던 융은 결국 ‘집단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의 원형질을 설명함으로써 결국 프로이트와 결별하게 된다.
한나 아렌트가 하이데거와 가졌던 친분도 융과 프로이트의 관계에 비할만하다. 그렇지만 아렌트의 태도는 ‘부친살해’와는 정반대에 가까웠다. 아렌트는 1924년 마르부르크 대학에 진학하면서 하이데거와 지적으로는 사제관계를, 인간적으로는 연인관계를 맺게 된다. 1년여의 시간이 지난 후 아렌트는 하이데거와 결별하게 되지만 그에 대한 지적 부채나 인간적 신뢰까지도 청산하지는 않는다.
물론 아렌트에게는 ‘노동’이나 ‘작업’ 등과 같은 독창적인 부분도 있지만, 정치공동체에 대한 구속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하이데거 철학의 짙은 그림자를 엿보게 한다. 하이데거가 만년에 나치스 시절 당원으로 활약하고 모교 총장으로 취임했기 때문에 비판받았던 사실을 감안한다면 아렌트가 남근적인 독일제국에 복무한 스승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지 않았으며 유태인으로서 간접적으로 면죄부를 발행했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태도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동종의 학문과 이념이 교배해서 하나의 思潮와 學派를 형성하는 것이 흔한 지성계에서 이렇게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한 전통’은 그리 생경스러운 것도 남부끄러운 것도 아니다. 근대적 이성이 완성되고, 헤겔적인 人倫의 구현과정으로 자부하던 20세기 초반의 독일 속에서, 인류사에 기억할만한 지적 시도가 자신을 길러낸 바로 그 가부장적인 국가의 구성물을 향해서 이뤄졌다는 사실은 특기할만하다. 이는 그만큼 서구중심적인 세계관 속에는 자기부정의 필요성이 내재해 있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베버나 벤야민의 경우가 실제 부친이나 가부장적인 국가를 부정한 사례이지만 자신을 지적으로 성장시킨 스승을 살해한 경우는 무척 많다. 여기서 가장 먼저 언급돼야할 인물은 바로 프로이트 자신의 수제자이자 호적수였던 칼 구스타프 융. 융은 ‘꿈의 해석’이 1899년에 출간되자마자 읽고나서 性에 관한 부분을 제외한 ‘억압기제’라는 가설에 크게 감화된다. 1907년 프로이트를 만난 융은, 제자를 자처하면서 학계에서 쏟아지던 프로이트에 대한 비판을 직접 방어하려 했다. 그러나 융이 참을 수 없었던 점은 ‘리비도’라는, 性으로 인간의 욕망이 환치되는 방식의 설명이었다. 1912년 이후 리비도 개념에 반기를 들었던 융은 결국 ‘집단무의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의 원형질을 설명함으로써 결국 프로이트와 결별하게 된다.
한나 아렌트가 하이데거와 가졌던 친분도 융과 프로이트의 관계에 비할만하다. 그렇지만 아렌트의 태도는 ‘부친살해’와는 정반대에 가까웠다. 아렌트는 1924년 마르부르크 대학에 진학하면서 하이데거와 지적으로는 사제관계를, 인간적으로는 연인관계를 맺게 된다. 1년여의 시간이 지난 후 아렌트는 하이데거와 결별하게 되지만 그에 대한 지적 부채나 인간적 신뢰까지도 청산하지는 않는다.
물론 아렌트에게는 ‘노동’이나 ‘작업’ 등과 같은 독창적인 부분도 있지만, 정치공동체에 대한 구속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하이데거 철학의 짙은 그림자를 엿보게 한다. 하이데거가 만년에 나치스 시절 당원으로 활약하고 모교 총장으로 취임했기 때문에 비판받았던 사실을 감안한다면 아렌트가 남근적인 독일제국에 복무한 스승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지 않았으며 유태인으로서 간접적으로 면죄부를 발행했다는 것은 이율배반적인 태도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동종의 학문과 이념이 교배해서 하나의 思潮와 學派를 형성하는 것이 흔한 지성계에서 이렇게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한 전통’은 그리 생경스러운 것도 남부끄러운 것도 아니다. 근대적 이성이 완성되고, 헤겔적인 人倫의 구현과정으로 자부하던 20세기 초반의 독일 속에서, 인류사에 기억할만한 지적 시도가 자신을 길러낸 바로 그 가부장적인 국가의 구성물을 향해서 이뤄졌다는 사실은 특기할만하다. 이는 그만큼 서구중심적인 세계관 속에는 자기부정의 필요성이 내재해 있었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추천자료
[사회복지]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이론비교 (정신분석,자아심리,분석심리 이론)
로널드 페어베언(W. Ronald D. Fairbairn)의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연구 - 핵심개념, 정신구조...
융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가족치료 이론 중 한가지를 선정하여 주요기법과 주요내용을 상세히 조사하여 제출하기,대화...
[경험주의 가족치료 이론 내용 정리] 사티어 Satir의 치료 및 변화과정, 치료적 개입 기법, ...
[Gestalt 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주요개념, 기법, 과정, 다른이론과 비교, 요약 및 평가
칼 구스타프 융의 분석심리이론 -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생애, 성격의 구조, ...
[가족상담] 경험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란, 가족조각기법 & 의사소통유형, 개인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인간행동과사회환경 E)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을 비교하고 이론적 공통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
(방통대 생활과학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융의 발달단계와 이론 평가
소개글